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8/25 14:55:51
Name E-22
Subject [일반] [주의] 갤럭시 노트 5의 S펜을 반대로 넣으면 안 됩니다.

NuRi's Tools - YouTube 변환기


Design flaw in Galaxy Note 5 S Pen slot causes pen detection to break, pen to get stuck

출처 : Android Police ->

        itcle (갤럭시 노트 5, S-펜 반대로 넣으면 빠지지 않거나 펜 인식이 망가지는 디자인 결함 발견돼)  -> 
 
        클리앙


처음엔 기사를 보고 반대로 억지로 넣은 게 아닌가 싶었는데, 

동영상을 확인해보시면 펜을 반대로 넣으면 큰 저항없이 부드럽게 들어가다가 갑자기 끝부분에서 걸려버립니다.

노트 5을 구입하신 분들은 혹시나 펜 삽입방향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08/25 15:00
수정 아이콘
노트5 쓰는데 반대로가 아예 펜촉을 바깥으로 넣는다는건데 왠만한 사람은 저렇게 넣을리가 없는거같네요
트리스타
15/08/25 15:02
수정 아이콘
영상에서도 멘트하고 있는데, 평소엔 저렇게 넣을 일이 없겠지만
아이가 있는 집이라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입니다.
15/08/25 16:15
수정 아이콘
아이도 아이지만, 집중하다가 깜박하고 거꾸로 넣기도 합니다. 저만 해도;;;
15/08/25 15:02
수정 아이콘
설명서에 반대로 넣지 말라고 나와 있다고 하던데...
꺼꾸로 집어 넣어 망가지면 유상수리군요.
15/08/25 15:05
수정 아이콘
이런 너무 당연한걸 테스트도 안해보다니..
트리스타
15/08/25 15:06
수정 아이콘
평소 폰주인이 저렇게 넣지야 않겠죠, 물론.
하지만, 요즘 스마트폰이라면 사족을 못쓰는 아이들이 만지다가,
혹은 최신기기에 익숙치 않은 어르신들이 만지다가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인 것 같습니다.
문제는 일단 한번 저렇게 넣고나면 꽤나 귀찮은 일이 생긴다는거네요.
15/08/25 15:08
수정 아이콘
역삽입 게이트...
전크리넥스만써요
15/08/25 15:10
수정 아이콘
하지말라는거 안해야하는게 정상이긴한데 설계할때 너무나 당연하게 애시당초 못들어가게하던가, 아니면 들어가도 빠지게 했어야하는거 아닌가요 크크크
냉면과열무
15/08/25 15:10
수정 아이콘
충분히 문제가 될 수 있는 결험같습니다. 물론 저도 노트시리즈 계속 써 왔는데, 반대로 넣은 적은 한번도 없었고 그렇게 넣어야지 하는 생각조차 한 적 없었지만 혹여나 익숙치 않은 분들. 예컨데 어르신들이나 아이들의 경우 저런 일이 발생하면 골치아파지겠죠.
눈물고기
15/08/25 15:14
수정 아이콘
이거 다른 노트 시리즈는 거꾸로 넣어도 괜찮은건가요?
노트5만 이런거면 문제가 있어보이긴 하는데..
에스쿠데로
15/08/25 15:17
수정 아이콘
다른 노트 시리즈는 아예 안 들어갑니다. 펜 끝이 펜 대보다 좀 크게 만들어져있거든요.
노트5의 경우는 모나미 볼펜처럼 누르면 안쪽에서 딸깍 하고 걸리는 구조이기 때문에
끝을 크게 만들면 약간 삐져나올수 있을거같아서 저렇게 만든거 같네요.
눈물고기
15/08/25 15:22
수정 아이콘
헐...그럼 빼도박도 못하게 설계 결함 이네요...
이건 되게 초보적인 설계 결함인거 같은데...삼성같은 대기업에서 이런걸 실수하나..
루키즈
15/08/25 15:23
수정 아이콘
노트4 씁니다. 영상 보고 따라서 넣어보니 들어가긴 하더군요.
다행히 인식문제는 없습니다.
에스쿠데로
15/08/25 16:05
수정 아이콘
아 ㅠ 전 3 쓰다가 5로 넘어왔습니다 인식 문제는 없으시다니 다행이네요~
15/08/25 17:04
수정 아이콘
노트 엣지사용하는데 이건 양쪽으로 다들어갑니다 노트2사용할땐 안그랬구요
그래서 바뀌었구나했는뎇아니였네요
15/08/25 15:23
수정 아이콘
노트4는 일단 들어가긴 합니다.
겁나서 끝까지 넣진 못하겠네요.
루키즈
15/08/25 15:28
수정 아이콘
방금 끝까지 넣었다가 안빠지길래 당황했습니다. 크크크...
케이스랑 분리하면 빼기 쉽더군요.
에스쿠데로
15/08/25 15:15
수정 아이콘
펜 촉이 안 쪽에 두고 뒤집어서 넣으면 안된다... 는 줄 알았는데 이건 크크크크크크크
정지연
15/08/25 15:17
수정 아이콘
영상 마지막부분에 보면 노트 엣지는 거꾸로 넣으면 아예 안들어가는데.. 왜 5는 그렇게 안했을까요.. 좀 이해하기가 힘드네요..
GoodSpeed
15/08/25 15:25
수정 아이콘
명백한 설계 미스죠.
이런건 당연히 방지가능하게 설계해야죠
15/08/25 15:27
수정 아이콘
이거 리콜각인데요.. 덜덜
Shandris
15/08/25 15:28
수정 아이콘
불편하다거나 단점이라고 할 수는 있을거 같은데 이걸 결함이라고 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네요.
김연우
15/08/25 15:30
수정 아이콘
개선되면 좋긴한데 결함이라고 하기에는 좀... 기존 노트 시리즈도 전부 가지고 있었던 이슈라서요. 저 노트3쓰는데 살짝 힘주니 주욱 들어가긴 하네요. 겁나서 끝가진 안넣었지만.

