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2/23 20:40:06
Name 게닛츠
Subject [질문] 전성기 강호동이 종합격투기를 하였다면??
이종격투기 카페 같은 곳에선 풀리지 않는 떡밥인데

저도 항상 궁금했습니다

한국에 워낙 헤비급 인재가 없다보니 격투기 팬들중에 전성기 강호동에 대한 막연한 환상 같은 게 있는 사람이 많더군요



20대의 전성기 강호동이 종합격투기를 하였으면 어느 정도까지 갔을 거라 보시나요?

체급은 헤비급이겠죠? (약 182cm/약 135kg)





1. 세계 탑급에 통할 수준일 것이다.

2. 동양인 중에선 최강급으로 통했을 것이다.

3. 동양인 중에서도 딱 평균 정도 수준

4. 동양인 중에서도 하위권 수준으로 못했을 것이다 기대가 전혀 안된다

5. 알 수가 없다 짐작이 안간다.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 노틸러스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17-12-23 21:20)
* 관리사유 : 게시판 용도에 맞지 않아 이동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2/23 20:41
수정 아이콘
맞춰보세요
펠릭스-30세 무직
17/12/23 20:43
수정 아이콘
어차피 이 운동 잘하면 저 운동도 잘하는거니 격투기에서도 국내 탑은 찍었을 겁니다.

이게 국외에서 어느정도 통하냐의 문제겠지요.
초롱비
17/12/23 20:45
수정 아이콘
질게로
17/12/23 20:46
수정 아이콘
최홍만?
페르마타
17/12/23 20:47
수정 아이콘
안궁..
17/12/23 20:47
수정 아이콘
씨름에서 격투기로 전향한 선수들보면 세계 탑까진 힘들어도 최소 동양 상위권쯤은 되지않았을까요
모리건 앤슬랜드
17/12/23 20:48
수정 아이콘
헤비급은 무리고, 지금 라헤급에 일리르 라티피라고 있어요. 체형상 잘 풀리면 그정도 포지션은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이더리움 사세요
17/12/23 20:48
수정 아이콘
딱히 격투기를 잘 해 보이진 않아 보입니다
그냥 그저 그런 선수였을 거 같네요
카와이
17/12/23 20:52
수정 아이콘
국내에서야 잘했겠지만 해외는 모르죠.
주관적객관충
17/12/23 20:53
수정 아이콘
강호동이 지금 태어났다면 무슨 운동을 했을까 궁금하긴 합니다 그때야 씨름이 잘나갔던 시절이었지만 지금은 강호동의 피지컬이 씨름계로 흘러갈거 같진 않거든요
17/12/23 20:57
수정 아이콘
투쟁심도 있는거 같구

