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2/12 01:05:17
Name 김치찌개
File #1 1.jpg (142.5 KB), Download : 584
출처 이종격투기
Subject [유머] 5가지 예시중 택 1 하시오.jpg


5가지 예시중 택 1 하시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튤립닭발
25/02/12 01:11
수정 아이콘
2.72일마다 5만원은 상대적으로 너무 적네요
지니팅커벨여행
25/02/12 13:44
수정 아이콘
e ≈ 2.7182818…
나른한오후
25/02/12 01:20
수정 아이콘
금액이 뭔가 일관성이..
o o (175.223)
25/02/12 01:22
수정 아이콘
죽을 때까지면 급전 필요하거나 확신의 투자처 있는 게 아닌 이상 ab에서 a를 고를 이유가 있나
아이언맨
25/02/12 01:36
수정 아이콘
a는 투자수익률+복리 감안하고 b는 물가상승률 고려한 현재가치로 계산하면 a가 더 좋은 선택지 일 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물론 현실은 10억 받은지도 모르게 여기저기 쓰고 투자 실패하는 엔딩이 겠지만요
몽키매직
25/02/12 09:12
수정 아이콘
b 는 4% 금리로 16억 빌릴 수 있는 돈입니다.
투자관점에서도 b >>> a
사비알론소
25/02/12 09:53
수정 아이콘
연소득 6500한테 16억 빌려주는 은행이 있나요
그정도 담보잡힐 자산가면 a가 더 유리하지 않을지
몽키매직
25/02/12 10: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근로소득이라는 내용이 본문에 없습니다...
지속적인 확정수입 증빙 가능하다면 사업자 등으로 대출 받을 방법은 은행에서 만들어줍니다.
은행이 대출에 제한을 하는 이유가 회수의 불확실성 리스크 때문인데 그게 없으면 제한을 딱히 하지 않아요.
이재용이 상속세 때문에 돈 빌릴 때 은행들이 줄 서서 빌려주려고 했죠.

근로소득일 경우에는 변수 (감봉, 퇴직, 사망 등...) 때문에 그렇게까지 끝에 딱 붙여서 안해주죠.
같은 근로소득도 전문직과 일반 사무직의 대출 조건이 다른 것도 그런 이유...
사비알론소
25/02/12 14:19
수정 아이콘
확정수입이라도 연 6500에 16억을 해주나요??
전문직한테도 연봉 5배 넘어가게는 안해주는걸로 아는데 20배 넘게 해주는 은행이 있을지요
몽키매직
25/02/12 15:46
수정 아이콘
연봉 비례 대출 자체가 평생 일할 수 있는게 아니고 중간에 끊기는 걸 가정하고 리스크에 따라서 배수가 정해지는 거죠... 그렇게 따지면 개업, 개원시 사업자 대출은 당장 수입이 없어도 가능한데 그건 어떻게 설명하나요. 은행은 돌려받을 수 있는 사이즈 나오는 만큼 빌려주는 거고, 직장인 월급은 표본이 많아서 직종에 따라 대충 연봉의 몇 배 정도면 어지간해서 회수된다 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빌려주는거지, 거기에 사전 정의된 룰이 있는 건 아닙니다. 주택담보 대출도 dsr 따지기 전에는 상환능력 무관하게 빌려주는 경우도 있었고요 (담보가 확실하다는 판단이 되면..) 이 경우도 연 6500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증빙할 수 있으면 그걸 담보로 대출하는 계약을 할 수도 있죠. 아니면 연 6500 받을 수 있는 권리를 판매하거나 등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현금화 방법을 찾아 볼 수 있겠죠.
하이퍼나이프
25/02/12 02:43
수정 아이콘
언제 죽을 예정인지에 따라 좀 다르죠
o o (175.223)
25/02/12 08:53
수정 아이콘
은행 망하는게 아닌 이상 그냥 10억 받는게 낫긴 하겠네요. 복리로 추월하려면 25년 넘게 걸리네;
유료도로당
25/02/12 09:21
수정 아이콘
앞으로 한 50~60년쯤 더살지않겠습니까 흐흐
십자포화
25/02/12 01:35
수정 아이콘
연단위 계산하면 d가 가장 많이 주긴 하네요.
호러아니
25/02/12 02:26
수정 아이콘
세후 기준이겠죠?
e는 뭔가 오타난 것 같고. 대출이 있어서 a가 제일 땡기네요.
유리한
25/02/12 11:27
수정 아이콘
) 가 빠진거..
Jedi Woon
25/02/12 06:14
수정 아이콘
주급 140만원이면 끌리는데 a 택하겠습니다.
허저비
25/02/12 07:23
수정 아이콘
저런~ 여러분들이 고민하시는 동안 차은우씨가 전부 가져가셨어요!
25/02/12 07:33
수정 아이콘
저는 가성비충이라 d인데
e는 오타난듯 크크
25/02/12 07:35
수정 아이콘
급전 필요하면 a 아니면 d로 갈 것 같습니다
그냥사람
25/02/12 07:49
수정 아이콘
D요
스톤콜드 스터너
25/02/12 07:57
수정 아이콘
D택하렵니다
아델라이데
25/02/12 08:10
수정 아이콘
1로 10억 받아서 굴리는게 제일 낫겠네요.
수리검
25/02/12 08:12
수정 아이콘
일당은 왜 후려침?

