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JUNG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10/06 00:35:22
Name Pika48
Subject [일반] 여러분의 바탕화면은 어떻습니까? (수정됨)
Vm3GsCl.jpg

구글링하다 본 바탕화면입니다.현재 어떤 윈도우 버전을 사용하던간에 대체적으로 위 사진과 비슷하게 컴퓨터를 사용할 것입니다.

반대로 바탕화면에 아무런 아이콘 없이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용자도 적지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보통 자기 스스로 바탕화면 강박(결벽)증 혹은 강방(결벽)장애라고 하는데 저의 경우에는 불안 심리 요소보다는

다른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입니다.바탕화면은 단색입니다.

시작 버튼,작업표시줄,바탕화면은 GUI 인터페이스입니다.반대로 검색은 명령줄 인터페이스입니다.

둘 다 장단점이 있죠.저의 경우에는 마우스로 특정 항목을 찾는 GUI 방식보다는 단축키나 핫키를 이용하는 방법을 선호합니다.

즉 시작 버튼,작업표시줄,바탕화면는 사용하지 않고 실행 횟수가 적은 프로그램만 검색 기능을 사용합니다.

이 방법들은 익숙해지면 검색 기능의 단점도 없이 빠르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핫키는 쉽게 이야기하자면 win + x를 누르고 u를 연타하면 컴퓨터가 종료되죠? 즉 GUI 인터페이스이지만 마우스 클릭 대신

키보드 특정키로 해당 프로그램(메뉴)을 실행하는 것입니다.



Maxlauncher

http://maxlauncher.sourceforge.net (프로그램 다운)

AjUTye0.jpg



단축키는 말 그대로 단축키를 눌러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입니다.


Autohotkey

https://autohotkey.com (프로그램 다운)

오토핫키는 GUI 인터페이스의 프로그램이 아닌 스크립트 언어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초보자한테는

좀 어려운 배치파일과 비슷한 방법으로 직접 입력하고 실행합니다.

다른 단축키 프로그램과 달리 윈도우가 선점한 기본 단축키도 가로채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단축키 실행 뿐만 아니라 키맵핑,매크로 기능 외에 간단한 GUI 프로그램도 만들 수 있죠.(파이썬이나 VB보다 더 쉽게)

#는 win키,+는 shift키,^는 ctrl키,!는 Alt키를 의미합니다.


오토핫키 스크립트 예제 (이것은 오토핫키를 사용하는 스크립트중에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기초 내용입니다.)

#E::run C:Windowsexplorer.exe E:

!M::run Mspaint

!T::run Taskmgr 


!P::
return

!N::
return




여러분의 바탕화면은 어떻습니까?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

"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
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안자이 치요미
17/10/06 00:38
수정 아이콘
윈도우7때는 바탕화면 아이콘 없애고 로켓독 같은 프로그램 썼는데 10 되니 작업표시줄 고정이 돼서 편하네요
17/10/06 00:39
수정 아이콘
저는 흔히 여자들 바탕화면이라고 말하는, 화면의 2/3 이 아이콘으로 가득 찬 바탕화면입니다.
한길순례자
17/10/06 00:39
수정 아이콘
바탕화면엔 휴지통과 와이프용 하드 바로가기 버튼만 있고 나머지는 다 로켓독 사용합니다.
17/10/06 00:42
수정 아이콘
윈도우 기본바탕화면에 아이콘 가득
귀찬니즘~
17/10/06 00:43
수정 아이콘
저는 카테고리 별로 폴더를 만들어서 관리합니다. 바탕화면에는 폴더만 있죠.
17/10/06 00:43
수정 아이콘
롤, 디3, 스타, 와우, 히오스 나와있네요. 블쟈의 노예인가...
17/10/06 00:50
수정 아이콘
저도 바탕화면은 비어있습니다. 자주 쓰는 프로그램은 작업표시줄에 고정하죠.
덜 쓰는 프로그램은 시작버튼 화면에 등록하거나 시작버튼 누르고 프로그램 이름 대충치고 엔터만 쳐도 윈도우10이 알아서 실행해줘서...
Philologist
17/10/06 00:51
수정 아이콘
전 해야 할 일들을 바탕화면에 다 꺼내 놓습니다. 그리고 완료되면 완료 폴더로 옮겨요. 그런데 바탕화면에 아이콘이 자꾸 늘어만 가네요..ㅠㅠ
17/10/06 01:33
수정 아이콘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Celestial Fury
17/10/06 01:00
수정 아이콘
내pc, 휴지통, 제어판이 나와있네요
거믄별
17/10/06 01:14
수정 아이콘
컴퓨터를 혼자 쓰니 바로가기도 거의 없고 작업 표시줄에도 몇 없네요.
바탕화면 그림도 귀찮아서 기본을 쓰고 있습니다.
화잇밀크러버
17/10/06 01:37
수정 아이콘
아이콘 7개 있습니다.
자주 쓰는 건 밖에 있는게 편해용.
17/10/06 01:37
수정 아이콘
옛~날 카페가 아닌 인터넷 커뮤니티들에 바탕화면 갤러리 같은것들이 있었죠. 보통 각종 커스텀 테마와 온갖 전문? 프로그램들이 깔려있고, 꼭 멋들어진 윈앰프 스킨 하나 적용되어 있는 상태로요.
최종병기캐리어
17/10/06 01:38
수정 아이콘
집에서 쓰는 PC는 바탕화면서 내 컴퓨터 한개만 딸랑

