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6/18 08:23:40
Name 만일....10001
Subject [질문] 대학생이 용돈 100받으면 어느 정도 인가요? 그리고 평균 생활비는 얼마가 드나요?
한때 제가 저렇게 살았는데요(지금은 과외로 제가 100프로 벌어서 씁니다)

주거비 제외하고 (식비포함)100이면 어느정도 인지가 궁금합니다.

어디 뉴스에서 봤는데 대학생들이 평균 116만원 정도를 쓴다고 봐서요...

Pgr분들의 솔직한 의견이 듣고 싶습니다


수정:순수용돈 100이 아니라 식비 포함해서 100이라는 뜻입니다 설명이 부족했네요 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ignature
17/06/18 08:25
수정 아이콘
전 직장인인데 100안써요
파급효과
17/06/18 08:26
수정 아이콘
자취해서 방값 포함이라고 하면 무난한 수준이고, 방값 제외 순수 용돈이면 최상위권이죠. 생활비야 뭐 편차가 너무 크니 평균내기는 어렵겠구요. 저같은 경우도 사회초년생이고, 연봉은 세후 5천 조금 안되는데 주거비 제외 한달에 백정도 씁니다.
광개토태왕
17/06/18 08:27
수정 아이콘
자취 안한다면 최상급인데요
칼라미티
17/06/18 08:28
수정 아이콘
방값에 책값에 통신비+교통비+공과금 포함하면 무난한 수준입니다.
17/06/18 08:33
수정 아이콘
주거비 제외하면 저만큼 받는사람 흔치않죠
사나없이사나마나
17/06/18 08:35
수정 아이콘
차까지 있으면 백퍼 진심으로, 없다면 반농반진으로 금수저 소리 들을 정도 아닌가요? (실제 금수저이냐 아니냐와는 별도로요.)
율곡이이
17/06/18 08:38
수정 아이콘
대학생 평균 116만원은 방값 포함일텐데.. 그거 제외하고 100만원이면 많은 편이죠 , 특히 부모님과 같이 사는데 100이면 금수저
만일....10001
17/06/18 08:48
수정 아이콘
그 자료에서는 방값이 21만원으로 나왔거든요. 물론 통학이 포함되서 낮게 나온거지만 그거 감안하면 95만원으로 평균정도 아닌가요?
율곡이이
17/06/18 08:54
수정 아이콘
와.... 방값 포함해서 80만원 내에 사는 저한테는 좀 충격적이네요.. 대학생때는 30만원 도 안 쓴거 같은데...
미카엘
17/06/18 08:43
수정 아이콘
용돈 100이면 제 기준 은수저 이상입니다~
Cazellnu
17/06/18 08:44
수정 아이콘
직장인도 방값포함 100안쓰는사람 많을걸요
미메시스
17/06/18 08:47
수정 아이콘
제 대학교 친구가 아버지한테 100 어머니한테 50 매달 150씩 받던녀석이 있는데(통학)
그게 10년도 더된 일이니 지금생각하면 엄청많이 받은거네요
막 금수저까진 아니고 아버지가 은행 지점장이시라고 들었습니다
17/06/18 08:50
수정 아이콘
좀 많네요. 보통 50 내외 정도 아닌가요?
17/06/18 09:02
수정 아이콘
정말 흔치 않죠..
순수 용돈으로만 친다면 직장인 4년차인 제겐 4달치 용돈입니다..ㅠㅠ
무무무무무무
17/06/18 09:03
수정 아이콘
은수저입니다.
17/06/18 09:10
수정 아이콘
500~600 정도버는 가정을 가진 직장인도 순수 용돈으로 100정도 쓰기 힘들수도 있습니다. 직장인이 그정도 벌면 최소 상위 20% 정도안에 들어가는 소득 일듯 합니다.
17/06/18 09:10
수정 아이콘
더 많이 받는 사람도 있겠지만 절대량으로 보면 많은편일겁니다.
현호아빠
17/06/18 09:14
수정 아이콘
네 많은편입니다..
17/06/18 09:14
수정 아이콘
직딩인 저도 한달용돈 30인데 ㅜㅜ 부럽습니다.
순수 용돈이라면 상당한 상위권으로 보입니다.
Ishihara Satomi
17/06/18 09:18
수정 아이콘
수업듣고 과제하고 뭐 하면 100 쓰기도 힘들겠다..
반전여친
17/06/18 09:23
수정 아이콘
보통이요
살려야한다
17/06/18 09:24
수정 아이콘
정말로 대학생 되서 용돈을 100 받으면서 생활하면 최소 은수저가 아니면 등골브레이커죠.
17/06/18 09:31
수정 아이콘
밥값 숙박비 통신비 교통비 다 고려해야되는데 100만원이란 액수 하나만으로는 판단이 절대 안되죠
어차피 다 자기가 다니던 시대에 제일 아껴쓰던때 기준으로 달거라 헤픈 사람이란 말 많이 나올겁니다... 시대가 달라진걸 이해 못하는 사람이 너무 많죠
예리美
17/06/18 09:32
수정 아이콘
음, 저도 직장인인데....... 용돈이 한 30정도 되는거 같애요.
대학생이 순수한 용돈으로 100을 쓰기는 어려울꺼같은데......
정유미
17/06/18 09:36
수정 아이콘
일반 직장인보다 많은 경우네요.
17/06/18 09:37