옛날 VGA케이블이나 오디오 단자 등을 힘줘서 넣다보면 핀이 구부러지거나 부러지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건 단점이지 리콜이나 결격사유라고 생각해본적은 없어요.


정상적인 사용자라면 다 밀어넣기전에 인지하고 하지 않을만한 실수이며,
애들이 그렇 수 있다고도 하시는데, 애들이 손댔다가 떨어트려서 액정 나가는걸 결함이나 리콜사유라 하진 않습니다.
15/08/25 15:42
수정 아이콘
펜은 노트시리즈의 정체성이자 핵심적인 도구인데 노트를 사용한다면 수천 수만번은 펜을 사용해야 하니 vga케이블이나 오디오단자와 비유는 맞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라면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겠지만 어두울 때라든지, 술을 마셨다든지, 아이들이 사용한다든지 하는 경우에는 충분히 발생할 수 있고 설계상 방지장치가 그리 어렵지 않아보여서 결함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걸 가지고 리콜까지 가기엔 좀 어렵게 보이고 as정책이라든지 개선품이 차후 나온다든지 하는 해결방안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현기차처럼 입 싹 닦지 말고 말이죠.
질보승천수
15/08/25 16:31
수정 아이콘
VGA 케이블이나 램, 파워 케이블 등등 보면 단자 모양을 보면 반대로 꽂으면 안 꽂히도록 설계되어 있죠. 비대칭형으로 생겼거나 홈이 파여 있습니다. 그걸 억지로 반대로 밀어 넣으려면 단자 모양 자체가 변형 될 정도로 세게 밀어 넣어야 되는데 이정도쯤 되면 꽂은 다음 오작동으로 파손되기 전에 하드웨어 자체가 고장납니다.
만약 저 영상에서도 힘 줘서 억지로 밀어넣었다면 그다지 문제가 되지는 않았을겁니다.
힘줘서 넣어야만 들어간다는 것 자체가 유의미한 경계 의미가 될 수 있죠.
그리고 만약 쉽게 들어간다고 해도 걸려서 빠지지 않는 일만 없었더라도 큰 문제는 안 됐을 겁니다.
쉽게 들어가고 걸리면 안 빠진다는 두가지 문제가 동시에 존재하면 그건 결함이 맞죠.

간단한 예로 누군가가 뒤로 집어 넣어 보고 '어? 쉽게 들어가네?' 라고 생각하고 재미 삼아 끝까지 밀어 넣어볼 가능성은 충분히 존재합니다.
제가 추측하기에는 저것도 그래서 '발견' 된 것일 거에요.
iAndroid
15/08/25 15:34
수정 아이콘
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park&wr_id=40421686&page=5
이미 메뉴얼에 S펜을 거꾸로 넣지 말라고 명기가 되어 있답니다.
거꾸로 넣으면 걸리고, 이 때 힘을 줘서 억지로 뽑아내면 S펜과 노트 모두 손상이 간다는 친절한 부가설명과 함께 말이죠.
이 분이 제 어머
15/08/25 15:52
수정 아이콘
휴대폰 매뉴얼은 보험계약 약관보다 안 읽는거라;;
15/08/25 15:55
수정 아이콘
원래 저런 주의사항은 읽으라고 쓴다기보다는, 면피용이죠.
마치, 전자렌지 설명서에 "애완동물이나 등을 넣으면 안 됩니다." 라고 써 있는 것과 같은 이치죠.
이 분이 제 어머
15/08/25 16:08
수정 아이콘
그것보단 현기차가 부식보증하면서 직사광선에 차를 노출시키거나 눈오는날 운행하면 안된다고 하는거랑 비슷할듯합니다.

