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9/10 20:37
모바일과 스팀은 보통 30% 정도 유통 플랫폼에서 떼어간다고 알고 있고요. 온라인은 자체 서비스 아니고 퍼블리셔가 있으면 계약에 따라 나눠갑니다. 모바일이나 스팀도 중간에 퍼블리셔가 있으면 또 나머지에서 나눠야 하고요.
17/09/10 20:40
구글스토어랑 애플은 보통 30% 떼어가고
다시 퍼블리션과 개발사에 경우 남은 70%에서 반땡해서 나눠 먹는경우도 많습니다. 개발사에 전체 수익에서 10% 가져가는 경우도 보았고요. 10억 매출 나왔다면 거기서 1억만 가져간다고 생각하면 되요. ㅠ_ㅠ 왜 플랫폼 산업에 뛰어드는지 알수 있는거죠..
17/09/10 20:54
플레이스토어 - 구글이 30%
원스토어 - 통신사가 30%.. (지만 사실 조건에 따라 이건 좀 덜 먹습니다.) 앱스토어 - 애플이 30% 중국발 스토어 - 협의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중국 업체가 30~50% 스팀 - 벨브가 30% 참고로 애플이 엄청 예전에 30%에 준하는 수수료.. (아이튠즈도 30%가 조금 안됩니다)를 받기 시작한게 플랫폼 홀더 수수료에서는 기준점이 되긴 했습니다.. (스팀, 플레이스토어, 원스토어, 중국발 스토어 모두 애플 이후에 생긴 스토어라서..) 그럼 70%가 남는데 여기서 '퍼블리셔가 있다면 여기서도 나눠먹습니다' IP나 for kakao 같은거 붙이면 여기랑도 나눠먹습니다. 그리고 남은돈으로 인건비+서버비를 비롯한 기본 비용등등.. 다 처리하고 남는게 수익이죠.
17/09/11 19:37
총 매출 100% 기준
애플 / 구글 30% (고정) > 플랫폼 수수료. 카카오 퍼블리싱 (for kakao) 30% > 애플, 구글의 수수료를 제한 70% 의 30% 를 가져갑니다. (21%) 퍼블리셔:개발사 = 8:2 ~ 4:6 정도까지 다양합니다. 게임이 흥행 보증이냐 / 전작 성공 경험이 있냐 / 개발력이 검증되었나 등 에 따라 바뀝니다. 월 100억을 번다고 치면... 애플/구글 30억 카카오 21억 (5:5의 경우) 퍼블리셔 24.5억 / 개발사 24.5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