유연성이 있어서 잘했을거같아요
노때껌
17/12/23 21:02
수정 아이콘
씨름하는 거 보면 운동 센스가 발군이다 보니 적어도 최홍만보단 잘하는 선수였을 것 같습니다.
교자만두
17/12/23 21:03
수정 아이콘
그 어린 강호동은 지금어린 격투선수들과는 다른 무언가가 있었죠.일단 우리나라는 탑찍었을것같네요.
노련한곰탱이
17/12/23 21:07
수정 아이콘
이태현 케이스로 봤을땐 그냥 그랬을 가능성이 높죠...
RookieKid
17/12/23 21:07
수정 아이콘
2정도? 씨름 잘하고 힘만 좋은게 아니라 운동신경이 좋더라구요. 세계는 솔직히 모르겠습니다.
TWICE쯔위
17/12/23 21:09
수정 아이콘
격투기랑 씨름은 엄연히 달라서..
피지컬로 씹어먹던 최홍만이랑 다르게 나머지 씨름선수들 상당수가 이종격투기 도전해봤지만..다 실패했죠
17/12/23 21:12
수정 아이콘
체급 올라갈수록 동양인의 한계가 있다는 걸 이태현 선수가 가장 잘 보여줬던 거 같네요. 기질 지적도 있긴 했지만...
솔로13년차
17/12/23 21:13
수정 아이콘
최강이 되는게 쉬운게 아니라서, 강호동이 기본적인 능력도 좋지만 씨름에 특화된 능력도 좋으니까 최고가 됐다고 보거든요. 특히 이만기가 출연했던 무르팍도사에서 피부로 느껴지는 근육의 움직임을 이야기한 건, 정말 씨름에 특화된 거니까요.
종합격투기를 한다면 인기있는 쇼맨쉽 강한 선수가 됐을 거라 생각하지만, 실력으로 특출난 선수가 됏을 것 같지는 않아요. 다만 지금 종합격투기의 규모가 당시 씨름과 비교했을 때에 비해 크지 않아서, 실력으로도 특출날 수도 있을 것 같긴하네요. 만약 국내 모든 격투 스포츠선수들이 다 종합격투기를 한다고 가정한다면 그리 특출났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윌로우
17/12/23 21:16
수정 아이콘
피지컬은 효도르보다도 크니 세계최강 못되란 법 없지요. 동양인 신체능력 어쩌고 하기에는 이미 파퀴아오가 역사를 써내렸고.
어쨌든 유명해졌을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어요. 당시에도 스타성이 대단했으니까요. 체육계와 연예계 두군데서 정점에 오른 사람이 또 누가 있을까요. 당장은 드웨인 존슨이 생각나는데.
그대의품에Dive
17/12/23 21:18
수정 아이콘
쇼맨쉽이 있으니 밥샵 느낌으로 인기 선수가 되었을지도...
17/12/23 21:19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에서 탑이라는건 최소 3은 된다는 것이겠죠. 2가 될지는 전혀 알 수 없고, 해봐야 아는거겠죠.
StayAway
17/12/23 21:26
수정 아이콘
유도, 레슬링까지는 모르겠는데 격투기는 힘이나 밸런스가 좋다고 무조건 강한 건 또 아니라서..
뭐 일단 국내 탑클래스까지는 타고난 하드웨어로 뭉갤수 있을거 같긴합니다.
This-Plus
17/12/23 21:33
수정 아이콘
여기서 이태현 예를 드는 분들은 이해가 안 되는군요.
너무 늦은 나이에 시작을 했고, 준비기간도 짧았고, 데뷔전 상대가 알리스타 오브레임이었어요.
이걸 이겼어야 했는지... 흐.
17/12/23 22:26
수정 아이콘
이태현 데뷔전은 그리 유명하지 않은 선수였습니다. 둘 다 1라운드에 체력 다 빠져서 움직이지 못했던 졸전 of 졸전이라 기억납니다.

그 후에 러시아로 가서 훈련받고 오브레임이랑 붙었을 겁니다. 스포츠뉴스에서 훈련 영상보며 기대했는데 전혀 상대가 안되던 모습에 실망을....
17/12/23 21:34
수정 아이콘
3~4

씨름이랑 격투기는 전혀 다른 종목이죠. 이영호가 비슷한 종목이였던 스타2에서도 기대만큼 못했죠. LOL로 갔으면, 프로급도 장담 못할꺼라 생각합니다.
마찬가지로 유도, 레슬링이라면 모를까 이종격투기는 완전 다른 종목으로 봐야죠.
bemanner
17/12/23 21:37
수정 아이콘
5. 한 가지 확실한 건 실력은 몰라도 스타성은 종합격투기 선수 중에서는 동양인 최고일거 같습니다.
아라온
17/12/23 21:40
수정 아이콘
격투기보다 언변과 리더쉽등 다른재능도 많았으니 몇몇 씨름선수와 더불어
WWF 아류의 동양권 프로레슬링 붐을 좀더 일으켰을 것 같네요.
그대의품에Dive
17/12/23 21:45
수정 아이콘
저도 프로레슬러로서 대성했을 것 같네요.
브록레슬러
17/12/23 21:57
수정 아이콘
저도 프로레슬링했으면 상당한 인기를 끌었을것같네요
남광주보라
17/12/24 11:49
수정 아이콘
신일본 프로레슬링 진출해서 파워 괴물로 자리매김하다가. . 훗날 wwe에 진출해서 거기서도 괴물 똥파워 빅맨으로 성공적인 안착. . 챔프벨트도 어깨에 매고다니며 쇼맨쉽도 발휘, 거기에 영어만 배워서 구사했으면 진짜 대박 흥행 카드에 이슈메이커도 되었을 거라 봅니다.
저도 이따금씩 강호동의 프로레슬링 진출을 상상해보는데 진짜 거물급 기량이에요.
달팽이
17/12/23 21:49
수정 아이콘
운동능력은 동양인으로 상위권으로 생각하고 격투기는 무엇보다도 깡다구라고 해야하나요? 맞는걸 두려워하지 않고 전진할 수 있는 근성같은게 있어야 잘 할 수 있다고 보는데 강호동은 그런게 있어 보여서 잘했을것 같습니다. 최홍만이 수술전 체격에 강호동같은 성격이었다면 훨씬 잘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17/12/23 21:52
수정 아이콘
2번 봅니다
이호철
17/12/23 22:27
수정 아이콘
최소 3번
어지간하면 2 라고 봅니다.
17/12/23 22:32
수정 아이콘
일단 강호동이 예전에 과거로 돌아가면 무엇을 하고 싶냐는 질문을 받자 격투기를 해보고 싶다고 했습니다.

