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5/20 19:46:04
Name 토니토니쵸파
Subject [일반] 사이클롭스와 도깨비, 그리고 소닉.
1.
VIk3Tyd.jpg
영화 <엑스맨 : 아포칼립스 (X-Men: Apocalypse)>가 개봉을 앞두고 있습니다.
<엑스맨 : 퍼스트 클래스>, <엑스맨 : 데이즈 오브 퓨처 패스트>로 엑스맨 시리즈에 깊이를 더하고 전반적인 분위기를 반전시켰는데
이번에는 과연 어떨지 궁금하기도 하고 기대도 됩니다.
이번 글은 영화이야기가 아니라 엑스맨 영화가 개봉한김에 어떤 케릭터들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볼려고 합니다.
바로 [사이클롭스], [도깨비], 그리고 [소닉]입니다.
전혀 관계가 없을 것 같은 이 세 케릭터 사이에는 묘한 관계가 있습니다.



2.
5XoE6Ye.jpg
[사이클롭스(Cyclops)]

사이클롭스(Cyclops)는 엑스맨 코믹스에서 나름 엑스맨의 리더이자 주인공 중 하나이지만 영화상에서의 대우는 영 시원찮습니다.
활약이라고 하기엔 애매한 오히려 민폐만 끼치다가 리타이어 되기도 합니다.
그러기에 이번 <엑스맨 : 아포칼립스 (X-Men: Apocalypse)> 예고편에서
짧게나마 어린 스톰과 맞붙는 장면이 나와서 이번에는 활약하겠지라는 일말의 기대감을 가지게 만듭니다.


7Xk3jY3.jpg
[퀴클롭스(Κύκλωψ)]

일단 엑스맨 사이클롭스(Cyclops)의 유래는 그리스,로마 신화에 나오는 퀴클롭스(Κύκλωψ)입니다.
최초의 퀴클롭스는 가이아와 우라노스 사이에서 태어난 존재로 흉측한 외모로 우라노스의 천대를 받게 됩니다.
흉측한 외모란건 눈이 하나였던 것이죠.
이후 여러 퀴클롭스가 그리스로마 신화에 등장합니다.
대부분은 활약이라기보다는 영웅들에게 당하는 괴수의 포지션이었습니다.

눈이 하나라는 특징적인 모습을 한 괴수는 세계 도처의 전설에 자주 등장합니다.
hiN9vCX.png
[ 도깨비 / 헬퍼 ]

동양권의 도깨비도 눈이 하나일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단안괴수 신화의 탄생배경은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한가지는 코끼리의 두개골을 보고 퀴클롭스의 두개골이라고 착각하지 않았을까 하는 것입니다.


ZMfeRPS.jpg
[ 코끼리 두개골 ]

코끼리의 코가 워낙 크다보니 뼈의 콧구멍도 당연히 큽니다.
하지만 그런걸 잘 알리없었던 옛날 사람들은
코끼리 두개골의 콧구멍(위 그림의 화살표)을 보고 큰 눈이 있는 곳이라고 착각할 수도 있었으리라 봅니다.
두번째는 바로 실제 존재하는 [단안기형(Cyclopia)]입니다.



3.
XqSQWLy.gif
[전전뇌증(holoprosencephaly) 뇌]

YvpBUZe.png
[정상인의 뇌]

단안기형(Cyclopia)는 발생학적 문제로 나타나는데 전전뇌증(holoprosencephaly)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대뇌는 좌뇌와 우뇌로 구분되지만 전전뇌증에서는 이러한 분리가 발생때 일어나지 않는걸 뜻합니다.
전전뇌증이 심한정도에 따라 안면기형도 달라지는데 가장 심할경우 얼굴도 좌우분리가 되지 않아 단안기형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단안기형의 모습은 일반적으로 상상하던 모습과는 다릅니다.
코의 위치에서 확연히 차이가 드러납니다.
바로 코가 이마에 존재합니다.
(사실 심한 전전뇌증에서 코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위치 또한 다양합니다.)
이 모습은 동양권의 뿔 달린 단안 도깨비를 상상할 수 있습니다.

