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4/12 17:18:26
Name 독서상품권
File #1 18.jpg (159.4 KB), Download : 734
Link #1 에펨코리아
Subject [일반] 나스닥이 2프로 가까이 오른 어제자 서학개미들 근황 (수정됨)


저점에서 인버스 3배가 만선...

이러니 다음주도 하락장은 없을 가능성이 크겠네요

미장 특성상 서학개미들이 저렇게까지 숏을 많이타면 최소 1주동안은 큰 하락장없이 우상향하던데

일단 저는 14일날 프장 열리자마자 서서히 미장 들어갈 예정입니다

유튜브도 보니까 저날 미장이 올랐는데도 아직까지 비관론이 판치던데 지금이 저점이 아닌가 싶네요

결국 올초 하락장은 2020년 초반처럼 단기 이벤트로 끝날듯합니다

* 더스번 칼파랑님에 의해서 유머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25-04-12 18:13)
* 관리사유 : 게시판 용도에 맞지 않아 이동합니다. / 해당 게시판 규정에 맞게 수정 부탁 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4/12 17:22
수정 아이콘
도박을 안 풀어주니까 여기서 하고있네
기술적트레이더
25/04/12 17:23
수정 아이콘
귀신같이 거꾸로만 베팅
25/04/12 17:25
수정 아이콘
12% 발사해서 다음날은 거의 하락이겠다 싶을때도 인버스는 손이 안가던데 깡도 좋아요..
감전주의
25/04/12 17:27
수정 아이콘
조롱을 멈춰주세요.
주가 부양을 위해 희생하는 분들 입니다
25/04/12 17:29
수정 아이콘
DIREXION 주식을 사고싶네요
25/04/12 17:33
수정 아이콘
이건 그냥 야수임 크크
25/04/12 18:00
수정 아이콘
고맙다~~
No.99 AaronJudge
25/04/12 18:04
수정 아이콘
디렉시온 회장님 한국 방문 안하시나요? 오셔서 땡큐 코리아 라도 하셔야…
마술의 결백증명
25/04/12 18:19
수정 아이콘
저만해도 [지금 인버스사면 걍 돈복사하는거 아님?] 생각했다가 그냥 귀찮아서 말았었는데...
고구마줄기무침
25/04/12 18:38
수정 아이콘
며칠전에 soxs 반토막난거같았는데... 하따개념인가;;
바람돌돌이
25/04/12 18:39
수정 아이콘
슈드 많이 샀네요.
25/04/12 18:51
수정 아이콘
이제 뭔일 생기지 않는이상 오르겠죠
제발 이상한 행정명령만 하지마쇼
격렬하게쉬고싶다
25/04/12 19:03
수정 아이콘
레버리지충이긴한데.. 숏은 안칩니다.. 그건 감당이 안되요
25/04/12 19:28
수정 아이콘
슈드 배당 4.2%에서 왕창 담았습니다
25/04/12 19:33
수정 아이콘
정말 서학개미들이 레버리지를 많이 하는거 같기는 합니다. 가끔 이런저런 게시판에서 보이는 말을 보면 레버리지 투자를 너무 당연한 것으로 보더군요. 혹시 미국 주식이 지난 10년간 매년 12%가 상승했다. 그러므로 3X 레버리지를 썼으면 얼마나 많은 돈을 벌었겠냐는 단순한 생각으로 미국 주식하시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레버리지가 그렇게 잘 돌아가기만 얼마나 좋겠습니까.

그리고 이제 상승장으로 전환했다...는 건 잘 모르겠네요. 아직 더 두고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Ashen One
25/04/13 00:50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완전히 잘못된 논리죠.
3x 레버리지는 디케이가 심해서 숏텀 투자(?) 방법인데, 그 통계는 롱텀 통계죠.
미국장은 저도 더 두고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피어리스
25/04/12 19:42
수정 아이콘
줄과 개집을 대령하라!
25/04/12 20:25
수정 아이콘
- 배당을 3배로 주는 건 없나요? 제발!