운동능력과 힘은 씨름선수 중에도 탑급이지만 팔다리가 짧고 머리가 크니.... 빠른 크리스 리벤?
밥오멍퉁이
17/12/23 22:34
수정 아이콘
강호동이 지금은 피지컬 괴물처럼 여겨지지만 182센티의 신장으로 헤비급에 mma로 군림하긴 쉽지 않죠. 당장 스타 헤비급,라헤 선수였던 사람들이나 존존스만 봐도 키+리치가 확보된 상태에서 체중도 따라오는거라..

우리동네 예체능볼때 보면 운동신경은 엘리트체육 떠난지 20년된 40대의 운동능력이라고는 믿기힘들만큼 준수했고,
전성기 시절에는 한 종목의 최고급 엘리트 체육능력을 가졌으니
mma로 본다면 상당한 선수가 될 가능성 자체는 컸겠지요.
특히 체격에 비해 유연성이 몹시 뛰어났다는 점이 큰 장점이고요
체격보다도 목이 두껍고 짧다는 점도 꽤 유리했을거라 생각합니다.
단점이라면 턱이 좀 크다는거.
리치를 안재봐서 모르겠지만 특별히 체격에비해 짧은 편은 아닌거같고
제 생각에는 182센티를 살리면서 파워와 스피드의 밸런스를 유지하려면 라이트 헤비급이나 미들급까지는 감량이 필요했을꺼고
헤비급에서 힘으로 조진다 이런건 mma에서는 불가능했을거에요
만에 하나 그 체격으로 복싱을 했고 헤비급에 뛰어들었다면
복싱쪽에서 중량급 엘리트 선수가 될 가능성도 있다고는 생각합니다.
통풍라이프
17/12/23 23:27
수정 아이콘
사실 이건 명확한 대답이라는 걸 절대 낼 수가 없는데, 강호동이 종합격투기에서 활약하려면 일단 다음 전제조건은 무조건 이루어져야 합니다.

1. 무조건 감량을 한다.
2. 베이스 무술을 씨름 외에 다른 걸 한다.

그런데 강호동이 UFC 헤비급에서 뛴다면 120 킬로그램, 조금 현실적으로 생각해 라이트헤비급까지 내려와 93 킬로그램의 체중을 맞춘다고 했을 때 씨름에서 보여주던 근력과 민첩성이 조화된 무서운 모습을 유지할 것이냐...그건 사실 아무도 모르는 거라서요. 적정 체급이라는 게 정말 선수 체형, 체질마다 다르거든요. 체급을 라헤로 내리고도 안 좋은 신체조건이지만 챔피언 먹은 코미어가 될 수도, 체급을 내려서 웰터급 미들급에서는 사기급 신체조건으로 승부보려 했지만 무리한 감량으로 오히려 침몰하고 라이트 헤비급에서야 포텐을 터뜨린 앤소니 존슨이 될 수도 있는 거라서...

씨름 외에 다른 무술을 한다면 강호동의 신체적 조건 등을 봤을 때 레슬링이 가장 적합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켈로그김
17/12/24 00:29
수정 아이콘
머리가 좋아서 꽤 잘했을거 같긴 합니다.
아다치 미츠루
17/12/24 03:27
수정 아이콘
세계 상위 랭커도 가능할 거 같습니다.