그리고 B나 C는 고를 이유가 아예 없네요
벨런스 망 ..
수리검
25/02/12 08:16
수정 아이콘
아 .. 한해(월/주) 시작과 동시에 땡겨주는 거라면
B나C도 나름 장점이 있겠네요

전 복권같은 공돈이라면 A
저걸로 살아가야 한다면 D할래요
25/02/12 10:20
수정 아이콘
아무리 그래도 B랑 D에서 B의 그런 강점이야 있을수있는데

C랑D에서 C고르는건 좀 ㅠㅠ
25/02/12 08:17
수정 아이콘
10억 전 연평균으로 10% 정도 굴릴자신 있슴다
그루터기15
25/02/12 08:32
수정 아이콘
저는 a요
시무룩
25/02/12 08:50
수정 아이콘
e는 오타인가... 오타가 아니라면 고를 이유가 없고
bcd 중에서는 d가 연봉으로 쳤을때 제일 높으니 d를 고를텐데
d보다는 a가 낫다고 생각해서 저는 a를 고르겠습니다
25/02/12 08:58
수정 아이콘
A
사실 1억 모으기도 쉽지 않음
금융 조언에 있어서 초기 자본이 있냐 없냐는 매우 큰 조건임. 설령 투자를 하지 않더라도
항구의토끼
25/02/12 08:59
수정 아이콘
a는 왠지 탕진할거 같고 b.c는 돈 들어올때까지 기다리기 애매하니 d 할거 같아요.
저정도면 일안해도 먹고살순 있을듯요
몽키매직
25/02/12 09:08
수정 아이콘
(수정됨) d 고르고 18억 거치형으로 대출받은 다음에 굴립니다.
투자 관점에서도 a 가 제일 별로입니다.
25/02/12 09:28
수정 아이콘
개인 조건 마다 좀 다르겠지만, 기존 자산, 현금 흐름 전부 0에 수렴하고 저 위의 금액으로 시작한다면 A가 맞다고 봅니다.
그게 아니라면 D고르고 대출 땡겨서 굴려볼 수 있겠죠.
눈물고기
25/02/12 09:59
수정 아이콘
e가 자연상수 말하는건가
쵸젠뇽밍
25/02/12 10:20
수정 아이콘
A냐 D냐인데, D로 10억을 받으려면 14년이 걸립니다.
저라면 A를 골라서 집을 구매해 월세 나가는 걸 막을랍니다.
Sousky Seagal
25/02/12 10:52
수정 아이콘
다 받겠습니다
미카엘
25/02/12 12:37
수정 아이콘
a 하고 집 살게요
나른한날
25/02/12 12:46
수정 아이콘
주지도 않을거면서 왜 고르라 그래
25/02/12 13:00
수정 아이콘
아무거나 주세요
25/02/12 13:15
수정 아이콘
물가상승이나 할인율을 모르는 사람이 쓴 글..
그 돈을 모았을때 과연 그걸 살 수 있을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1873 [유머] 어제자 온라인 판매 시작한 드래곤볼 40주년 굿즈.jpg [12] 고쿠3731 25/02/12 3731
511872 [게임] 스피커의 중요성 [77] Lord Be Goja5284 25/02/12 5284
511871 [유머] 영하 5도에서 먹는 라면 [34] 길갈5671 25/02/12 5671
511870 [기타] ott와 영화관의 역할이 바뀐 것 같다는 주장 [22] a-ha5032 25/02/12 5032
511869 [유머] 세대별로 갈린다는 하트 하는 법 [21] INTJ3803 25/02/12 3803
511868 [유머] 애플워치를 발목에 차는 사람이 있다? [23] INTJ4027 25/02/12 4027
511867 [유머] 오디오 동호회 가입한 유부녀.jpg [3] Myoi Mina 5790 25/02/12 5790
511866 [기타] 입술로 유혹하기 대결 [9] 묻고 더블로 가!5133 25/02/12 5133
511865 [기타] 쥬라기공원 영화 새로운 시작 [14] 김삼관5417 25/02/12 5417
511864 [연예인] 비싼 옷 입지 마세요. [35] 김삼관9600 25/02/12 9600
511863 [유머] 고속도로에서 짜증나는 상황.jpg [15] 김치찌개6734 25/02/12 6734
511862 [유머] 5가지 예시중 택 1 하시오.jpg [40] 김치찌개4867 25/02/12 4867
511861 [유머] 칼국수 취향.jpg [24] 김치찌개4875 25/02/12 4875
511860 [유머] 50대50으로 갈린다는 주4일제 밸런스 게임.jpg [14] 김치찌개4442 25/02/12 4442
511859 [유머] 어떻게 읽으시나요?.jpg [26] 김치찌개3624 25/02/12 3624
511858 [기타] (스압) 중국에 경제폭망이 오고 결국 배달라이더가 된 가장의 이야기 [36] 홈스위트홈6088 25/02/12 6088
511857 [유머] 열심히 제설을 하지만 생색은 내지 않겠습니다 [7] VictoryFood4386 25/02/12 4386
511856 [기타] 연금복권 당첨자 인터뷰 [4] VictoryFood4584 25/02/12 4584
511855 [기타] 예일대학교 근황 (feat 한국어, 한국 문화) [7] a-ha4450 25/02/11 4450
511854 [유머] 중증외상센터에 로맨스가 없다고? [7] 홈스위트홈4560 25/02/11 4560
511853 [유머] 로얄 살루트가 비싼 이유 [4] 김삼관4641 25/02/11 4641
511852 [유머] 현실에서 가장 듣고 싶은 드라마 대사 1위 [16] VictoryFood4548 25/02/11 4548
511851 [음식] 편의점 3사 불닭볶음면 '발주 중단' [54] 유머7902 25/02/11 790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