단안기형아의 모습은 바로 올리지 않고 링크로 남기겠습니다.
보는 이에 따라 혐오스러울 수 있습니다.

단안기형 링크 :  http://library.med.utah.edu/WebPath/TUTORIAL/PRENATAL/PREN035.html





4.
그럼 이런 전전뇌증은 왜 발생하는 걸까요?
알코올중독, 당뇨등의 요인도 있지만 잘 알려진 요인은 유전자 이상입니다.
여러 개의 원인 유전자가 있는데 이중 하나가 [소닉 헤지호그 유전자(Sonic hedgehog gene)]입니다.
소닉 헤지호그 유전자는 신호전달 단백질인 소닉 헤지호그 단백질을 암호화합니다.
이 유전자를 이렇게 부르는 이유가 재밌습니다.
1978년 초파리의 돌연변이를 연구하던 도중에 초파리 애벌레의 몸에 고슴도치처럼 쐐기 털이 무수히 있는 걸 발견합니다.
그리고 이런 형태와 관련된 유전자도 같이 발견합니다.
해당 유전자에 이름을 명명해야했는데 로버트 리들(Robert Riddle)박사가 소닉 헤지호그 유전자라는 이름을 붙이게 됩니다.
네. 그 소닉이 맞습니다.
[바람돌이 소닉]입니다.

a5ISTHO.jpg

정상배아에서 전뇌는 처음에 하나였다가 나중에 좌우로 분열합니다.
이런 분열을 유도하는 것이 소닉 헤지호그 입니다.
이것이 처음부터 없다던지, 중간에 심한 방해를 받는 다던지 하면 배아는 좌우분열을 할 수가 없습니다.
뇌뿐만 아니라 전신 장기도 마찬가지입니다.
전방위적으로 소닉 헤지호그가 작용을 하는 것이죠.



5.
마지막으로 소닉 헤지호그가 심한 방해를 받으면
좌우분열이 일어나지 않아 단안기형이 발생할 수 있다는 걸 알았습니다.
그럼 소닉 헤지호그가 심하게 작용하면 어떻게 될까요?
좌우분열이 격렬히 일어나 안면중복기형(Diprosopus)이 일어납니다.
즉, 얼굴이 두개가 생기게 됩니다.
역시 부족해도, 과해도 문제가 발생합니다.
부족하거나 과하지 않게 적절한 소닉 헤지호그의 조절이 필요합니다.

2009년 하버드연구진이 소닉 헤지호그를 억제하는 물질을 하나 찾아냅니다.
그리고 [로보트니키닌(Robotnikinin)]이라고 명명합니다.
바로 소닉의 라이벌인 [닥터 로보트닉 (Dr. Robotnik)]에서 따온 이름입니다.
2qkCGy6.jpg
[닥터 로보트닉 (Dr. Robotnik)]


역시 세상은 넓고 덕후는 다양한 곳에 존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5/20 20:41
수정 아이콘
아...그렇구나...소닉???....????!!!??!?! 낚시인가 싶어마지막줄에 히오스가 있나 먼저 살펴봤습니다. 재밌네요크크크
토니토니쵸파
16/05/20 20:47
수정 아이콘
덕후들의 만행입니다 크크크
푸른음속
16/05/20 20:49
수정 아이콘
헐~크크 진성 소닉 덕후였던 저에게는 참 재미있는 글이네요.
토니토니쵸파
16/05/20 20:54
수정 아이콘
아이디에서 이미 그게 느껴지네요. 크크
영원한초보
16/05/20 21:51
수정 아이콘
이글이 낚시인지 아닌지 구분이 안가네요...
게임 소닉이 그렇게 지어진 이유는 뭘까요...
토니토니쵸파
16/05/20 22:31
수정 아이콘
당시 포닥이었던 로버트 리들(Robert Riddle)박사에겐 6살짜리 딸이 있었습니다.
딸 친구가 딸에게 소닉 만화책을 선물로 줬는데 그걸 보고 이름을 붙였다고 합니다.
영원한초보
16/05/20 23:08
수정 아이콘
초파리 유전자를 78년에 발견했는데
소닉은 91년 게임이라서요
토니토니쵸파
16/05/20 23:17
수정 아이콘
소닉 헤지호그 이름으로 처음 논문이 나온건 1993년입니다.
http://www.cell.com/abstract/0092-8674(93)90626-2
78년부터 여러 헤지호그 유전자가 발견 되었고, 소닉 헤지호그는 이후에 명명되었습니다.
이걸 글에서 빼먹었네요.