- 레버리지 ETF는 녹아내린다고 싫어하시는 분들도 많던데 그런 분들을 위한 0.1배 ETF 같은 건 없나요...
콘칩콘치즈
25/04/12 22:32
수정 아이콘
커버드콜중에 있긴하죠.
25/04/12 20:28
수정 아이콘
??? : 강원랜드도 멀고 하니깐 여기서 하시면 됩니다 (아님)
수금지화목토천해
25/04/12 20:37
수정 아이콘
레버리지 상품에서 레버리지를 일으키기 위한 이자비용 및 보합장에서 레버리지 상품이 얼마나 쉽게 녹을 수 있는지에 대한 위험 인지를 충분히 하고 투자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다람쥐룰루
25/04/12 20:48
수정 아이콘
이번엔 조롱이 진짜 롱인 특이케이스네요
Ashen One
25/04/12 23:20
수정 아이콘
저 곳이 저점인지 아닌지는 모르는 일입니다.
저 곳을 저점으로 단정짓고 글쓰신 분도 저 분들과 제 눈엔 딱히 달라 보이진 않습니다.
+ 25/04/13 02:39
수정 아이콘
리스크 관리 없이 주식하는 사람들은 도박의 그것과 다를게 하나도 없습니다.
그런데 본인들은 절대 몰라요. 합리적인 근거로 투자했다고 믿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28] jjohny=쿠마 25/03/16 14771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0152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54456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57005 3
104059 [일반] 제67회 그래미 어워드 수상자 김치찌개174 25/04/13 174 0
104058 [일반] [서평]《출퇴근의 역사》 - 통근을 향한 낙관과 그 이면 계층방정722 25/04/12 722 2
104057 [일반] 나스닥이 2프로 가까이 오른 어제자 서학개미들 근황 [24] 독서상품권4941 25/04/12 4941 0
104056 [일반] [역사] 한국사 구조론 [23] meson3442 25/04/12 3442 10
104055 [일반] 오사카에서 찍은 사진들 [14] 及時雨3088 25/04/12 3088 9
104054 [일반] 테슬라 FSD 1년 사용 후기 [51] vitaminwater8104 25/04/11 8104 23
104053 [일반] 닌자 리얼리티 쇼크에 평범한 헤즈들은 쇼크! [23] 된장까스6143 25/04/11 6143 0
103974 [일반] [후원] 영남권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기부 인증 이벤트 [106] 及時雨29696 25/03/26 29696 23
104052 [일반] 중국 자동차 산업 의외의 복병, 하이브리드 [84] 깃털달린뱀13710 25/04/10 13710 11
104051 [일반] 다시 춤을 추기 시작한 미국 증시 근황 [76] 무도사13220 25/04/10 13220 0
104050 [일반] 엄청난 변동성에 녹아내리는 레버리지 etf [17] 맥스훼인8974 25/04/10 8974 0
104049 [일반] a great to time to buy 완전 주가조작 아닌가요? [37] 알파고9606 25/04/10 9606 5
104048 [일반] 챗지피티와 손자병법 시뮬레이션하기 [2] 가위바위보4280 25/04/10 4280 2
104047 [일반] 미래의 아이들은 디스토피아에 살게될것인가 [49] 방구차야5503 25/04/09 5503 1
104046 [일반] 국채금리와 자본유출 (ChatGPT와의 대화) [22] 번개맞은씨앗2647 25/04/09 2647 0
104045 [일반] (잡담) 자존심 센 첫째 딸 이야기(+후기) [19] 하나4311 25/04/09 4311 23
104044 [일반] 국제 공조 스테이블코인은 기축통화가 될 수 있을까 [55] 사부작4674 25/04/09 4674 1
104043 [일반] 트럼프 행정부의 잠재적 고율 관세 정책이 미국 및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42] 뒹구르르5700 25/04/09 5700 5
104042 [일반] 삼국지 이후의 이야기, 위진남북조 시대: (上) 진(晉)의 성립과 멸망 [13] Neuromancer4258 25/04/08 4258 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