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2/19 00:01
당연히 나아지지라고 봅니다만, 일단 본인의 의사가 제일 중요하지 않을까요?
왠지 동생분의 경우를 예단할 순 없지만, 상담 받으시길 거부할 듯하여서.... 꾸준한 내원이 아닌이상 큰 효과가 없으리라 봐서요; 덤으로 저는 관련직종 종사자는 아니고 치료 경험자입니다.
17/12/19 00:10
솔직히 말하면 저도 상담 받아보라고 말하기가 두렵습니다.
아마 다시는 안 볼 각오하고 얘기해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같이 받아보자고 할까 생각중입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17/12/19 00:23
본인이 스스로 자신이 문제가 있다는 걸 인정하는 것이 치료의 시작입니다.
동생분의 의시가 어떨지가 관건이겠네요. 심리상담이든 약물치료든 어떤 식으로든 정신과 치료는 효과가 있습니다.
17/12/19 11:27
안녕하세요.
먼저 그렇게 쉽게 화를 내게 된 경위가 있을까요? 주변 환경이라든지, 특정 이벤트라든지요. 이걸 먼저 생각해보시면 가정에서 대화를 통해 해결 할 문제인지 아니면 외부 전문가한테 도움을 청해야 하는 문제인지 판단 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서술해주신 내용만 가지고 본다면 기본적으로 그렇게까지 분노를 쉽게 느끼고 표출한다면 정서가 불안정한 상태이신 것 같네요.(물론 가정 내에선 그래도 사회 생활에선 매우 건실한 청년으로 살아갈 수도 있지만요.) 치료에 관해서는, 환자가 상담 초기부터 상담자를 불신하거나 상담에 대해 부정적이라면 당연히 좋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게다가 괜찮은 테라피스트들에게 받는 상담 치료는 한 세션에 20만원 25만원까지도 나가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부담이 될 수도 있고, 자신에게 잘 맞는 상담사를 한 번에 만나기도 쉽지 않고요. 일반 정신과에서 받는 심리치료도 어디까지나 환자가 협조적으로 나와야 좋은 효과를 기대 할 수 있고요. 부디 그 정도로 심한 상태는 아니길 바랍니다만, 보통 우울증이든 분노조절 장애가 심해져서 일상생활이 불가능해지면 강제 입원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강제 입원 후 증상이 호전되기도 하지만 강제 입원을 당한 환자가 겪는 스트레스와 퇴원 후 후유증이 극심하니 꼭 그 전에 원만하게 갈등이 해소 됐음 좋겠네요. 먼저 어떤 형태의 심리 치료를 생각해보기 이전에, 같은 가족 구성원으로서 침착하고 부드럽게 대화를 해보시는게 어떨까 싶네요. 분위기를 환기하기 위해 카페나 공원 같은 곳도 좋을 수 있고요. 편하게 일상적인 얘기로 시작해서 혹시 동생분께서 다른 가족 누군가에게 불만이 있다든지 혹은 개인적인 어려움이 있어서 가족에게 표출하게 된다든지, 이런 저런 대화를 해보시는게 아마 가장 효과적이지 않을까 싶네요. 그 이 후에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수립하면 되고요. 날이 많이 추운데 건강하시고 가족끼리 화목한 연말 보내시길 바랍니다.
17/12/19 17:43
일단 조언 정말 감사드립니다.
어떤 특정한 사건이 있었던 건 아닌데 아버지가 좀 저런 경향이긴 합니다. 제 생각엔 그런 영향을 좀 받지 않았을까 싶습니다만, 그래서 상담을 받아 원인을 찾아나가야 하지 않을까 해서 글을 남겼습니다. 글을 올리고 나니 제가 더 차분하게 상담받은 느낌이 듭니다. 시간을 두고 동생과 얘기해 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