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10/21 15:49:45
Name meson
Link #1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516
Subject [일반] 뉴미디어 시대, 중세랜드의 현대인 (수정됨)
이른바 중세랜드라는 것은 어떤 역사적인 개념이라기보다는 관습적인 이미지들의 총체일 것입니다. 그러나 유명한 관념일수록 비유로 사용하기에는 더 적절할 수도 있지 않을까 합니다.

간편한 중세상에서 사회의 위계는 황제-왕-영주-기사-평민 순으로 배치됩니다. 여기에 자유도시 연맹체와 용병단 역시 빼놓을 수 없는 요소죠. 대체 어느 나라의 봉건사회가 이러했느냐고 묻는다면, 시기와 지역에 따라 제도가 다 달랐으므로 그것을 알 수 없지만, 그럼에도 저 직함들이 대략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으리라 생각하는데요. 여기에 의존하여 뉴미디어 시대의 미묘한 개념들을 비유해 본다면 그 대응은 아마도 아래와 같을 것입니다.

제국 - 글로벌 플랫폼 [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틱톡, 엑스, 스레드 ]

왕국 - 로컬 플랫폼 [ 네이버, 카카오, SOOP ]
영지 - 플랫폼 입점 계정 [ 개인방송 채널, 마이크로블로그 ]
기사 - 콘텐츠 생산자 [ 인플루언서 혹은 인플루언서 지망생 ]

연맹 - 종합 인터넷 커뮤니티 [ 펨코, 디시, 더쿠, 인벤 ]
도시 - 개별 인터넷 커뮤니티 [ 펨코 게시판, 디시 마이너갤러리, 네이버 카페 ]
용병 - 콘텐츠 생산자 [ 네임드 유저 혹은 어그로꾼 ]

평민 - 콘텐츠 소비자 [ 눈팅러 및 댓글 작성자 ]

여기서 기사와 용병의 차이는, 기사는 주군의 눈에 들어 알고리즘을 타고 출세하여 대영주가 되고자 하는 반면 용병은 그런 지향이 크지 않다는 것입니다. 제국이나 왕국과는 달리 도시의 경우에는 거기서 관리자를 하는 것이 수익사업보다는 자원봉사에 가깝다는 인식이 지배적이기 때문에, 용병 본인 입장에서도 그냥 네임드 유저로 남는 것을 좋아하며 완장을 차는 것은 거의 조별과제 독박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죠.

다만 이것은 뉴미디어에 대해서만 생각해본 것이고, 레거시 미디어 역시 아직 존속하고 있으며 그 파급력과 확대재생산 능력은 결코 무시할 수 없을 것인데요. 파편화 이전 사회(비유하자면 로마 제국)의 전통을 간직하고 있으면서도 뉴미디어에 지분을 많이 빼앗기고, 스스로 뉴미디어를 닮아가면서 귄위까지 약하지는 추세에 있다는 점에서 보면, 이들은 - 이 글에서 유일하게 역사적 실체와 직접 대응되는데 - 비잔티움 제국과 겹쳐지는 면이 있는 듯합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12세기 비잔티움 제국인데, 아직 4차 십자군이 오기 전이라 여력이 남아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겠지요.

이런 비유가 어떤 이점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존재하겠지만, 어쨌든 생각하다 보니 꽤 흥미로웠으므로 이처럼 공유해 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벨로린
25/10/21 16:00
수정 아이콘
그런데 중세랜드라고 하려면 중세적 상호요소들이 있어야 하는데, 그냥 현대랜드로 바꿔도 되지 않나요. 제국과 국가, 도시와 시민. 영토와 군인. 예를 들자면 여러 왕국에 동시에 소속된 존재들이 많은데, 그만큼 왕국령의 배타성이 부족하다던가. 여튼 이런 알레고리들은 자주 향유되던 것이라 유용성은 확실한듯 합니다. 인터넷에서 애국심과 비슷한 어떤 가상의 소속감을 가진 조직체들이 존재한다는 거니까. 다만 용병이나 기사로 지칭되는, 상대방을 죽일 수 있는 힘을 가진 자라는게 실제 인터넷 세계에서 풀이가 잘 될 수 있는가 싶어요.

