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2/24 07:40:24
Name 부채
Subject [질문] 스마일라식 vs 라섹 어떤게 좋을까요?
안과 두군데 정도 가서 검진하고왔습니다.
생각보다 가격차이가 너무 많이 나서 고민이 되네요.

-2.5 -3.5시력에 각막 두께는 양안 545 550 이고 난시도 없어서 어떤수술이던 상관은 없고, 다만 걸리는게 안구건조(7은 넘어야하는데 5정도였네요) 동공크기 (많이 큰 편이었습니다. 양안 7.6 7.7 정도?) 입니다. 수술 후 부작용이 걱정이 되는데요.

경험해 보셨거나 고민하셨던 분들 추천부탁드립니다ㅜ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2/24 07:50
수정 아이콘
그냥 안경쓰세요 수술 별론거같아요.
태프로
17/12/24 08:35
수정 아이콘
각막두께 좋으신편이네요.
안구건조는 개인차가 심해서 뭐라 할수없는데 저같은경우는 주위에서 찾을수없을정도로 부작용이 적었던 편인데,
인공눈물 일주일도 안되서 안써도 될정도로 빨리 괜찮아졌네요. 주위에서는 길게 갔던 사람은 2~3달정도까지 안구건조증 심하더라구요.

저도 각막두께가 잘 나와서 모든 수술가능했고
저같은 경우는 일반라식했습니다.
라섹은 회복기간이 긴편이지만 비교적 안전하고 부작용이 적은편이구요.
라식은 회복기간은 짧지만 부작용이 좀더 심한편이라고 합니다.
스마일라식은 라식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회복기간도 짧고 부작용도 덜심한데 가격이 너무 비싼게 단점이고
다른 수술에 비해 상용화(?) 된지 얼마 안되었기때문에 수술에 대한 신뢰도가 비교적 낮다고 보는 사람도 있죠. (이미 충분히 검증되었다고 보시는 분도 있어요)

어차피 본인이 어떤 리스크를 감당할지 선택해야하기 때문에 본인이 선택할수밖에 없구요.
그래도 조금이나마 참고하시라고 추천드리면
저라면 재정에 부담이 없으시다면 스마일 하고
아니라면 일반라식하겠습니다.

윗분말씀데로 수술자체를 부정적으로 보시는분도있는데
저같은 경우는 신세계를 맛보고 있어서 추천드리고 싶네요. 주관적이긴 하지만 주위에서도 라식한사람들이 라식하지말라는 소리 하는분은 많이 못봤네요.
농심신라면
17/12/24 09:25
수정 아이콘
희한한게 라식라섹은 한 사람들은 다들 만족하는데 안한 사람들이 별로라고 더 난리...

아무래도 스마일라식이든 라섹이든 한가지 수술만 받아본 사람은 있어도 둘다 받아본 사람은 없기 때문에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강미나
17/12/24 09:46
수정 아이콘
라식 라섹도 유전자 빨이라 안구 두꺼운 게 벼슬이거든요. 안구가 두꺼우면 두꺼울수록 돈 덜드는 수술 할 수 있고 경과 회복 다 좋습니다.
말씀하신 정도 두께면 라섹은 굳이 필요없고 일반라식하긴 좀 그렇고하니 스마일라식할 거 같네요.
불타는로마
17/12/24 10:43
수정 아이콘
글쎄요... 한사람 중에 부작용 호소하는 사람 안구갤가면 한트럭입니다. 중요한건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는거구요. 괜히 우리나라에서만 유행하는 이유가 있나요. 수십년전 의사들이 당연하기 했던 의술 지금 기준으로 말도 안되는거 많습니다. 30~40년 지나서 발생한 부작용 책임은 본인뿐입니다.
17/12/24 10:47
수정 아이콘
저는 스마일 라식이 아닌 일반 라식을 했지만(물론 결과는 대만족입니다)
라식 라섹의 차이는 단 하나라고 생각해요. 회복기의 고통이죠. 라식은 1도 안아프기 때문에 금방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라섹은 수술 직후 엄청 아프고 누워만 있어야 하므로, 긴 회복기를 확보할 수 있고 본인의 생활을 도와줄 사람이 있다면 라섹 도 괜찮겠죠.
Pinocchio
17/12/24 10:54
수정 아이콘
안경쓰는게 너무 귀찮고 불편해서 난 무슨일이 있어도 라식을 하겠어!! 라는 경우가 아니면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토마토
17/12/24 12:07
수정 아이콘
제법 빨리 시술한 친구들이 이제 10년차 되가는데.. 멀쩡한사람 아무도 없습니다. 안구건조증, 시력저하는 기본이죠. 특히 10년전에는 스마트폰이 없었으므로 지금보다 안구피로도가 현저히 낮았던점을 감안하면 수술 후 관리측면에서 현재가 더 어려울거라 사료됩니다. 수술 후 당장은 부작용만 없다면 다들 극찬이지만요.. 수술 하고 좀 오래된 사람들을에게 얘기들어보세요.. 본인 하는일이 무엇인지도 중요합니다. 눈에 피로도가 높은 직업이면 그만큼 저하도 빨리 오겠죠.
얼음숨결
17/12/24 13:24
수정 아이콘
음 개인적으로는 2003년에 수술했는데 (라섹) 전혀 문제 없습니다. 시력도 정상이고요. 직업도 하루 종일 모니터 보는 직업에 집에서도 틈 나면 바로 컴퓨터 컴퓨터 없을 땐 스마트폰 보구요. 비슷한 시기에 한 주위 사람들 봐도 심해진 사람은 딱히 없네요. 초기부터 부작용 있던 사람 (빛 번짐) 은 있는데 그 사람도 다시 돌아가도 할 거라고 하고... 물론 요즘엔 그 때 보다 스마트 폰을 많이 쓴다는 점이 있긴 한데 그게 회복이나 예후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지는 잘 모르겠네요.
개인적으로는 인생에서 잘 한 2가지 결정 중 하나라고 생각 하고 있습니다. ^^;
17/12/24 16:48
수정 아이콘
저도 라섹 한 지 10년 넘었는데, 너무 만족합니다. 제 인생에서 가장 잘 한 것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제 주변에서는 라섹/라식해서 후회한 사람 단 한 명도 못봤네요.
17/12/25 01:43
수정 아이콘
저랑 와이프 장모님이 시술한지 오래됬는데 아무문제 없습니다. 제경우에는 처음에는 눈이 시큼거리고 빛번짐이 있엇는데 시간이 지나니까 나아지더라고요 제주변에서도 라섹하고 후회하는 사람이 한명도 없습니다.
에너지
17/12/24 12:59
수정 아이콘
제가 2년전에 스마일 라식 했는데, 현재까지는 아주 잘 보입니다.