펜 거꾸로 꼽는건 아이들이나 노인분들이나 일반성인이라도 술 좀 마시면 그럴수 있는 부분이라;;
정문에서
15/08/25 15:39
수정 아이콘
친구가 해보니 더 깊숙히 넣고 찰칵소리날때 빼면 빠진다고 합니다.
15/08/25 16:21
수정 아이콘
이거대로면 큰 문제 없는거 아닌가요??
우리아들뭐하니
15/08/25 15:40
수정 아이콘
들어가게 만들어 놓고 넣지말라니......
15/08/25 15:44
수정 아이콘
음.. 아주 작은 부분이지만 설계미스라고 보여지네요..
덴드로븀
15/08/25 15:45
수정 아이콘
클리앙에 보니 누군가 따라해서 펜이 끼는 바람에 센터가서 수리중 담당기사가 뒷판 유리를 깨먹어서 멘붕중이라고....
하지말란건 하지 말아야...
눈물고기
15/08/25 15:55
수정 아이콘
하지말라고 써놨다고 해서 설계미스가 아닌건 아니죠...
저건 설계 미스 맞아요... 안들어가게 충분히 설계가 가능한건데 저렇게 된거니까요..
최종병기캐리어
15/08/25 15:56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비일비재합니다...

술 진탕 먹고 아침에 정신차려보니 s펜이 있어야 할 곳에 빨대가 꽂혀있던 사람도 있는데요 뭐...
공허진
15/08/25 16:04
수정 아이콘
왠지 경험담 같은데요? 크크
Tech)MeronG
15/08/25 16:06
수정 아이콘
빨대...크크
포도씨
15/08/25 16:03
수정 아이콘
설계미스야 맞겠지만 이정도로 이슈될꺼리가 아닌데...
삼성이라 그런가?
동네형
15/08/25 16:04
수정 아이콘
SNL 뮤직비디오 하나 생각나네요
나의규칙
15/08/25 16:12
수정 아이콘
설계 미스야 맞지만 리콜이라든가 욕 먹을인가 하면 뭐 그렇지 않다고 생각되네요.

제가 노트4 사용하면서 하루에도 몇번이고 펜을 넣었다 빼었다 하면서도 펜촉을 바깥으로 해서 넣어 본적이 한번도 없는데.. 왜 그런가 생각해 봤더니.
펜을 집어 넣을 때, 중간 부분을 잡고 넣는 것이 아니라 끝 부분을 누르면서 집어넣더라고요. 만약에 펜을 거꾸로 집어넣으면 뾰족한 부분을 누르면서 넣게 되더라고요. 뾰족한 부분을 손으로 누르면서 넣는다라... 쉽게 생각할 수 있는 행동이 아니라고 생각해서 큰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신예terran
15/08/25 16:13
수정 아이콘
디자인 설계를 잘못했네요. 이전 노트시리즈에선 잘해놓고 왜...
질보승천수
15/08/25 16:16
수정 아이콘
설계 미스 맞죠. 명백하게.
이게 결함이냐 아니냐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는 것조차 이해가 안 되네요.
이걸 알면서 발매했고 매뉴얼에 써 놨다는 건 이미 생산 들어가고 나서야 발견돼서 돌이킬 수 없어서던가 아니면 이런 고장에 의한 AS비를 노리고 만들었다고 밖에 생각할 수 없습니다.
후자는 너무 치졸하고 무의미해 보이기 때문에 아마도 전자가 아닐까 추측합니다.
15/08/25 16:16
수정 아이콘
반대로 넣으면 고장이 날수 있고 유상수리가 된다고 알려져야 될 사실이라고 봅니다.
애시당초 이런 문제를 안만드는게 최선이겠지만 몰랐다고 분명히 따질 사람 나오거든요.
15/08/25 16:17
수정 아이콘
풀프루프가 꼭 위험기계기구나 안전에만 국한 되는 개념은 아닌데 왜 설계를 그렇게 했나 싶네요.
임개똥
15/08/25 16:21
수정 아이콘
단어의 어감차이가 애매하지만 뭐랄까, 결함이라기 보단 설계미스, 혹은 바보설계 라고 보는게 맞아 보이네요.
서비스 센터에 해당건에 대해 무상수리 해주라고 지침 내려왔다고 하네요.
iAndroid
15/08/25 16:22
수정 아이콘
노트 5에서 펜 뽑는 방법이 바뀌었습니다.
기존에는 손으로 당겨서 꺼내는 방식이었는데, 5에서는 눌러서 꺼내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죠. 펜을 꺼내는 데 편해진 건 맞습니다.
다만 이런 새로운 기능을 도입하기 위해서 그러한 단점이 있다는 것을 파악했고, 완벽하게 해결하는 방법은 없다고 판단했을 겁니다.
거꾸로 넣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끝부분을 크게 하면 되긴 합니다만, 이러면 모양이 이상해지죠. 디자인 적으로도 고민 많이 했을 겁니다.
최종적으로 펜을 쉽게 꺼내기 위해서 해당 기술을 도입하고, 발생한 부가적인 단점을 사전 방지하기 위해서 메뉴얼에 넣어놓는 것이겠죠.
15/08/25 16:25
수정 아이콘
나름 안드로이드 1등 폰의 수준이...
거믄별
15/08/25 16:25
수정 아이콘
이것이 문제가 되는건지.. 아닌건지는 모르겠습니다.