지난달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기사의 한 제목이 떠오르기는 합니다. ' ‘클라우드’ 농노를 착취하는 ‘테크노’ 영주들'. 그런데 여기는 착취라는 중세적 시스템이 굴러가고 있었죠.
25/10/21 16:13
수정 아이콘
기본적인 발상은 똑같은 크리에이터가 여러 플랫폼에 동시에 진출해 있는 것이 하나의 영주가 영지를 기반으로 여러 왕국에서 활동하는 양상과 비슷해 보인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이제 중세랜드에서 자기 실력으로 영지를 가지려면 전공을 세우는 게 가장 직관적이니까 기사로 표현을 하게 되네요. 그러고 보니 주식회사도 봉건제 모델이라던데 이걸로 비유를 바꿔야 더 적절할지도 모르겠네요.
똥천재
25/10/21 16:14
수정 아이콘
어제 기술 봉건주의 책을 추천받아 시켰는데 비슷한 내용일지 모르겠네요.
신정상화
25/10/21 16:45
수정 아이콘
저만 이런 느낌으로 느끼는 게 아니네요
임전즉퇴
25/10/21 19:16
수정 아이콘
서유럽 중세에 맞추기에는 교회가 없어서 아쉽습니다. 딱히 생각은 안 나네요..
25/10/21 19:34
수정 아이콘
교회는... 사상적으로 중심을 자처하면서 파문빔이나 이단빔으로 누군가에게 '/논란' 딱지를 붙이곤 한다는 점에서 위키와 유사하지 않을까 합니다.
25/10/21 19:38
수정 아이콘
글에는 적당히 공감하다가
이 댓글 보니까 더 공감되네요
딱히 교회라고 할 곳은 없지만.. 마녀사냥은 중세 만큼인 것 같아요
닉네임을바꾸다
25/10/21 20:01
수정 아이콘
우리가 생각하는 마녀사냥은 근세때 더 활발했...
+ 25/10/21 20:33
수정 아이콘
헛 그런가요
저속역노화
25/10/21 19:34
수정 아이콘
어디에도 현인이 없는
유머게시글
25/10/21 20:02
수정 아이콘
유투브 제국의
여행영지를 가지고있는
명예로운 골드버튼,
빠니 경 (작위있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5256 [정치] 김건희 이배용과 함께 경회루에서? [11] 삭제됨781 25/10/21 781 0
105255 [정치] 돈을 번 아파트, 돈을 못 번 아파트 분석 [6] 바람돌돌이852 25/10/21 852 0
105254 [일반] 뉴미디어 시대, 중세랜드의 현대인 [11] meson2350 25/10/21 2350 0
105253 [일반] "트럼프, 젤렌스키에 지도 던지며 압박에 욕설까지" [77] 철판닭갈비8855 25/10/21 8855 8
105252 [정치] “한두 잔 마신” 지귀연 술자리 170만원…대법 감사관 “징계사유 안 돼” [123] 빼사스9472 25/10/21 9472 0
105251 [정치] 이 대통령 '냉부해' 논란 보도, 명태균·김건희 공천 개입 보도보다 2배 많았다 [28] lightstone5246 25/10/21 5246 0
105250 [정치] 부읽남 국토부차관에게 듣는 부동산 썰 [227] 문재인대통령10646 25/10/21 10646 0
105249 [정치] 검찰청 ‘연어 술파티’ 의혹 당일, 김성태 ‘페트병에 술 준비’ 지시 녹취 확인 [106] 베라히9577 25/10/20 9577 0
105248 [일반] 놓치고 뒤늦게 후회하며 쓰는 SMR주 이야기(겉핥기) [28] 깃털달린뱀4263 25/10/20 4263 4
105247 [일반] 나를 스쳐지나간 불꽃 [2] 내꿈은세계정복2610 25/10/20 2610 23
105246 [일반] (주식 관련 글이 올라오길래) 20년 시장생존자의 의견 [21] 퀘이샤4599 25/10/20 4599 11
105245 [일반] 이 시국에 집 팔고 주식에 몰빵한 썰 [154] 휘군11622 25/10/20 11622 21
105244 [일반] <어쩔수가없다> - 기묘한 합리화. (강스포) [10] aDayInTheLife3873 25/10/19 3873 2
105243 [정치] 정부가 보유세 손대려나 봅니다 [470] 비브라늄20815 25/10/19 20815 0
105242 [정치] 국민의힘 당대표 장동혁 윤석열 구치소 면회 [117] 마라떡보끼12207 25/10/19 12207 0
105241 [정치] 정경심 교수가 최성해 동양대 총장을 고소했군요. [59] petrus10674 25/10/19 10674 0
105240 [정치] 한국과 미국 보수 진영의 정치적 동조화 [13] 유동닉으로6016 25/10/19 6016 0
105239 [정치] 석열의 봄이 성공했으면 어떻게 됐을까? [320] 스내치마스터13510 25/10/18 13510 0
105238 [정치] 중국 군 고위직 9명 숙청 [17] 如一8233 25/10/18 8233 0
105237 [일반] 로봇청소기 먼지통이 장착안되어 있다는 에러 메시지가 뜰때. [3] 헝그르르6570 25/10/18 6570 8
105236 [일반] 넷플릭스 공개작 '굿뉴스', 매력적인 기승전결 [15] 빼사스10216 25/10/17 10216 0
105235 [일반] <그저 사고였을 뿐> - '그저'의 올가미 속에서. (노스포) [6] aDayInTheLife5293 25/10/17 5293 1
105234 [일반] 중세 저지대의 경제·사회 발전 [2] 계층방정3942 25/10/17 3942 1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