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5/06 21:55:58
Name 희원토끼
Subject [질문] 공무원이신 분들께...여쭤봅니다. (수정됨)
9급공무원으로 30대 초에 시작한다면...
집은 2억전후(절반은 남녀돈 절반의 반은 대출 반은 이자없는부모님지원정도) 전세 차는 경차 보유
결혼 곧 한다는 조건 아기도 곧 가질 조건..아이는 둘예상

..나라에서 두명 아이키우고 먹고살만큼은 준다고 생각하시나요? 먹고살만큼의 기준이 단순히 먹고사는거에만 집중해서 이것만 봐야하는거면......좀 한숨나오고요..
공무원 시작 시점부터 정년..그리고 퇴임후 연금까지 생각했을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Break Away
18/05/06 22:00
수정 아이콘
집에서 뭐 제대로 시작할때에 2억 준다고요? 뭘해도 대성공
아 정말 개부럽네 우리 부모님은 도대체 왜
희원토끼
18/05/06 22:04
수정 아이콘
수정했어요.
18/05/06 22:02
수정 아이콘
2억짜리 집있으면 기초수급대상자 급의 월급만 받아도 먹고살만하지않나요
희원토끼
18/05/06 22:05
수정 아이콘
4인가족상으로요. 그냥 말그대로 먹고 사는거에만 한정해서 그러려니 해야할까요?
18/05/06 22:04
수정 아이콘
전세 2억 보유에서 이미 남들보다 한참 앞서 있는데 걱정 없어보이는데요.
희원토끼
18/05/06 22:05
수정 아이콘
수정했어요.
18/05/06 22:10
수정 아이콘
월급 자체로만 보면 30초에 결혼해서 아이까지 둘 있는 상태라면..
분명 처음에 힘들거예요. 월급이 많지가 않습니다..
다만 뭐 글에도 그렇듯이 정년까지 보면 뭐......당장 짤릴 걱정은 없으니까요 호봉 올라갈 수록 월급도 많아지고..

연금이야 이제는 기대할 수 없어요 참고로.
국민연금 보다 못하거나 그정도 수준으로 감축된 상태입니다.
다니는 동안 노후 대비 어느정도 하셔야 합니다..
희원토끼
18/05/06 22:21
수정 아이콘
적은 월급이라도 정년보장..저녁이 있는 삶이 좋아서 감안하고그러려니하는데..먹고 살만큼은 준다는 소리는 영...듣기가 거북해서요;; 제가 이싱한건지 실제 삶이 어떤지 궁금해서 글 올려봤어요.
18/05/06 22:25
수정 아이콘
먹고 살만큼 준다는게..싱글일 때 정도겠죠..
이미 가정이 있고 애까지 둘이 있는 상태에서 9급 처음부터 시작하는 월급으로는 택도 없는 소리죠..
물론 호봉 차고 그러면 살만큼은 주죠 당연히.그때까지가 좀 기니 문제고..

다만 길게 보면 어쨌든 저녁이 있는 삶이 있고, 정년 보장이고..
이러니 저러니 해도 업무 강도도 (물론 힘든 곳도 있고, 어떤 곳은 남자들 아주 행사니 뭐니 개같이 부려먹는 경우도 많다고들 하지만..)
육체적으로 엄청 힘들고 그런 건 또 아니고요. 물론 그 안에서 다니다보면 그 환경에 익숙해져서 그런것만 해도 아 힘들다 생각할 수 있지만..

괜히 공무원으로 사람들이 몰리는게 아니겠죠..어찌됐던.
반전여친
18/05/06 22:32
수정 아이콘
국민연금보다 못하나요? 그럼 공무원 연금 이거 때려치우고 싶네요 후..
18/05/06 22:34
수정 아이콘
지금은 개정되서 그래요. 걍 국민연금 수준이라고 보시면 편합니다.
많이 내고 그거보다 덜 받는 구조던가..하여튼 그런걸로.
그래서 말 많은게 그냥 국민연금으로 통폐합 시켜달라는 주장이 있는거죠..
퇴직금 주고..등등 하고.

그리고 탈퇴는 할 수 없죠..크크...강제사항이니...
흘레바람
18/05/06 22:10
수정 아이콘
둘다 공무원급 월급이라고 가정시 육아휴직 기간에는 빡세긴 합니다만 애들 초등입학정도만 돼도 숨통이 트일거 같습니다. 외벌이 공무원은 노답이구요
희원토끼
18/05/06 22:2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외벌이는 아니지만 외벌이기준으로 저런 말씀하시는게 강한지라서요..
강미나
18/05/06 22:12
수정 아이콘
외벌이로 애 둘은 어렵죠.
bluedawn
18/05/06 22: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맞벌이 없이는 못합니다 매년 월급 올라도 세금 오르는것 물가 오르는것 못따라가네요
애없이 둘이 살기도 빠듯할듯합니다
18/05/06 22:19
수정 아이콘
직급 낮고 호봉 낮을 때는 엄청 빡빡합니다. 외벌이는 답도 없어요.
반전여친
18/05/06 22:31
수정 아이콘
맞벌이도... 40대 초반 공무원 부부 애2에 집 대출끼니 빠듯하더군요
그냥 딱 먹고살정도만 주는것 같아요
희원토끼
18/05/06 22:33
수정 아이콘
제친구 십년차 공무원이라 월급 대충 알아서...걔도 맞벌이는 해야하는 월급이다라고 했다가 30년전 공무원월급으로도 먹고살았다 심지어 도움없이도...소리를 듣고 좀..멘탈이 나가있는 상태입니다.
아르카
18/05/06 22:37
수정 아이콘
궁금한게 있는데 공무원하면 정말 저녁 있는 웰빙 생활이 가능하나요? 여러 커뮤니티에서 글 읽다보니 국가직은 야근하는 경우도 수두룩하고 지방직은 주말에도 행사,잡일 해야한다고 하고 서울시는 격무로 유명하더군요. 워낙 광범위하니 케바케겠습니다만...
강미나
18/05/06 22:46
수정 아이콘
말그대로 케바케라.... 한끼줍쇼에서 세종시 갔었다가 여기선 성공하기 어려울 거라는 얘기나온적도 있죠. 저녁 집에서 먹을 수 있는 사람이 없다고....
지방직의 경우에는 시골이고 읍면이면 얼추 웰빙되는 거 같긴한데 도시로 갈수록, 구청 시청으로 갈수록 어렵죠.
Skatterbrain
18/05/07 01:23
수정 아이콘
직종마다 지역마다 케바케죠. 초등교사는 특별한 일(한달에 많아봐야 네번?) 아니면 항상 4시반 퇴근입니다.
유늘보
18/05/06 22:54
수정 아이콘
어느 지역이시냐에 따라 다른데 서울이면 힘들다고 생각해요.
와이프분도 좋은 직장 혹은 공무원 아니라면 말이죠...