회사에서 쓰는 PC는 바탕화면 엑셀파일과 디스커버러 파일이 수십개...
유자차마시쪙
17/10/06 01:40
수정 아이콘
일겅 크크크
정리를 계속 해도 뭐가 생기더라구요
17/10/06 11:26
수정 아이콘
이분 언제 저희집과 직장을 스캔하신...
은하소녀
17/10/06 01:43
수정 아이콘
저도 문서같은건 바탕화면 다 꺼내놓는게 편하더라구요
17/10/06 01:55
수정 아이콘
전 바탕화면엔 아무것도 안놔두고,
바로가기엔 탐색기 크롬 두개만...

회사에서 쓰는 업무용 컴퓨터도 완전히 같네요. 배경화면이 윤아사진이냐 단색이냐만 다를뿐 크크
sen vastaan
17/10/06 01:57
수정 아이콘
바탕화면엔 이름 지운 휴지통만 있슴다...
정직이 재산
17/10/06 02:02
수정 아이콘
모니터1 -휴지통, 웹브라우저 3개
모니터2 - 게임(배그, 오버워치), 업무용 프로그램 3개.
월페이퍼 엔진쓰다가 그냥 일반 배경으로 갈아탔습니다.
깔끔하게 쓴다고 모아놨는데 정작 모아놓은 폴더들이 너저분...
17/10/06 02:13
수정 아이콘
대여섯개 내놓고있긴한데 시작표시줄로 모든걸 다해서 실제 쓰진 않네요 크크
Apink초롱
17/10/06 02:33
수정 아이콘
배경은 초롱이, 아이콘은 한 개도 없습니다.
자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작업표시줄에 있구요.
R.Oswalt
17/10/06 02:46
수정 아이콘
바탕화면에는 기본 아이콘, 강의 폴더, 유틸과 게임 바로가기 묶여 있는 폴더, 웹 브라우저 4종만 있습니다.
하루마다 바탕화면 바뀌게 슬라이드 쇼로 설정해 놨습니다. 액정으로 느끼기엔 어렵지만, 유화 질감을 좋아해서 유화들로 바탕화면 쓰고 있어요. 단색도 좋긴 한데, 뭔가 허전해서...
17/10/06 03:20
수정 아이콘
윈도우 7부터 바탕에는 휴지통 하나..
윈도우 10부터는 자주 쓰는것들은 작업표시줄에 고정시켜 놓을 수 있어서 좋네요.
어쩌다 한 번씩 쓰는 것들은 시작화면에 둡니다.
바탕화면은 30분마다 자동교체.. 이미지는 심심할때마다 nature 카테고리로 다운 받습니다.
17/10/06 03:32
수정 아이콘
그냥 스팀에서 wallpaper engine 써용 흐흐
17/10/06 03:50
수정 아이콘
프로그램은 전부 작업표시줄로 옮겼고 문서나 그림파일 정리 안 된것들만 나와있네요
pppppppppp
17/10/06 04:13
수정 아이콘
전 바탕화면에 아이콘 2개 정도 밖에 없네요.. 그것도 프로그램 실행아니고 중요 문서만 나뒀습니다.
Outstanding
17/10/06 05:00
수정 아이콘
개인용은 좀 불편해도 깔끔한게 좋아서 아이콘 3-4개 정도로 깔끔하게 유지하는데,
업무용은 바탕화면에 뭐가 되게 많습니다...
17/10/06 06:58
수정 아이콘
맥 쓰는데 사실 바탕화면 볼일이 거의 없습니다. 항상 뭔가 켜놓고 있어서.. 그러다 가끔 보면 아이콘이 한가득이라서 깜짝놀람.
어디로가
17/10/06 07:27
수정 아이콘
후후 저의 배경화면은 여친입니다..... 물론 비어있다는 뜻이죠..
kongkaka
17/10/06 12:37
수정 아이콘
후후.. 1따봉 드립니다..
다람쥐룰루
17/10/06 08:32
수정 아이콘
저도 아이콘 한 20개 꺼내놓고 씁니디
이호철
17/10/06 08:46
수정 아이콘
컴퓨터를 아버님과 같이 쓰기 때문에 아버님께서 주로 쓰시는 프로그램만 바탕화면에 꺼내놓고 씁니다.
집에서나오지맙시다
17/10/06 09:50
수정 아이콘
아이콘 하나 없고 아이린이 떡하니...
케냐AA
17/10/06 09:51
수정 아이콘
모두 작업표시줄에 넣습니다
AngelGabriel
17/10/06 09:54
수정 아이콘
바탕화면에는 휴지통 이외에 아무것도 존재안합니다.

제 배경화면을 감상하는 방해요소는 뭐든 용납 못합니다!!(?!)
정은지짱
17/10/06 23:04
수정 아이콘
휴지는 감상을 방해하지 않는 요소인가보네요.