단지 이것을 보니 예전에 봤던 어느 글이 생각나네요.
미국에 출시된 게임기였던 것 같은데 설명서였나.. 거기에 온갖 주의사항이 들어가 있더군요.
상식적으로 하지도 않는 행위까지 주의사항에 집어넣는 것이 불필요한 '소송' 을 피하기 위해서라고 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갤럭시 노트5 의 이번 S펜 이슈는... 상식적으로 반대로 집어넣은 행위를 하지않죠.
거기에 주의사항에 반대로 집어넣지말라는 문구가 있다면 삼성에 책임을 물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반대로 집어넣었을 경우 고장날 수 있다라고 분명 주의하라고 했는데 억지로 반대로 집어넣고 망가졌다고 삼성보고 책임지라고 하면...
그것이 정말 삼성의 잘못일까요? 아님 소비자의 잘못일까요?
아이들이 만지다 사고나는 경우에는 미리 대처를 하지않는 소비자의 잘못인 것 맞는데...
그렇다고 아이들이 만질 것을 대비해서 조치를 취하지 못한 삼성에게 책임을 묻는 것도 제 생각엔 이상합니다.
질보승천수
15/08/25 16:45
수정 아이콘
현실적으로는 요즘 전자기기 사서 매뉴얼 읽어보는 사람이 거의 없다는 걸 생각해볼때 의도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수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어디어디 가입할 때 동의서 체크하는 거 가지고 법정까지 가는 일도 요즘은 많으니까요. 그리고 그런걸 이용한 사기도 일어나고 있고.

요즘 그런 종류의 가입신청이나 양식 작성할 때 써놓고 장땡이 아니라 사용자가 그걸 충분히 숙지했는지 확인하는 작업이 포함되는건 아마도 그런 이유일 겁니다.
어떤 상품을 사거나 어딘가 가입할때마다 나를 엿먹이려는 장치가 숨어 있고 그것에 대한 소송을 피하기 위한 주의사항이 있는지 매번 찾아보는건 무척이나 피곤한 일이겠죠.

그리고 아마 매뉴얼에 그런 내용 있건 없건 클레임이 시달릴겁니다.
그리고 역설적으로 이런 영상 떴으니 더 자주 그러겠죠. 하지 말란건 사람들이 더 하거든요. 특히 그게 손쉽게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Davi4ever
15/08/25 16:26
수정 아이콘
노트5 사용하고 있는데 설계 미스라고 하더라도 그렇게 크리티컬한 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우리아들뭐하니
15/08/25 16:31
수정 아이콘
서비스센터에 사례가 나오는걸로 보아선 뒤집어 넣지말라고는 하지만 생각보다 많이넣나보네요.
완성형폭풍저그가되자
15/08/25 16:49
수정 아이콘
영상을 보고 따라해서 생긴 사례들일지도....;;
덴드로븀
15/08/25 17:40
수정 아이콘
안빠진다고 동영상에도 나왔는데 그걸 또 따라한다고 넣었다가 안빠져서 간거죠....
Biemann Integral
15/08/25 16:33
수정 아이콘
담당자들 지금 난리 났겠네요.
띠꺼비
15/08/25 16:39
수정 아이콘
http://blog.naver.com/pochul2423/220461550542

어케어케 뺄 수는 있나봅니다.
Jedi Woon
15/08/25 17:15
수정 아이콘
예전에 노트10.1의 펜을 마누라가 뒤집어서 집어 넣었는데 문제는 끝까지 억지로 집어 넣어놨었습니다.
어이없고 황당해서 어떻게 이렇게 넣어놨냐고 하니
이상하게 안들어가서 그랬다고......하아.....
마침 삼성스토어 옆에서 그런지라 표정관리하고 매장에 들어가서 보여주니 직원도 당황하며 한동안 처다만 보다가
신용카드로 어찌어찌 걸리는 부분을 밀어서 겨우겨우 빼냈었던 적이 있었죠.

그 이후로 제 마누라는 테블릿은 일절 건들지도 않고 관심도 안보입니다.
비소:D
15/08/25 17:18
수정 아이콘
근데 전 노트1 펜 맨날 거꾸로 넣을뻔했는데
물론 애초 전혀 들어가지가 않지만요
첫걸음
15/08/25 17:20
수정 아이콘
참고로 펜을 빼서 깊숙히 넣으면 센서가 고장나서 펜이 빠진 상태라고 인식하거나 꽂아진 상태로 인식하게 됩니다... 절대 따라하지 마세요
포프의대모험
15/08/25 17:22
수정 아이콘
노트2에서 3넘어올때 젤좋았던게 펜 아무렇게나 꽂아도 된다는거였는데 왜 퇴화하나요..
15/08/25 17:42
수정 아이콘
아니 아예 저 펜촉을 거꾸로 넣는다는 이야기였군요 ;; 저도 노트3쓰는데요 정상인이라면 저걸 거꾸로 넣을 일이 있을까요
푸르미르
15/08/25 17:46
수정 아이콘
이건 설계 미스라고 봐야죠.
제품 설계하는 입장에서 문제가 될만한 소지는 기구적으로 막아주는게 기본 입니다.
15/08/25 18:07
수정 아이콘
기존 노트 제품들은 펜 꺼낼 때 손톱 끝으로 당긴 다음 끄집어 냈지만 노트5는 마우스처럼 클릭하면 튀어나오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게 꽤 편리하고 재미도 있습니다. 그런데 기구적으로 눌렸을 때 약간은 안으로 들어가야 하는데 이러면 기존 제품처럼 끄트머리를 두껍게 하긴 어렵죠. 설계미스 라기 보다는 선택이라고 봅니다.
휀 라디엔트
15/08/25 18:25
수정 아이콘
이 의견에 한표 더합니다. 끝부분의 크기 조절로 현상을 막게 되면 애초에 이 클릭 기능은 불가능합니다.
스위든
15/08/25 18:20
수정 아이콘
넣지말라고 메뉴얼에도 명시가 되어있는데,
원래 안읽는거지않냐 며 넣어놓고 설계결함이라뇨.. 전 이해가 안가네요

