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9/11 03:12
총 가짓수: 343
2자리수로 표현가능한 수: 100 불가능하죠. 343개의 정보를 겹치지 않게 100개의 부호로 표현하는건 불가능하죠.
17/09/11 07:09
자연수만 사용한다는 전제하에
6개까지 살수있으면 경우의수가 343개라서 2자릿수(i.e. 0부터 99까지의 100개의 수)로는 모든 경우의 수를 구별하는게 불가능합니다. 만약 최소 1개는 산다고 해도 경우의수는 216개라서 마찬가지고요. 곱셈을 쓰든 자릿수를 나누든 뭔짓을 하든 마찬가지입니다.
17/09/11 07:33
두 자리에 정보를 넣으면 가능할것 같기도 하네요.
예를들자면 첫번째 자리는 1은 모두 다른 숫자 이면서 첫 번째가 가장 큰 경우 2는 모두 다른 숫자 이면서 두 번째가 가장 큰 경우 3은 모두 다른 숫자 이면서 세 번째가 가장 큰 경우 4는 첫 번째와 두번째가 같은 숫자 . . . 0은 세자리가 모두 같음 숫자의 두 번째 자리에는 세자리의 합이 10을넘는 나머지값 중 짝수 등으로 말이죠. 물론 검증은 하지 않았습니다만 경우의수가 확실히 줄어들것 같기는 합니다.
17/09/11 10:43
감사합니다. 그나마 질문의 의도와 가장 부합하는 답변을 해주셨네요. 근데 이건 수학적으로 접근하시면 안됩니다ㅠㅠ 윗 댓글들 말처럼 그렇게 접근하면 애초에 불가능입니다. 말씀하신 방법은 분류를 체계적으로 하기위한 기술방법이지 정보를 넣는 방법은 아닙니다.
장소에 관한 생략을 하지않았을때는 132536이 되는데 경우의 수가 훨씬 많아집니다만, 생략함으로써 줄어들었죠. 이런식의 방법을 해야됩니다. 제가 생각한건 한자리수를 두가지로 표현함으로써 10개를 더 얻었다는것 정도네요. 그러니까 01,02,03외에 1,2,3 이런식으로 표기함으로써 경우의 수를 늘리는거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