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2/14 15:20
1. 실 화폐가치가 되려면 거래가 검증되는 시간이 현저히 짧아져야 합니다.
그러면 최소 두가지는 고려해야 합니다. 시간이 오래걸리는데 그 기간동안 가치가 등락폭이 너무 심하면 구매자든, 판매자든 둘중 하나는 손해를 봅니다. 예를 들어 현재 비트가 초단위로 금액이 달라지는데 거래 검증에 30초가 걸린다면? 그 등락이 10% 이상 오르락 내리락 하면 장난 아니겠죠.. 최소 3~5초이내 거래 검증이 되어 완료가 되고, 가치가 안정화 되어야 거래용으로 사용 가능할거라고 봅니다. 기술적으로 현재 그게 가능한 화폐가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 왠지 리플이 땡기지만... 개인 소견입니다. 2. 잡이라고 보기엔 결국 현재 돈이 얼마나 들어가있냐... 시가총액이 기준일수도 있고 여러가지 기준점이 있을텐데요.. 3. 모르겠습니다. 4. 모르겠습니다.
17/12/14 15:51
1. 보안성에서 유달리 두드러지게 뛰어난 암호화폐가 있는 것 같지는 않고, 화폐로 살아남으려면 컨센서스가 중요한 데 개중 가장 많은 컨센서스를 확보한 게 누구인가의 여부는 상위시총 기준으로 보시면 될 듯 합니다. 기술적으로 부족한 부분들(거래 속도 등)은 수년내 극복이 될 가능성이 높고, 변동성은 여전히 문제긴 하죠.
2. 잡코인이란 표현을 뭐라 정의하냐에 따라 다르겠죠. 이더리움은 블록체인 위에서 코드를 실행시키는 OS같은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런 플랫폼을 지향하는 블록체인은 스타리티스, EOS, 카르다노 등이 있는데, 이더리움이 (현재로써는) 선도적입니다. 3. 말씀처럼 누군가가 만들어 발행하면 그 후 시세가 형성됩니다. 대체로 아무도 허가해주지 않고, 아무도 보증해주지 않습니다. 다만 국가에 따라 ICO에 앞서 제도적 승인을 요구 받는 경우는 있습니다. 하지만 비트코인처럼 그냥 무상으로 시작되는 경우는 해당하지 않는 얘기지요. 4. ICO나 기타 자유 거래를 통해 형성된 시세에 따릅니다.
17/12/14 15:56
1.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견해입니다. 비트코인이 가장 가치가 있다고 보고, 그 다음은 이더리움이 가치 있다고 봅니다. 화폐로써 가치가 있는게 아니라 사람들이 가치가 있다고 믿기 때문에 가치가 있다고 봅니다. 실제 화폐로써 가치가 있느냐는 질문을 현행 화폐의 대체가 가능한가? 라는 의문으로 대답해 본다면, 현재 암호화폐 중에 그런 가치를 가진 암호화폐는 없다고 봅니다. 다만, 스스로를 코인이 아니라 송금시스템이라고 말하는 리플과 같은 경우에는 특수한 용도에 한해서 화폐와 같이 쓰일 수 있다고 봅니다.
2. 지금은 비트코인 이외엔 전부 잡코인이다 라고 말하긴 어렵습니다. 최대한 보수적으로 봐도 이더리움은 이미 잡코인이 아니고, 기준에 따라서는 시가총액 상위 5~15위까지는 잡코인이 아니라고 볼 수 있다고 봅니다. (참조: https://coinmarketcap.com/ ) 3. 암호화폐는 사실 아무것도 아닙니다. 개발자들이 암호화폐를 개발하는데 아무런 제약도 없고, 제약해야 할 이유도 없습니다. 누군가가 가치를 보증해주는 것도 아니며 특별한 허가를 받아야 발행 가능한 것도 아닙니다. 시장 참여자들이 가격을 결정 짓는 것이고, 휴지조각이 되는 것도 가능합니다. 4. 정해진 기준은 없고 이것도 결국은 시장에서 형성되는 시세에 따릅니다. 단순하게 보면 얼마나 이슈화 되느냐, 사람들이 몰리느냐가 가장 중요합니다. 초기 가격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유명 거래소에 상장 계획이 있는가, 초기투자(ICO)에서 자금이 얼마나 모였는가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