설계를 더 잘 할수는있었겠지만 윗분말씀처럼 크리티컬한문제인지는모르겠네요
15/08/25 18:23
수정 아이콘
그냥 아이폰 사야겠네요.
15/08/25 18:23
수정 아이콘
설계 미스에 대한 정의가 뭔지 궁금하네요. 전 이게 설계 미스면 sd카드 슬롯 없고 배터리 분리 안되는것도 설계 미스 같아서요
동급생
15/08/25 18:29
수정 아이콘
떨어뜨려서 액정 깨져도 설계미스라고 할 기세 덜덜
신예terran
15/08/25 18:55
수정 아이콘
그거랑 같나요 참... 뒤집어 넣지 말라는거 메뉴얼에 안써있어도 다 알아요. 그럼에도 실수할 수도 있는거고 설계를 통해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거죠. 사용자의 실수를 막기위해 디자인설계에서 고의적으로 크기 설계를 바꿔서 막는 사례는 부지기수로 많아요. 결함은 아니지만 사용자 편의를 위해 고려해 줄 수 있는걸 안한거죠. 액정깨지는건 설계 아무리 바꿔도 못막는거고요.
멸천도
15/08/25 19:04
수정 아이콘
떨어뜨리면 안되는 것도 설명서에 안써있어도 다 압니다.
그렇지만 실수해서 떨어뜨릴 수 있는거죠.
물에 빠뜨리면 안되는 것도 설명서를 안봐도 당연히 알죠. 전자제품인데...
그렇지만 실수해서 빠뜨릴 수 있는겁니다.

설계부분도 노트5를 보면 다른 노트들과 다르게 눌렀다 떼면 펜이 나오게 되어있습니다.
말씀하신데로 뒷면이 커지면 그 기능을 넣을수가 없겠지요.
신예terran
15/08/25 21:01
수정 아이콘
예가 굉장히 안좋으신데요. 디자인 설계를 살짝 수정해서 완전히 예방가능한 실수가 펜의 설계사례고 님이 말씀하시는건 디자인 설계로 커버가 안되는 사례에요. 제가 뒷면이 커지면이라는 말은 한적이 없어서 마지막줄은 무슨소린지 이해 못하겠네요.
그래프
15/08/25 19:16
수정 아이콘
소재를 바꾸면 막을수있습니다 플라스틱으로 뭐 스크레치는 많이 나겠지만 말이죠 사실 해당사항에도 근접하는 예시는 있습니다 갤럭시 s3가 근접하지 않나싶습니다 갤럭시s3의경우 곡면글라스인데 요게 s2 s4 보다 유리가 더잘께집니다 유리가 튀어올라와있어서죠 디자인때문에 튼튼함을 희생시킨건데요 요것을설계미스로 볼지는 의문입니다.
신예terran
15/08/25 21:04
수정 아이콘
해당 사례는 소재를 바꾸는 사례가 아니라 단순 모양새만 바꿔도 해결되는 사례라 다르거요.
또한 커브드 액정사례도 똑같이 깨지는데 단지 깨질 확률이 더 높아지는 사례인거고, 펜의 앞뒤 크기를 다르게 해서 막는건 완벽하게 들어가거나 안들어가거나 하게 막는 사례죠. 또한 다릅니다.
대문과드래곤
15/08/25 21:20
수정 아이콘
펜위 위아래의 모양새, 크기를 바꾼다는건 노트5에서 의미가 큽니다. 알아보고 오시는게..
그래프
15/08/25 21:21
수정 아이콘
소재를 바꾸든 모양새를 바꾸든 가능한 방법이 없는건아닌건 마찬가지입니다 커브드 액정의경우 모양을 변경시켜 깨지는 확률를 높일수도 낮출수도 있는거고요 팬의 앞뒤를 크기를 다르게해서 막는거랑 별차이없습니다 모양을 심하게 변형시키면 팬이든 커브드간에 거의 안깨지게 가능합니다 그게 소재와 기술디자인이고요
김오월
15/08/25 18:34
수정 아이콘
가능하게 만들어 놓고 그걸 실행하면 망가지는걸 설계 결함이라고 하는게 이상할 건 없죠...
그것도 본체에 포함 되는 필수 악세사리인 펜을 거꾸로 집어넣은 것 뿐인데요.
아예 안 들어가거나, 들어가도 안 망가지는게 베스트구요.

