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1/06 12:38
입문서 하나 떼는데 시간 많으면 1주, 다른 일 있으면 한달 정도 걸리실 거 같은데요. 진득하게 입문서 하나 떼고나면 쌩초보는 벗어나실 수 있을듯.
처음 입문이시면 열혈강의 던가? 그거 C나 C++로 되어 있는거 한 권 독파해보세요. 요즘엔 뭐가 유행인지 모르겠네요. 저 때는 열혈강의 아니면 Head First 였는데...
17/11/06 12:41
목표 중심이 저는 효과적이었습니다.
본인이 그것을 배움으로써 산출하고 싶은 것을 빨리 설정하고 나면 나머지 순서는 자동으로 따라오지 않을까요? 처음이 괴로운 건 뭘 해야할 지 모르는 상태에서 낯선 지식들과 계속 부대껴야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17/11/06 14:02
'생활코딩'사이트를 추천합니다. 웹, 앱, 게임 등 분야에 따라 말씀드릴게 다른데 일반적으로 여기가 제일 낫더군요.(무료 사이트입니다) 초보자에게 책 읽는 과정은 되도록 추천하지 않습니다. 일단 재미가 없고 매우 막연하거든요. 영상 보면서 실습을 통해 작은 성취감들을 따라가시기 바랍니다. 그러다보면 프로그래밍이 뭔지 감이 잡히실거에요. 그리고 내가 무엇을 모르는지 알게 됩니다. 그 다음에 만들고 싶었던 프로그램 만들어 본다면 매우 이상적입니다. '어느정도'라는 수준이 무얼 말씀하시는지는 모르겠지만, 어설프더라도 제작에 도전하는 정도라면 충분하지 않을까요.
참고로 입출력 함수와 if문, for문만 조합해도 간단한 텍스트게임, 텍스트노벨 게임 만들 수 있습니다. 공부하시면서 '그정도는 너무 쉽지 않나?'라고 생각되신다면 초보를 벗어난겁니다. 만드는 방법은 커녕, 어떻게 만들어지는조차 모르는 사람이 태반이거든요. 물론, 목표하시는 바가 이거보다는 위일 가능성이 높겠지만.. :^) 요는 응용과 실습입니다. 스스로 응용, 실습 거리를 찾아서 프로그래밍 하는 사람들이 있어요. 이런 분들이 빨리 습득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