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5/30 21:15:10
Name 오빠언니
Subject [질문] 결혼후 집안일에대해 궁금한 점
딱히 이유는 없이 궁금해졌습니다.
여러분은 주방일(밥짓기+설거지) : 주방일을 제외한 모든 집안일을 비율로 따지면 몇대 몇 정도 된다고 생각하세요? 물론 케바케에 안하는일 꼼꼼하게 하는일 등등 기준이 제각각이겠지만
그냥 제각각인 기준에 따라 대답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4:6봅니다만.. 다른분들 의견이 불현듯 궁금해서 글 남겨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5/30 21:21
수정 아이콘
애기 낳기 전은 3(저):7 정도 였던 것 같고, 애기 낳은 이후는 7:3 인 것 같습니다.
애 보는데 녹초가 되더라구요.
타츠야
17/05/30 21:25
수정 아이콘
첫째 낳았을 때는 회사가 바빠서 잘 못 도와줬는데 둘째 낳고 칼퇴근을 할 수 있는 외국회사로 이직한 후에는 퇴근하면 요리 빼고 제가 거의 다 합니다. 아내는 저와 아이들 뒷바라지 하느라 퇴근하면 많이 힘들어 해서요. 요즘엔 아침에 아이들 도시락통 싸 주고 출근 전에 고양이 화장실 청소하고 가는데 아내를 잘 도와줘서 스스로 뿌듯합니다.
하우두유두
17/05/30 21:26
수정 아이콘
3대 7갑니다.
빨래 분리수거 청소 다림질 따지면 그럴것같아요.
아스날
17/05/30 21:31
수정 아이콘
이상적인건 5대5
현실은 제가 5.5 와이프 4.5 입니다.
요리는 와이프가 대부분하고 설거지는 제가 대부분합니다.
맞벌이하고 와이프가 대학원도 병행해서 다니기 때문에 제가 더 열심히 도와야죠.
17/05/30 21:39
수정 아이콘
애가 없으면 5:5 정도. 애가 있으면 7.5:2.5 정도로 봅니다. 주방 일이 생각보다 할게 많아요.
토폴로지
17/05/30 21:56
수정 아이콘
뭐든 내가 더 해야지 라고는 생각하지만 결혼할 수 있을까요. 후 샏
17/05/30 22:35
수정 아이콘
맞벌이가 아니라면 의미 없는 질문이라고 보고 맞벌이라면 기본 5:5에서 시작해야 되겠죠. 현실적으로는 체력 차이로 7:3정도로 하고 있네요. 맞벌이에서 집안일은 도와 주는 개념이 아니라 함께 하는 개념이란 것을 항상 명심해야죠.
17/05/30 22:56
수정 아이콘
이 질문도 어느 정도는 화장실에서 일 보고 손 씻느냐는 질문과 비슷하지 않을까 해요 ^^;
나름 스스로 생각하기에 나는 할 만큼은 한다..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적극적인 표현을 하실거라....
독수리가아니라닭
17/05/30 23:00
수정 아이콘
5대5로였는데 애 생기고 나서 급속하게 9대1 정도로 변해 버렸습니다. 흑...
cHocoBbanG
17/05/30 23:08
수정 아이콘
주방일에는 장보는게 포함되요 그래서 적어도 6:4는 된다고 봅니다. 세끼 다 찾아먹는다면 7:3
메모네이드
17/05/30 23:45
수정 아이콘
애 둘 키우는 전업주부인데 6:4 정도 되는거 같습니다.
장보기+요리하기+상차리고 먹이고 치우기+냉장고 및 주방 정리(가스렌지나 냉장고 청소)하면 진짜 끝도 없이 할 수 있습니다. 애 없거나 요리 안 하면 3:7 될까 말까 하고요.
솔로12년차
17/05/30 23:45
수정 아이콘
질문은 집안일을 어떤 비율로 나누느냐가 아니죠?
희원토끼
17/05/31 00:48
수정 아이콘
18개월 애1키우는 전업...남편 시키는건...음........가끔 쓰레기 내다버리라는거? 아기 더 어릴땐땐 설거지나 청소..등등 그때그때 필요한 집안일 해달라고 할때 해주는정도였고..다만 집이 개판오분전이거나 외식으로 때워도 거의 암말 안해요.
17/05/31 01:16
수정 아이콘
7:3 정도 되지 않을까요.
청소는 쓸고 닦고 30분이면 되는데 일주일에 두어번 하는거 같고, 화장실청소도 일주일에 한번이고 빨래는 세탁기가~너는건 십분이면 되고요.
하루에 아침저녁 챙겨먹으면 밥하고 요리하는데 끼니당 기본 30분은 깔고 가고 설거지 10분..