수정 아이콘
생존하는 데 필요한 모든 비용이 월 100이면 모를까 용돈만 그렇게 받는 거면 엄청나죠. 용돈 없이 장학금과 앵벌이로 근근히 버티던 옛날이 생각나 눈물이
방민아
17/06/18 09:52
수정 아이콘
많은 편이에요. 저도 100정도 썼는데 그게 많이 쓰는거였단걸 요즘들어 느끼고 있습니다.
자바초코칩
17/06/18 09:55
수정 아이콘
서울은 모르겠는데, 부산 기준으론 엄청 많은 편입니다.
월세+공과금+생활비 포함 금액이라도 많은 편이라고 생각해요
아칼리
17/06/18 09:57
수정 아이콘
은수저 or 등골브레이커
개념테란
17/06/18 10:05
수정 아이콘
116만원이 보통 생각하는 용돈은 아닐듯한데요. 그렇게 받는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생활비까지 다 포함된게 아닐지
17/06/18 10:06
수정 아이콘
순수하게 용돈만 100이면 많은 편이구요. 저도 학생때 통신비 방세 장보고 옷 사입는건 집에서 주는 카드 썼고 순수 용돈은 50이었네요.
복정동치킨도둑
17/06/18 10:10
수정 아이콘
자취한다고 할때 평균적으로 월세 40 + 공과금(통신비포함) 10 이것만해도 고정지출이 50입니다.
식비에 기타 학교 생활만해도 사실 빠듯할수있는 금액이라고 생각해요. 금수저니 은수저니 등골브레이커는 말도 안되고요
무무무무무무
17/06/18 10:22
수정 아이콘
그래서 주거비를 빼고 물어보셨죠.
1perlson
17/06/18 10:10
수정 아이콘
그 통계는 토익학원비 뭐 그런거 다 포함 아닌가요? 그런거 아니어도 일단 많아 보이는 통계인데 용돈은 그냥 내가 사고 싶은거 사는돈 아닌가요? 생활비랑 항목 구분이 필요한 것 같고 일반 가정에서 용돈이야 100만원 주는게 평균일꺼라 생각하면 그냥 엄청 부유하거나 등골브레이커라는 생각이 드네요
만일....10001
17/06/18 10:14
수정 아이콘
순수용돈은 아니고 식비는 포함이에요 ㅠ 제가 집에서 밥먹을 일이 없어서요
1perlson
17/06/18 10:22
수정 아이콘
식비 정도라면 용돈에 넣을 수 있는 부분인데 당연히 보통 학생들 처럼 선택의 여지가 없어서 학식만 다니고 그러는건 아닐테니 정몽준 버스비만큼은 아니지만 엄청 충격적이긴 합니다. 용돈 백단위는 당연히 들어본 적은 있지만 어디서 한 둘 이정도로 부우한 집 이야기였거든요. 그냥 못사는집과의 괴리감이겠죠
IRENE_ADLER.
17/06/18 10:26
수정 아이콘
저는 졸업한지 좀 되서 제 경험에 비출 일은 아닌 것 같고 말씀하신 기사를 찾아보니 월평균 지출액이 117만원이라는 거고 거기에는 1년 등록금도 포함된 듯 합니다. 기사만 보면 지방 출신이 수도권으로 진학한 경우 평균 용돈 46.3만원, 수도권 출신은 평균 33.8만원이라고 나오고 전체 평균은 37.1만원? 그 외 의식주비용은 지방 출신은 75.1만원, 수도권 출신은 48.2만원이네요. (어마어마하게 많이 받고 어마어마하게 쓰신 겁니다..) -> 아래 댓글 달고 보니 만약 저 항목 대부분을 용돈받으신 걸로 해결보셨다면 그렇게 많이 받고 많이 쓰신 게 아닐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듭니다.
IRENE_ADLER.
17/06/18 10:32
수정 아이콘
기사 다시 보니 등록금 별도로 지출 117만원이네요 ;
내역을 보니 주거비 21.6만원 식비 23.6만원 부식비 8.9만원 의류/미용 9.1만원 문화/유흥 12.8만원 교통비 8.8만원 통신비 7.1만원 학습비? 4.6만원 학원비? 5.8만원 학과활동비 5.5만원 기타 4.1만원 저축 5.7만원.. 그런데 이건 순수 지출 내역을 의미하는 거고 용돈은 37.1만원이 맞네요. 나머지는 용돈 형식이 아닌 부모님이 대준다는 식의 이야기인 것 같은데.. 제가 졸업한 지 좀 되긴 했는데 주거비 제외 40만원으로 저 항목 다 떼운 거 생각하면 저도 참 어지간하게 살았던 모양입니다 덜덜..
17/06/18 10:27
수정 아이콘
용돈을 100받는다 ---> 많이 받음
한 달 쓰는 돈 100 ---> 그럴 수 있다
만일....10001
17/06/18 10:33
수정 아이콘
정확히는 한달 쓰는돈에 가까워요 ㅠ 제가 표현을 잘 못해서 오해가 생겼네요
bemanner
17/06/18 10:29
수정 아이콘
월 100쓰는 거는 등록금 포함해야 가능한 거 아닌가요?
용돈 100은 어마어마한겁니다.
칼라미티
17/06/18 10:29
수정 아이콘
글이 수정됐군요 흐흐
주거비 빼고 100이면 확실히 많네요. 일단 제 친구 중에선 딱 한명 있군요.
디에고코스타
17/06/18 10:32
수정 아이콘
주거비 제외 순수 용돈으로 100 받으면 많이 받는거죠. 통신비 등도 제외인거죠?