SD카드 슬롯이나 배터리 분리가 설계미스라는 건, 애초에 안 되게 만들어 놓은거라 맥락이 전혀 다르죠.
분리하면 망가지는 배터리를 분리 가능하게 만들어 놓은 것과 비교한다면 모를까...
뭐 단순 확장성이나 편의성 측면에서의 설계 미스라면 그렇게 갖다 붙힐 수 있겠지만, 이건 그걸 이야기하는 게 아니니.

중대한 과실이 아닌 부드러운 손 동작 한 번에 맛탱이가 가게 되고, 그걸 돈 내고 수리해야 한다는 건 좀 그렇죠.
법이고 뭐고를 떠나서 꽤 신경쓰이지 않습니까.
그런 걸 설계 미스라고 봐도 뭐... 꼭 보상이 어쩌고 해야 설계 미스가 아니라요.
멸천도
15/08/25 19:05
수정 아이콘
사람들이 말하는 설계미스는 보상가능한 정도의 범위를 말하는거 아닐까요?
'보상을 전혀 해줄필요없지만 설계미스다'라면 동의합니다.
포켓토이
15/08/25 19:47
수정 아이콘
글쎄요.. 저 정도 설계미스면 설명서에 한줄 써놨다고 면피될 수 있는게 아니죠.
이게 만약 자동차 열쇠를 꽂는 방향이 반대가 되면 자동차 열쇠가 망가지는데
바로 끼우나 반대로 끼우나 끼워서 밀어넣는 감각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 이런거하고 비슷한 얘기죠.
리콜같은건 좀 오버더라도 만약 저걸 유상수리로 처리한다면 삼성의 이미지는 나락으로 떨어질겁니다.
뭐 삼성이 그런 길을 걸을 것 같지는 않지만...
아마 추가로 발생할 수리비용 부담과 디자인 변경 비용을 비교해서 판단한 것 같군요.
다만 보증기간 이후가 문제가 되겠군요..
치명적인 문제들은 보증기간이 지나도 계속 무상수리를 해주긴 합니다. 예를 들면 뷰3 크랙이라던가
갤탭 배터리 교환이라던가...
최코치
15/08/25 20:17
수정 아이콘
설계미스죠
그리고 충분히 시끄러울법한 문제입니다
거꾸로 넣는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아예 없지도 않구요
일단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경우는 아이들이 그러는거죠
그래프
15/08/25 21:22
수정 아이콘
아이들이 그런는건 예시가안됩니다 아이들은 떨어트릴수도 전자렌지에 돌릴수도 물에 담글수도있어요 이걸가지고 설계미스라고하진않습니다 어느 특정한 상황을 가정하면 설계미스 아닌제품이없습니다
재미있지
15/08/25 20:37
수정 아이콘
그냥 고장 막 나는 제품을 만들고 주의사항을 "건들면 고장의 위험이 있습니다." 적으면 되겠네요.
크..!!
투에이치
15/08/25 21:22
수정 아이콘
이거보고 제거를 여자친구가따라했다가 ...
빼긴뺐는데 펜기능이 안되네요 크크 어떻게 해야하죠??
15/08/25 22:19
수정 아이콘
전자렌지에 스테인레스넣으면 안되는거랑 비슷한거같은데.. 삼성의 불성실한 홍보/안내가 문제되는건 몰라도 설계미스는 아닌것 같네요. 설계미스는 스타에서 스카우트 같은 녀석이...
15/08/26 08:30
수정 아이콘
꽤 기본적인 실수이고 이건 명백한 설계 오류입니다.

예를들면, 문서를 작성하다가 끝내기 x 버튼을 누르면 프로그램이 종료되는데,
만약 문저를 저장하지 않았는데도 그냥 종료된다면 ?
이때 문저를 저장할 거냐고 물어보는게 좋은 (당연한) 인터페이스입니다.
의도하지 않았지만 사람이 무심코 실수하는 소소한 행동들에 대한 기본적인 방어 기능입니다.