휴지.. 알겠습니다
17/10/07 14:08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뭐로하지
17/10/06 10:00
수정 아이콘
내 피씨, 휴지통, 바탕화면 바로가기들 넣은 폴더 이렇게 세 개네요
Zakk WyldE
17/10/06 12:01
수정 아이콘
전 예전에 바탕화면은 모니터 3개에 휴지통 하나뿐이었습니다. 지금은 아이콘 몇개 정도 있구요.

바탕화면은 1분 마다 태연 사나 솔라 사진 수십잔이 번갈아 가면서 화면 3개를 채우고 있습니다........
doberman
17/10/06 12:31
수정 아이콘
10여년 전에는 로켓독도 쓰고 관리했는데 요즘은 거의 윈도 순정 상태로 씁니다. 아이콘은 7-8개 수준만 유지하네요.
17/10/06 13:08
수정 아이콘
키우는 개사진
멍청이
17/10/06 13:17
수정 아이콘
종류별로 파일을 담는 폴더 몇 개, 이것저것 대충 다운 받아 정리가 안 된 파일 잔뜩, 그러다가 한 번 정리, 다시 잔뜩, 또 정리... 반복.
에베레스트
17/10/06 13:28
수정 아이콘
바탕화면은 검은색에 휴지통하나 작업표시줄에 탐색기, 크롬, 알송, 팟플 이렇게만 있네요.
엘롯기
17/10/06 14:25
수정 아이콘
휴지통 단하나
화면은 갓설현
베체서
17/10/06 17:25
수정 아이콘
오토핫키는 짱짱맨인듯요.
가끔 여러모로 쓸모가 있더군요.
안티안티
17/10/06 21:28
수정 아이콘
바로 가라고 바로가기를 만들어주고 여기서 시작하라고 시작버튼 만들어줬길래 그것만 씁니다. 더블클릭도 귀찮죠.
바탕화면은 휴지통 웹에서 다운받은 것, 정리안된 핸드폰이나 디카사진만 폴더에 넣어놨네요. 보이는데 둬야 정리해야할 것 같은 압박을 계속
받으니...
임시닉네임
17/10/07 18:20
수정 아이콘
저는 바탕화면에 아무것도 없어요. 휴지통 조차 없습니다

사양이 낮아서 조금이라도 빨라지라고
lotto tester
17/10/09 03:27
수정 아이콘
저는 기본 바탕화면배경 + 바탕화면 달력 + 스티커메모만 있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28] jjohny=쿠마 25/03/16 16816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1383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55696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58418 4
104139 [일반] K2 북벽 난이도 체감 해보기 [3] Croove379 25/05/01 379 0
104138 [일반] 이제 '강의'도 필요 없어지는 걸까요? [8] Quantumwk1421 25/05/01 1421 0
104137 [일반] <썬더볼츠*> - 부연설명 없이도 괜찮은. (노스포) [31] aDayInTheLife3365 25/04/30 3365 4
104136 [일반] 못생길수록 게임 더 많이 한다?…英·中 공동연구 결과 [70] 如是我聞5822 25/04/30 5822 3
104135 [일반] 루리웹에서 '아동 성학대 이미지' 예시가 공개되었습니다. [69] 리부트정상화8600 25/04/30 8600 4
104133 [일반] 이번 SKT 해킹 사건으로 가장 떨고 있을 사람들에 대하여 [38] 깐부10316 25/04/30 10316 0
104132 [일반] eSIM 가입하려다가 망할뻔함. [53] 사업드래군10701 25/04/29 10701 9
104131 [일반] LLM 활용에 대한 간단한 팁과 의견 [7] 번개맞은씨앗5361 25/04/29 5361 5
104130 [일반] 새롭게 알게된 신선한 유튜브 채널 추천 [12] VictoryFood11004 25/04/29 11004 7
104129 [일반] 나의 세상은 타인의 세상과 다르다는 걸 [27] 글곰8606 25/04/28 8606 46
104127 [일반] PGR21 대표 덕후들의 모임☆ 덕질방 정모 후기 (움짤있음) [37] 요하네스버그7945 25/04/28 7945 46
104126 [일반] SK텔 해킹 사태에 대응한 보안 강화 요령 [42] 밥과글11527 25/04/28 11527 19
104125 [일반] 종말을 마주하며 살아가기 [38] 잠봉뷔르8394 25/04/28 8394 19
104124 [일반] 역대 최악의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 [71] 나미르11081 25/04/28 11081 8
104123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3)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2 [3] 계층방정2345 25/04/27 2345 5
104122 [일반] 심히 유치하지만 AI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12] Love.of.Tears.4874 25/04/27 4874 1
104121 [일반] [팝송] 알레시아 카라 새 앨범 "Love & Hyperbole" 김치찌개3420 25/04/27 3420 0
104120 [일반] [독서 에세이] 정치의 종이 되는 생각 없는 과학 (『20세기 소년』) [5] 두괴즐4093 25/04/26 4093 8
104119 [일반] 일본 정부부채는 정말 심각할까? [53] 기다리다10667 25/04/26 10667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