그리고 대학생이 평균 116만원을 쓴다 = 용돈 116만원 가량을 받는다는 뜻이 아니죠. 말 그대로 받은 돈이 아니라 쓰는 돈이니.. 자기가 아르바이트로 벌어서 쓰는 돈이랑 주거비도 포함되니까요.
만일....10001
17/06/18 10:34
수정 아이콘
통신비는 포함입니다. 제가 표현을 잘 못해서 오해가 생겼네요 ㅠㅠ
저격수
17/06/18 10:37
수정 아이콘
(1) 용돈 100 받고 다녔습니다. 누구 말마따나 등골브레이커였나 보네요.
(2) 등록금은 한 푼도 낸 적 없습니다. 장학금 받고 다녔습니다. 그 와중에 주2회 2시간 과외 뛰고 80만원 정도 받았던 것 같습니다.
(3) 씀씀이가 좀 큰 편이긴 합니다. 여기저기 많이 놀러도 다니고, "대학생을 타깃으로 한" 대학가의 중저가 음식점은 거의 쳐다보지도 않았던 것 같습니다. 학생들은 맨날 학식만 가야 되고, 공부 안 하고 있으면 죄악이라 생각하시나 보네요.
피식인
17/06/18 10:38
수정 아이콘
주거비 제외하고 100이면 상당히 많이 받는 편이 아닐까 싶어요.
네가있던풍경
17/06/18 10:39
수정 아이콘
이게 은수저라니 흠..
Meridian
17/06/18 10:43
수정 아이콘
연애하면 한달 80-90은 쓰지않나요? 옷값에 미용실값에 식비도 요즘 한끼에 6000원하는데...
17/06/18 10:46
수정 아이콘
저는 전세로 자취하면서, 용돈 85+알바비 50 이렇게 썼네요. 통신비, 공과금은 제가 내고 저축은 전혀 안했구요.
그렇게 여유있는 생활도 아니었고, 이정도로 은수저는 정말 아닌거 같아요. 제 주위기준 평균 정도기도 했고
피지알중재위원장
17/06/18 10:50
수정 아이콘
통학하며 100이면 많이 받는 편이긴 하죠. 그렇다고 금수저 소리 들을 정도는 절대 아니고요.
특별히 쇼핑을 지르지 않는 이상 뭘하고 뭘먹든 돈 걱정은 없을만한 액수니까요. 대학생 기준으로요.
그런데 리얼 금수저 친구들은 보면 용돈이란 개념도 없더라고요. 그냥 쓰고 집에선 그냥 줌...
Outstanding
17/06/18 10:54
수정 아이콘
용돈으로 100만원씩 받는다면 많은거 같고, 그냥 100만원 쓰는거라면 그럴수도 있지 수준 같네요. 저도 과외하면서 많이 벌고 많이 쓰고, 필요하면 엄카도 쓰고 했으니 달에 100은 썼을거에요...
17/06/18 10:58
수정 아이콘
식비포함 100이면 의외로 꽤 많습니다. 용돈만 100이상 받는 대학생도 많아요. 굳이 얘기하고 다니지 않아서 그렇지..
17/06/18 11:07
수정 아이콘
와..엄청 많이받으셨네요 ..
분기에 10만원 정도 받은것같은데..
등록금은 국장이나 학자금대출받고
알바해서 월세내고 폰값내고 식비쓰고 데이트비용도 마련하느라 죽을맛이었는데...부럽네요..
적당히 모자라지 않게 산다...하는 친구들은
순수용돈만 50정도 받더라고요
누네띠네
17/06/18 11:11
수정 아이콘
집에서 통학 하면 모르겠는데 자취하면서 분기에 10만원 말고 나머지 다 버는 애들은 준프로 과외 선생들 아니곤 못본 것 같아요.
17/06/18 11:13
수정 아이콘
저 ....술집이랑 청소업체랑 이거저거 잡일로 겨우겨우벌어먹고 살았네요...큭..ㅜㅜ
누네띠네
17/06/18 11:14
수정 아이콘
정말 대단하십니다!
누네띠네
17/06/18 11:09
수정 아이콘
대강 지금 자취하는 대학생들 기준으로 볼 때