환절기에 꽃가루 등이 좀 괴로운데, 이게 수술 때문인지 원래 제가 알러지에 민감해서 그런건지는 잘 모르겠어요.

저는 만족하고 있습니다.
17/12/24 13:10
수정 아이콘
2년 전쯤에 스마일 라식 처음 나왔을 때 갔다가 가격 차이가 너무 많이 나서 일반 라식 했었는데 건조한 것만 일주일 정도? 그 이후엔 인공눈물도 한 번도 안넣었어요. 딱 글쓴분이랑 비슷하게 약간 건조한편, 각막 두께 두껍고 동공 큰 편이었습니다. 다만 수술하고 한 몇 달 정도?만 빛번짐이 꽤 있긴 했었는데 지금은 괜찮습니다. 시력도 1.0 맞췄는데 오히려 시간 지나니까 1.2~1.5까지 올라갔어요. 모니터 많이 보는 일 하고 핸드폰도 많이 보는 편인데도요. 지금 위에 부정적인 댓글 다신 분 중 수술하신 분 아마 거의 없을 것 같은데, 그냥 결국 본인선택입니다. 전 진짜 만족하면서 살고 있어요.
존콜트레인
17/12/24 14:27
수정 아이콘
제 주변에 라섹하고 만족 안 한 사람은 단 한명도 없네요.
arq.Gstar
17/12/24 19:05
수정 아이콘
서울에서 하세요~? 쪽지 주시면 좋겠습니다~
17/12/24 20:46
수정 아이콘
모두들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잘 참고해서 하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3737 [질문] 아반떼 왼쪽하단 페달은 뭐죠? [6] 나른한오후3270 17/12/24 3270
113736 [질문] 소개팅 애프터에서 고백해도 되나요? [21] 맥머트리7431 17/12/24 7431
113735 [질문] 스타1 팀플맵을 만들어봤습니다. 조언 부탁드려요! [9] Aiurr2523 17/12/24 2523
113734 [질문] 3D캐드용 노트북을 골라봤습니다. 뭐가 제일 괜찮을까요 ? [4] Aiurr6480 17/12/24 6480
113733 [질문] pc견적 다시 짜봤습니다. 조언부탁드립니다. [15] Ariana Grande2944 17/12/24 2944
113732 [질문] 이렇게 생긴 전구는 어케 바꾸는 건가요?? [1] 회색사과2519 17/12/24 2519
113731 [질문] 직장에서 속편하게 얘기할 수 있는 동료나 선후배 몇 분 계신가요? [21] 光海3607 17/12/24 3607
113730 [질문] 부산 당일치기 코스 질문입니다. [2] 삭제됨1360 17/12/24 1360
113729 [질문] 컴퓨터 업그레이드 후 성능 저하 현상입니다. [9] 비상4922 17/12/24 4922
113728 [질문] pc견적 조언부탁드려요. [9] Ariana Grande2062 17/12/24 2062
113727 [질문] 스마일라식 vs 라섹 어떤게 좋을까요? [16] 부채8123 17/12/24 8123
113726 [질문] 집 와이파이 질문입니다. [1] 신이주신기쁨1332 17/12/24 1332
113725 [질문] 매드게임타이쿤 게임 생산에 대해 초보질문드립니다. [2] 보로미어5826 17/12/24 5826
113724 [질문] 프리미어리그 박싱데이 유래가 뭘까요? [2] F.Nietzsche2677 17/12/24 2677
113723 [질문] 태연콘서트가는데 차를 갖고 갈만한가요?? [5] kogang20012487 17/12/24 2487
113722 [질문] 이브 날 뭘 해야 할 까요. [2] 이혜리2167 17/12/24 2167
113719 [질문] 개인 사정으로 내용 삭제합니다. 죄송합니다. [6] 삭제됨2657 17/12/23 2657
113718 [질문] 한국 아이돌의 해외 사업성과 수준이 궁금합니다 [3] 삭제됨2205 17/12/23 2205
113717 [질문] [소전] 와브드 권총 추천 부탁드려요 [5] Meditation3068 17/12/23 3068
113716 [질문] 전남에서 당일 치기로 갈 수 있는 곳 추천 부탁드려요 [4] fomo1674 17/12/23 1674
113715 [질문] 도와주세요~조립 컴터를 샀는데 그래픽카드? 오류가 납니다. [11] 삭제됨3855 17/12/23 3855
113714 [질문] 키네틱타이포그래피 의뢰를 하고 싶습니다 [2] RookieKid2653 17/12/23 2653
113713 [질문] 전성기 강호동이 종합격투기를 하였다면?? [41] 게닛츠5839 17/12/23 583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