넘어뜨리는 씨름보다는 때리는 격투기가 훨씬 더 어울린다고 할까요.. 복싱도 잘 했을거 같아요.. 타이슨이 생각나네요..
정유미
17/12/24 08:03
수정 아이콘
리치가 너무 짧아서...
허성민
17/12/24 11:00
수정 아이콘
감량을 한다는 전제하에 동양권 탑은 그냥 무조건 찍엇을거같아요. 세계로 가도 상위권 정도는 햇을것 같아요. 일단 운동신경이 진짜 말도안되는사람이라..
남광주보라
17/12/24 11:46
수정 아이콘
브록 레스너 (약물 노 복용했을때의 스펙)보다 더 나은 모습을 보여주었을 거라고 보지만. .

차라리 wwe에 진출해서 파워하우스 빅맨으로 지금의 브록 자리를 강호동이 차지했더라면.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3735 [질문] 스타1 팀플맵을 만들어봤습니다. 조언 부탁드려요! [9] Aiurr2519 17/12/24 2519
113734 [질문] 3D캐드용 노트북을 골라봤습니다. 뭐가 제일 괜찮을까요 ? [4] Aiurr6478 17/12/24 6478
113733 [질문] pc견적 다시 짜봤습니다. 조언부탁드립니다. [15] Ariana Grande2942 17/12/24 2942
113732 [질문] 이렇게 생긴 전구는 어케 바꾸는 건가요?? [1] 회색사과2518 17/12/24 2518
113731 [질문] 직장에서 속편하게 얘기할 수 있는 동료나 선후배 몇 분 계신가요? [21] 光海3606 17/12/24 3606
113730 [질문] 부산 당일치기 코스 질문입니다. [2] 삭제됨1360 17/12/24 1360
113729 [질문] 컴퓨터 업그레이드 후 성능 저하 현상입니다. [9] 비상4921 17/12/24 4921
113728 [질문] pc견적 조언부탁드려요. [9] Ariana Grande2062 17/12/24 2062
113727 [질문] 스마일라식 vs 라섹 어떤게 좋을까요? [16] 부채8122 17/12/24 8122
113726 [질문] 집 와이파이 질문입니다. [1] 신이주신기쁨1332 17/12/24 1332
113725 [질문] 매드게임타이쿤 게임 생산에 대해 초보질문드립니다. [2] 보로미어5826 17/12/24 5826
113724 [질문] 프리미어리그 박싱데이 유래가 뭘까요? [2] F.Nietzsche2676 17/12/24 2676
113723 [질문] 태연콘서트가는데 차를 갖고 갈만한가요?? [5] kogang20012487 17/12/24 2487
113722 [질문] 이브 날 뭘 해야 할 까요. [2] 이혜리2166 17/12/24 2166
113719 [질문] 개인 사정으로 내용 삭제합니다. 죄송합니다. [6] 삭제됨2657 17/12/23 2657
113718 [질문] 한국 아이돌의 해외 사업성과 수준이 궁금합니다 [3] 삭제됨2205 17/12/23 2205
113717 [질문] [소전] 와브드 권총 추천 부탁드려요 [5] Meditation3068 17/12/23 3068
113716 [질문] 전남에서 당일 치기로 갈 수 있는 곳 추천 부탁드려요 [4] fomo1672 17/12/23 1672
113715 [질문] 도와주세요~조립 컴터를 샀는데 그래픽카드? 오류가 납니다. [11] 삭제됨3855 17/12/23 3855
113714 [질문] 키네틱타이포그래피 의뢰를 하고 싶습니다 [2] RookieKid2651 17/12/23 2651
113713 [질문] 전성기 강호동이 종합격투기를 하였다면?? [41] 게닛츠5839 17/12/23 5839
113712 [질문] [코인글 죄송합니다] 미국 세금 관련 문의드립니다 [2] 해피바스2225 17/12/23 2225
113711 [질문] 강릉에 갈만한 맛집 좀 추천해주세요 [6] aSlLeR2596 17/12/23 259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