핸드폰 기기값 + 요금 5만원
책(학기초/4) + 복사 요금 2만원

식비.
아침: 20번 정도 집에서 보내준 반찬 먹고 밥 해먹는다 치면 쌀값+가끔 해먹는 계란 후라이 값 만 원.
빵 5번 정도 사 먹으면 만 원
점심&저녁: 30번 정도 학식 먹는다 치면 12만원
친구들과 주 2.5회(점심&저녁 둘 다) 외식 - 10번 정도 10만원 (점심 or 저녁 다 포함)
2주에 치킨 한 번 시켜 먹을 때 3만
기타: 커피 1주에 2번은 프랜차이즈 2번은 테이크아웃한다 칠 때 아메리카노만 마시면 5만원
1주에 1번 친구들과 술 마실 때 - 6만원
데이트 1주에 1번 (점심+저녁+디저트) 더치 한다 칠 때 - 10만원
문화 생활: 1달 기준 연극 1회 영화 2회 기타 콘서트or공연or스포츠1회 관람 등 - 6만원
의복비: 4만원 (대강 1년에 외투 2벌, 바지 3벌, 셔츠 3벌, 티 3벌, 신발 한 켤레) 정도 산다 칠때
교통비: 택시 2주에 1번 탄다 칠 때 1.5만원
버스+지하철 월 10회 왕복 3만원
기타: 다이소에서 생활 용품 구비 혹은 가끔 쓸데 없는 식비 지출 1.5만원
이러면 70만원 듭니다.

스펙 쌓으랴 학원 다니고 동아리 활동할 때 엠티 한 번 가고 기념일 때 좀 좋게 지내거나 친구들 생일 선물 챙기고 하는등 사회 생활 비용 합치면
80 정도는 한 달에 꼬박 쓰게 되는 것 같습니다.