연구를 하다가 이름을 붙였다라고 알고 있는데 정확한 시점은 언제인진 모르겠습니다.
영원한초보
16/05/20 23:20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하하
유전자 이름에서 게임 이름이 나온건가해서 순간 혼란이 왔어요
재미있는 글 잘 읽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5752 [일반] 72에서 62까지, 10kg 감량 후기 [100] 별이돌이17057 16/06/15 17057 7
65307 [일반] 조현병, 정신분열증, Schizophrenia 에 사용되는 약물 [3] 모모스201311793 16/05/21 11793 8
65293 [일반] 사이클롭스와 도깨비, 그리고 소닉. [9] 토니토니쵸파6239 16/05/20 6239 5
65264 [일반] 항생제와 항생제 내성 [11] 모모스201312312 16/05/19 12312 12
64790 [일반] 카톡을 오래 했으면 좋겠어 [23] Eternity10381 16/04/23 10381 70
64780 [일반] 나우루 공화국 이야기: 어떤 공동체의 타락과 그 이면 [27] santacroce8765 16/04/22 8765 50
64719 [일반] 살을 빼고 싶어요. [38] 새로미7875 16/04/20 7875 2
64273 [일반] [진상] 중식당 서빙하면서 본 블랙리스트 TOP5 [44] 강정호10053 16/03/25 10053 15
64024 [일반] [SF단편] 펭귄 밀크 [15] 중년의 럴커3139 16/03/11 3139 14
63958 [일반] 샤라포바 금지약물 복용 시인 [39] 에버그린7684 16/03/08 7684 0
63310 [일반] [의학] 에이즈(AIDS)검사 양성이란 무엇인가? [20] 토니토니쵸파12390 16/01/28 12390 3
61612 [일반] 서울시 공공시설 자판기 탄산음료 퇴출. [190] 비수꽂는 남자13725 15/10/21 13725 8
61031 [일반] [1][우왕] 하늘은 까맸고 우리 손은 빨갰다 [98] Eternity11602 15/09/19 11602 138
60940 [일반] 대법 "바람피운 배우자 이혼청구 허용 아직 안돼" [12] endogeneity7099 15/09/15 7099 2
58698 [일반] [펌] 노환규 전 의협회장이 말하는 ‘메르스’ [27] 미스터H8557 15/06/02 8557 5
58322 [일반] [매드맥스 짧은 감상평 및 몇 가지 팁과 의문점_스포주의] [9] cheme7319 15/05/20 7319 1
58212 [일반] ▶◀ 블루스기타의 왕 B.B King 타계.. [8] V.serum2765 15/05/15 2765 2
56969 [일반] 불편함 주의: 둘째를 낳고 싶습니다. [75] 메모네이드11911 15/03/13 11911 34
56911 [일반] apple ; link everything / +키노트 간단 요약 [6] BetterSuweet4405 15/03/10 4405 0
54579 [일반] 살 빼고 싶으신 분들 저 고기 많이 먹습니다. [146] ArcanumToss16854 14/10/29 16854 2
54066 [일반] 복약지도 하기 힘든 사회 [42] 애플보요6440 14/10/01 6440 5
54006 [일반] 스티븐 킹의 'The Long Walk' [14] Snow Child6764 14/09/27 6764 1
52964 [일반] 사카린 좀 먹어본 남자... [43] Neandertal7619 14/07/29 761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