일반적으로 ui 설계/구현할 때에도 사용자가 어떤 상황에서 하지 말아야 할 행동들이 있으면
아애 입력이 불가능하게 설계하는 게 당연한 것이고(이게 베스트)
특수한 이유로 그게 불가능하면 적어도 그것을 시도할 때 메시지나 소리등으로 수행할 수 없는 행동이라고 알려주는 게 좋은 (당연한) 인터페이습니다.
이 마저도 어렵다면 사용자의 실수가 아무런 해를 입히지 않게 만들어야 합니다. (이게 마지막 보루입니다)

또 하나 예를 들면 노트북의 전원 버튼이 ESC 근처에 있다고 생각해 보세요.
작업을 하다가 ESC 를 눌러야 하는데 무심코 그 근처 전원 버튼을 누르면 갑자기 pc 전원이 꺼집니다.
굉장히 큰 불편이며 치명적인 기구 설계 오류입니다. (어이 없게도 실제로 이런 제품이 있었습니다)

펜을 거꾸로 넣는 건은 의도 하지 않게 종종 일어날 수 있는 사용자 실수인데
이것에 대한 방어가 없다는 건 삼성 같은 회사에서는 있어서는 안 되는 실수입니다.
문책 사항이라고 생각됩니다. (설계자 뿐만 아니라 테스터의 책임도 있습니다)
대단히 예상하기 어려운 오류이거나 불가피하게 이렇게밖에 만들 수 없는 그런 상황이 아닙니다.
설계 할 때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iAndroid
15/08/26 09:00
수정 아이콘
기본적인 실수도 아니고, 명백한 설계 오류도 아니라고 보여집니다.
버튼 식으로 바뀌면서 사용자가 펜을 빼기 쉽고 의도치 않게 빠지지 않는 사용자 편의기능이 새로 추가되었죠.
다만 내부에 걸림장치가 생김으로 인해서 거꾸로 끼울 경우 걸림장치의 역 연결로 인한 부작용이 발견이 되었을 겁니다.
이게 현재 많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회자되는 사건이구요.
이를 방지하려면 펜 뒷부분을 크게 만들어 내면 됩니다. 하지만 이건 디자인상으로 문제가 생기죠.
사용자 편의기능을 위하여 디자인을 희생하느냐, 디자인을 위하여 위험요소를 안고 가느냐의 선택 기로에서 전자를 선택했다라는 것 뿐이라고 보여집니다.
15/08/26 10:10
수정 아이콘
저는 Fool Proof 의 관점에서 (기본적인)오류라고 생각하는 거 였습니다.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Aqoq&articleno=18304166&_bloghome_menu=recenttext

만약 만든 설계자가 의도해서 (이렇게 만드는 게 더 큰 이득이 있기 때문에)
펜이 거꾸로 들어가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고, 거꾸로 들어가면 다시 빠지지 않는 것까지도 예상했다면
저는 이게 실수나 오류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경우라도 적어도 펜을 반대로 넣는 행동은 테스트 항목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보통 테스트 과정에서
기본적인 기능뿐 아니라 예상되는 사용자의 일반적인 실수도 테스트 항목에 포함됩니다.
사용자의 인지적 실수, 무지, 부주의등으로 인한 잘못된 행동이나
심지어 고의적으로(악의적으로) 하는 행동도 당연히 테스트 해야하고 이에 대한 방어는 기본입니다.
물론 예상하지 못한 사용자의 행동은 많습니다. 설계자나 테스터가 모든 경우를 다 예측할 수 없으니까요.
하지만 이번 경우는 예상을 못할 정도의 사용자 행동은 아니라고 봅니다.

말씀하신대로 테스트 과정에서 문제(불편함)가 발견된다면 펜 뒷부분을 조금 크게 만든다거나
기타 다양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추측입니다만, 디자인 때문에 이런 문제를 알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만들었을 거라고 생각되진 않네요.
(이건 실제 개발자의 의도를 알 수 없으니 다른 분들의 의견이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iAndroid
15/08/26 10:25
수정 아이콘
누구나 뜻하지 않은 작은 실수를 할 수 있기 때문에 Fool Proof 가능한 한 많이 하는 게 바람직하긴 합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경우의 수를 다 고려해서 Fool Proof를 적용해야 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실수라고 해도 그게 드물게 일어나는 일도 있고, 실수로 인해 큰 손해가 발생한다고 해도 그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용이 어마무시하기 때문에 할 수가 없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대표적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게 떨어뜨리는 것으로 인한 액정파손인데, 수많은 사람들이 떨어뜨릴때 조금이라도 파손을 막기 위해서 케이스를 별도 구매하고 추가 비용을 지출합니다.
하지만 휴대폰 회사에서 설계 시점에서 이걸 방지하지 않았다고 해서 기본적인 실수를 했다, 설계오류이다라고 지칭하진 않죠.

펜 뒷부분을 조금 크게 만든다는 거야 거꾸로 놓는 것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만 바라보면 쉬운 해결책이긴 합니다.
하지만 그로 인해서 입는 디자인의 손해는 분명히 존재하고, 이 또한 무시하지 못할 관점이라는 겁니다.
옛날과는 다르게 디자인 또한 중요한 요소이고, 보기 싫은 디자인은 사람들에게 많이 회자되며, 이는 구입 결정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거꾸로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뒷 부분을 좀 크게 만들었다면 노트4 S펜과 디자인 측면에서 비교하는 글들이 십중팔구 올라왔을 겁니다.
결국에는 디자인을 위해 기능을 희생할 것이냐 아니면 기능을 위해 디자인을 희생할 것이냐라는 선택의 문제로 가는 것이고, 삼성에서는 전자를 선택했다고 봐야겠죠.
모든 것을 완벽하게 만들면 좋겠지만, 그걸 할 수 없기 때문에 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은 개발 과정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것이니까요.
삼성의 S펜을 그 차원에서 생각하는 것도 큰 무리는 없다고 보여집니다.
15/08/26 13:17
수정 아이콘
저랑 문제를 보는 차이가 한 가지 있는데,
많은 오류 예상 중에 이번 문제가 포함되었느냐의 문제 같습니다.