이거 보다 적게 쓰기는 힘들 것 같네요.
100 쓰는건 옷 좀 더 사고 외식 좀 더 하거나 혼자 밥 좀 더 잘 먹고 하면 써집니다.
예쁜여친있는남자
17/06/18 11:10
수정 아이콘
전 120씩 받았는데 대신 제가 주거 빼고는 정말 다 해결했죠. 시험공부할때도 다 제가 감당했습니다 크크 등골브레이커는 아니라 생각합니다.
안희정
17/06/18 12:00
수정 아이콘
주거비를 빼고 100이면 많이 받으셨네요
17/06/18 12:07
수정 아이콘
자취라면 적당한것 같고, 집에서 등하교하는거면 많이 쓰는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저는 중학생때 이후로 주기적인 용돈은 안 받아서 제 기준으로는 엄청 많이 받는거긴 합니다. 그 돈 모으면 매년 방학마다 한달짜리 여행 갈 듯 하네요 크크
나이스후니
17/06/18 12:37
수정 아이콘
자취하시면 하루 밦갑 1.5만×30일 하면 대충 45정도고 순수용돈은 55이면 약간많은 정도인것같습니다. 근데 자취면 눈에 보이지않는 비용(휴지, 비누, 삼푸등)이 나가는것도 있죠. 제 생각엔 약간 많지만, 합당한정도로 보이고요. 집세서 다니시는걸 기준으로하면 조금 많은것 같습니다. 10년전 대학생일때 제 용돈이 식비제외하고 15~20정도였는데, 문화생활한번하기도 부담되더군요.
최종병기캐리어
17/06/18 12:38
수정 아이콘
확실히 시간이 많은 대학생이 직장인보다 많이 쓸 수 밖에 없죠.

직장인되면 돈 쓸 시간이 없어서 '한번에 몰아서' 쓸 수 밖에 없어요... 게다가 회사 비용으로 해결하는 것들도 생각보다 많고...
파랑파랑
17/06/18 12:39
수정 아이콘
자취해도 상위권, 안하면 최상위권.
직장인인데 한달 용돈 30 -_-
17/06/18 12:56
수정 아이콘
교통비 10만원
통신비 5만원
기본 식비 30만원(하루 두끼,5000원씩)
여까지만 45만원인데 이거보다 적게 쓰는거 되게 어렵지 않나요?

저 학생때는 여기에 아주 보수적으로 잡으면
일주일에 한번 데이트 12-16만원
도서 구매 등 문화생활 5-10만원
지인들과 술자리(한달에 2-3번) 10만원

대략 70-80만원 나오는데 여기에 뭐 특별히 엠티를 간다거나 선물을 사야한다거나, 술먹을 일이 생긴다거나 학원 등록을 한다거나 옷을 산다거나 하면 100소비도 금방 되지 않나요?
특별히 사치를 부린다고 단 한번도 생각한 적이 없는데도요
새강이
17/06/18 13:25
수정 아이콘
기숙사 15
교통 6
식비 30
취미 10
통신 4

옷이나 신발은 부모님이랑 같이 쇼핑가서 사서 안들어가네요

하지만 돈 더 쓰고 싶으니 연애하고 싶은것은 함정..
17/06/18 13:43
수정 아이콘
한달 쓰는 돈이 100만원 가까이라면 보통보다 조금 나은 수준이네요.
주거, 교통, 식비, 통신 등등으로 나누는 걸 제외하고도 기타 잡비용 발생하잖아요?
병원비라든지, 옷값이라든지, 치과치료라든지....
이것까지 다 포함해서 116만원이라면 평균보다 조금 높은 수준이 아닐까 싶네요.
17/06/18 14:01
수정 아이콘
직장인은 회사에서 밥주고 시간 다 뺏으니까 덜쓰죠...
이성경
17/06/18 14:06
수정 아이콘
비싼 물건 구입하는 거 아니면 일반적으로 대학생이 돈 쓰기 더 쉽긴 합니다. 직장인은 돈 쓸 시간 자체가 없어서요... 순수 용돈 100이면 많긴 하네요. 분명 상위권일 듯.
방향성
17/06/18 14:59
수정 아이콘
소비 지향이 너무 크네요. 자기가 버는 것도 아니면서 이것저것을 당당하게 쓰는게 돈 번지 십몇년이 된 상황에서 잘 이해는 안가네요.
17/06/18 15:07
수정 아이콘
자취인지 통학인지 여부가 엄청 차이난다고 봅니다.
자취하면 식비부터해서 기본 50만은 더 들어간다고 봐요..
바카스
17/06/18 15:08
수정 아이콘
전 삼성전자 대졸 연구개발직군 5년차.
와이프는 대졸 아시아나 국제선 6년차.