제가 해본 방법인데 대충 이렇게 생각해보세요.

현재 자산 / 연봉 / 물가상승률 / 투자수익률 / 생활비 / 육아비 등등을 생각해서 계산해보시고
65세 이상에서는 국민연금과 주택연금까지 고려해보세요.

이러면 대충 평생 벌어야하는 돈이 나오실 겁니다... 참고로 보수적으로 잡으면 정말 많이 필요하더라구요.. 전
이혜리
18/05/07 00:56
수정 아이콘
위치가 서울이아니라 지방이면 맞벌이로 가능..서울이면 무리 같아요. 집이 너무 좁아여 2억 전세면 애키우기가 좁아요.
비싼치킨
18/05/07 08:58
수정 아이콘
외벌이로 둘은 힘들죠
저도 둘째 욕심 있었는데 외벌이라 포기했습니다
맞벌이하고 둘째 낳는 것도 고려해보긴 했는데 그렇게 키우는 게 의미가 있나 싶더라구요
희원토끼
18/05/07 13:02
수정 아이콘
모든 답변 감사드립니다. 사람이 먹고사는게 다인가요..라고 대꾸하기엔 후폭풍이 예상되서 그냥 한귀로 듣고 한귀로 흘리는게 나을거 같아요. 자주 안봐서 듣는 횟수를 줄이는게 최선인듯합니다.
유열빠
18/05/07 13:10
수정 아이콘
외벌이로 둘키우시는 분들 제 주변에는 많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9664 [질문] 김성태 의원 폭행범 관련 질문 [5] 이응이웅3068 18/05/07 3068
119663 [질문] 혹시 삼성역 근처에 남자 7명정도 묵을수있는 싼 대형 숙소가 있을까요 [6] 옥동이3367 18/05/07 3367
119662 [질문] 윈도우 8 부팅 문제 [1] 첸 스톰스타우트2203 18/05/07 2203
119661 [질문] 운전면허 시험장에서 사진찍을수 있나요? [6] 북두가슴곰13837 18/05/07 13837
119660 [질문] 급한질문!! 와이프가 애기 데리고 친구네 놀러갔습니다!! 뭘 해야 좋을까요???? [15] Zest3971 18/05/07 3971
119659 [질문] 외벌이 남편은 보통 어느 정도로 육아에 참여하나요 [119] 비싼치킨12737 18/05/07 12737
119658 [질문] 외국 교육사례 중에 혹시 이런 게 있을까요? [2] 임시야간숙소2031 18/05/07 2031
119657 [질문] 컴퓨터4대가 동시에 고장이 났는데.. [7] 마르키아르3111 18/05/07 3111
119656 [질문] 혼자서 갈만한 여행장소 있나요? [3] 회전목마2755 18/05/07 2755
119655 [질문] SK브로드밴드랑 SKT 같이 쓰시는 분 계실까요 [2] 지수2351 18/05/07 2351
119654 [질문] [스타1] 유게의 유닛뭉치기 리콜 활용 [20] TOMATO~7184 18/05/07 7184
119653 [질문] 지인께 와인을 선물로 드리려합니다. [4] 소고기국밥2550 18/05/07 2550
119652 [질문] 정기적으로 소액기부할수 있는 사이트 알려주세요 [5] Liberal2139 18/05/07 2139
119651 [질문] 무선 인터넷 오류 해결 방법 부탁드립니다. [2] 삭제됨2119 18/05/07 2119
119650 [질문] 조용한 북카페 추천부탁드립니다. [4] 세로토닌2243 18/05/07 2243
119649 [질문] 공기업 사무직 무슨 일 하는지랑 시험 과목 [2] 삼동이3333 18/05/07 3333
119648 [질문] 일렉 기타로 바로 입문하신 분 계실까요? [7] 마음속의빛7024 18/05/07 7024
119647 [질문] [고양이]비오킬 대용 살충제 [1] ThisisZero4409 18/05/07 4409
119646 [질문] 컴퓨터를 고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할까요(앱플레이어 구동불가) [5] 레몬커피3185 18/05/06 3185
119644 [질문] NOX 앱플레이어 실행 시 cpu 온도가 90도를 넘습니다 [4] empty5423 18/05/06 5423
119643 [질문] 오른손잡이가 순간적으로 누군가를 가격할 때 왼손으로 가격하는게 가능할까요? [9] 오징어와 말미잘3836 18/05/06 3836
119641 [질문] MS오피스 구매에 대해서. [4] 동굴곰2814 18/05/06 2814
119640 [질문] 공무원이신 분들께...여쭤봅니다. [26] 희원토끼6099 18/05/06 609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