암만 봐도 밥 사먹기만 하면 집안에서 할일이 음슴미다
17/05/31 02:05
수정 아이콘
요리+설거지+장+아이식사 : 청소+빨래+쓰레기+식사 이외의 육아로 나누면 5:5 생각합니다. 육아 관련을 다 빼면 7:3 정도?
최초의인간
17/05/31 02:25
수정 아이콘
출산 전에는 5:5 내지 4:6 정도였는데, 와이프가 집안일에 비교우위가 있다보니 출산 후에는 육아 제외하고 2:8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물론 출산 후 첫돌까진 ??:?? 였습니다. 무슨 정신으로 살았는지 기억이..). 제가 바빠진 탓도 있지만, 집에 있을 때도 집안일 있으면 제가 아이를 마크하고 아내가 후다닥 처리하는 식으로 형평보다 능률을 중시하게 되었다는..
헛스윙어
17/05/31 05:52
수정 아이콘
5:5정도로 봅니다.
우리 커플은 먹는거에 예민해서......
오빠언니
17/05/31 06:52
수정 아이콘
답 주신분들 감사합니다~ 역시 진리의 케바케
17/05/31 11:12
수정 아이콘
맞벌이할땐 5대5였네요. 청소 등은 제가, 주방일은 와이프가 식사는 대부분 외식으로 해결. 임신으로 인해 와이프가 휴직한 이후로는 전적으로 와이프가 합니다. 쓰레기 버리는것만 챙기고 있구요.
해나루
17/05/31 11:34
수정 아이콘
질문하고 답변들하고 먼가 좀 다른거 같은데요 크크
브라질너트
17/05/31 19:52
수정 아이콘
첫 리플의 중요성...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3440 [질문] 결혼후 집안일에대해 궁금한 점 [21] 오빠언니3929 17/05/30 3929
103439 [질문] 그래픽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18] 그런데말입니다4224 17/05/30 4224
103438 [질문] 휜팔 교정해보신분이나 교정 전문병원 잘아시는분 계신가요? [2] skWoo3897 17/05/30 3897
103437 [질문] 히오스랑 롤같이 하시는 분들께 질문 [25] 초갈3811 17/05/30 3811
103436 [질문] 안드로이드 nfc 개발자분들께 조언을 구합니다. [4] 삭제됨16899 17/05/30 16899
103435 [질문] 게임 매출 데이터 구할 수 있는 곳 부탁드립니다 [1] purplesoul2076 17/05/30 2076
103434 [질문] 10분뒤에 치킨 시킬 생각인데 순살 치킨 추천 부탁 드립니다. [13] 원스11307 17/05/30 11307
103433 [질문] 이건 제가 프로불편러 인가요? [52] 카스트로폴리스5320 17/05/30 5320
103432 [질문] c언어 독학 가능한가요??? [15] 배글이6610 17/05/30 6610
103431 [질문] 자정 뜻에 대한 질문입니다 [2] 곰비3379 17/05/30 3379
103429 [질문] 남자 혼자서 춘천에 3주 머무르게 됬습니다. [12] 실버벨3879 17/05/30 3879
103428 [질문] 다이어트중인데 콜라가 미친듯이 먹고싶어요 [34] 주여름4806 17/05/30 4806
103427 [질문] 최근에 KT 인터넷, 핸드폰 결합상품 전화 받아보신 분 계신가요? [6] 오버2548 17/05/30 2548
103426 [질문] 운전면허를 재발급 받으려고 하는데, 받으려는 지역이 달라도 상관 없나요?? [5] 원스2472 17/05/30 2472
103425 [질문] 한 모집군 속 개인마다의 특정 증감률에 관하여... [12] 하나1771 17/05/30 1771
103424 [질문] [WoW] 초보 와우저 아재의 질문입니다 [41] 힙합아부지4436 17/05/30 4436
103423 [질문] 주식 단타는 안좋은건가요? [26] 칼퇴추구자11411 17/05/30 11411
103422 [질문] U20 월드컵 인천 경기장 관련 문의 spike661902 17/05/30 1902
103421 [질문] 군입대 전 준비 관련 질문.. [3] aDayInTheLife2244 17/05/30 2244
103420 [질문] 서울 허리 진료 및 입원 병원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박서의콧털2128 17/05/30 2128
103419 [질문] 숀 코네리와 로저 무어의 제임스 본드 영화 중 최고를 하니씩만 꼽자면? [3] alphamale1889 17/05/30 1889
103418 [질문] 산재처리에 관한 질문입니다. 제보험으로 해결했는데 산재처리를 취소할순없는건가요? [1] 선동가1891 17/05/30 1891
103417 [질문] 60만원대 노트7 리퍼폰 가격은 경쟁력이 있을까요? [7] Jannaphile2708 17/05/30 270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