제 한달 용돈 25...ㅜㅜ (옷 핸드폰 유류비 다 제외하고 순수 개인 사비)
메모네이드
17/06/18 15:22
수정 아이콘
저는 남편 삼전 다닐 때 용돈 10만원 줬어요.
맞벌이라 그런지 많이 받으시는거 같아요.
흐흐
바카스
17/06/18 15:27
수정 아이콘
10만원요...? pi나 ps 때 그래도 조금은 더 주셨죠...?
메모네이드
17/06/18 22:52
수정 아이콘
그건 빚갚느라 다 썼어요. 흑
치킨은 먹었습니다..^^
회전목마
17/06/18 20:39
수정 아이콘
좀만 더 챙겨주세요 ㅜㅜ
메모네이드
17/06/18 22:56
수정 아이콘
으음 별로 부족해 보이진 않는데 고려해 보겠습니다.
크크크
욕심쟁이
17/06/18 15:11
수정 아이콘
대학생 평균 용돈 41만원 정도입니다.
동네형
17/06/18 17:44
수정 아이콘
주거비(기숙사, 자취 등) 제외하고 받는거면 어마어마한거죠
17/06/18 21:27
수정 아이콘
하루 만원쳐서 30만원이 용돈이었는데...
이혜리
17/06/18 21:55
수정 아이콘
전 입학 때 부터 졸업 때까지 짤없이 40만원 받았었어요.
2학년 때 부터 빡세서 과외며 알바 같은걸 항상 달고 살았는데 나중에는 모자라서 생활비 대출도 받았는데..
Surrender
17/06/19 03:25
수정 아이콘
결혼하고 유부남들 용돈 10만원 20만원인 경우가 있다고 하던데 현실에 진짜 존재하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4398 [질문] AutoCAD 와 자동차보험 2가지 질문입니다. [9] 회전목마2862 17/06/18 2862
104397 [질문] [WoW] 야수냥꾼 키우는법 문의드립니다 [14] 힙합아부지3715 17/06/18 3715
104396 [질문] 문재인 육아휴직 공약/기존 육아휴직자는 어찌될까요? [4] 삭제됨1955 17/06/18 1955
104395 [질문] 좋은 취미나 동호회 활동을 하고 계신가요? [31] endeavorhun4379 17/06/18 4379
104394 [질문] 레고 관련 질문 (21309 새턴) [9] 짱구2836 17/06/18 2836
104393 [질문] 핸드폰 케이스 질문 드립니다 웨잉루니1299 17/06/18 1299
104392 [질문] 갤6 이 화면 없애는 법은? [2] 파란무테1947 17/06/18 1947
104391 [질문] 페이커(여자) vs 김연아 [29] lenakim6042 17/06/18 6042
104390 [질문] 서울 라이트노벨이나 판타지 취급하는 대여점이나 만화방(만화카페) [3] 정신차려블쟈야4342 17/06/18 4342
104389 [질문] 카톡에 딜레이가 있습니다 mimia1858 17/06/18 1858
104388 [질문] 무협, 판타지 소설 추천 부탁드립니다. [16] 보로미어9711 17/06/18 9711
104387 [질문] 1월초에 여행지를 찾고있습니다. [5] Jeffrey Marte1576 17/06/18 1576
104386 [질문] 콜 오브 듀티: 인피니트 워페어 싱글캠페인 어떤가요? [4] 불같은 강속구2257 17/06/18 2257
104385 [질문] [공무원] 세무직 면접 다시 한번더 질문드립니다. [5] 법덕법덕4453 17/06/18 4453
104384 [질문] 아반떼HD 중고차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9] 원스3671 17/06/18 3671
104383 [질문] 스마트폰 중고기기 변경에 대하여 [2] Let'sBe1360 17/06/18 1360
104382 [질문] 고전 싱글 RPG 추천 부탁드립니다. [27] 방청객13521 17/06/18 13521
104381 [질문] 숫자 단위끊는 콤마를 쓸때 천단위로 끊는이유? [15] fhbtyjs6876 17/06/18 6876
104380 [질문] 토끼는 다리 말고는 고기가 안 나오나요? [4] 예쁜여친있는남자2607 17/06/18 2607
104379 [질문] 저의 헬스장 루틴? 프로그램 좀 봐 주시겠어요? [4] 사이시옷2526 17/06/18 2526
104378 [질문] 서울 근교 한적한 곳에 혼자 가서 돗자리 펴고 노래 듣고 싶어요. [8] 뀨뀨3351 17/06/18 3351
104377 [질문] 연애에 있어서 지성미가 큰 매력포인트가 될 수 있을까요? [17] 더치커피6734 17/06/18 6734
104376 [질문] 가상화폐, 비트코인 투자 관련 질문 [13] Senioritis3239 17/06/18 323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