모든 사용자 실수를 다 예상하거나 대응할 수 없다는 데엔 동의합니다
제 생각은 펜을 뒤로 넣는 게 가능하다는 점이 문제이고, 그리고 그에 대한 더 좋은 해결 방법이 분명히 있을 거다"라는 것이고
iAndroid 님께서는 디자인 등의 이유로 지금처럼 되어 있는 게 더 낫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선택이며 그런 면에서 문제가 없다라고 생각하시는 것 같네요.
15/08/26 10:15
수정 아이콘
앞뒤가 비슷한 모양이라서 헷갈릴 정도면 문제가 되겠지만 누가 봐도 식별되는데..;; 이걸 왜 거꾸로 넣는지 모르겠네요..
아이가 그럴수도 있기에 고려해야한다는 의견은 더 이해가 안되네요. 그렇게 따지면 모든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모든 물건)에 문제 소지가 있지 않나요;@_@
옆집돌고래
15/08/26 10:42
수정 아이콘
동생이 노트5를 사서 봤는데 정말 정상적인 사람이라면 아니 뇌라는 신체기관이 존재한다면 거꾸로 집어넣을 일이 없습니다. 이건 '노트북 반대로 접으면 부서져' 와 비슷한 수준이네요
yangjyess
15/08/26 19:09
수정 아이콘
거꾸로 넣는 사람이 바보죠
스타견습생
15/08/26 23:02
수정 아이콘
노트5까진 이슈거리이지만 후속작부터는 오히려 반대로 넣었을때 기능을 더 추가할수도 있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0540 [일반] 타블로처럼 word play 해보자! [58] 2212496 19/03/24 12496 98
80355 [일반] 새 똥을 맞았습니다. [57] 2210338 19/03/08 10338 23
80290 [일반] 21세기판 여우와 학 - 충전의 어려움 [25] 227033 19/03/02 7033 14
80155 [일반] 친하지만 솔직히 안 친한 친구 [28] 2213588 19/02/17 13588 20
80000 [일반] 토이 - 모두 어디로 간걸까 감상문 [7] 226436 19/02/06 6436 5
79568 [일반] 십진법을 쓰는 인간들을 구경하러 온 이진법 세계 인간의 충고 [55] 2212910 19/01/01 12910 52
79436 [일반] 삼행시 잘 짖는... 아니 잘 짓는 방법 [58] 2220647 18/12/22 20647 107
79185 [일반] 마미손과 회복탄력성 [46] 2212175 18/12/06 12175 64
79121 [일반] 안테나 뮤직과 샘김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27] 227535 18/12/02 7535 16
60875 [일반] 뽐뿌, 계정 정보 해킹을 인정했습니다. [58] E-229137 15/09/11 9137 2
60536 [일반] [주의] 갤럭시 노트 5의 S펜을 반대로 넣으면 안 됩니다. [92] E-2218113 15/08/25 18113 1
60461 [일반] 자동차세 개정안 - 배기량 기준에서 차량가액으로 변경 [48] E-228543 15/08/21 8543 0
59830 [일반] K5 신형 출시 그리고 로망가득한 홍보영상 [46] E-227360 15/07/16 7360 0
59641 [일반] [쇼미더머니] 피타입 탈락, 그로부터 떠들어 본 SNP와 한국어 라임에 대해서 [35] 2210129 15/07/07 10129 16
54517 [일반] "내생애 봄날"이라는 드라마 아시나요? [8] 22raptor4778 14/10/26 4778 3
53651 [일반] 엔비디아, 삼성과 퀄컴 너 고소!를 시전하다 [17] E-227384 14/09/05 7384 0
52584 [일반] '박봄 마약 봐주기' 정황…檢, 불법 대리처방 묵인 [268] E-2213879 14/07/07 13879 0
32550 [일반] 정유정 작가님의 소설 "7년의 밤"을 읽고(스포 無) [4] 22raptor5454 11/10/23 5454 1
31196 [일반] '나는 가수다' 새로운 멤버들이 합류합니다. 누가 가장 기대되시나요? [24] 228170 11/08/19 8170 0
30510 [일반] 꿈, 있으신가요? [14] 224172 11/07/25 4172 0
10609 [일반] [경험담] 해외여행 하실 때 주의하세요! - 여권관련 [5] 22raptor4564 09/01/28 4564 0
7510 [일반] [계층소환] 지브리와 BONES가 합작한 신작애니메이션, "망념의 잠드" [16] 22raptor5285 08/07/24 5285 0
5345 [일반] 수업조교를 하던중 황당한 일을 당했습니다. [80] 22raptor9100 08/04/18 910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