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5/02/12 12:02:31
Name 일신
File #1 6276d2ae_63cd_43d8_b5b9_d642ff1e9a80_1280x720.jpg (119.0 KB), Download : 174
Subject [PC] Steam 새내기가 FF7R을 클리어하며 - 게이머의 3가지 분류 (수정됨)


#1
작년 11월에 데스크탑을 새로 마련했습니다.
그리고 Steam을 알게 되었고,
마침 출시 직전 할인이라
FF7 Remake와 FF7 Rebirth를 바로 구매했습니다.
그리고 방금 전에 FF7 Rebirth 의 엔딩을 봤습니다.

월드 레포트 모두 모으기 및 퀘스트 모두 해결하기
두 가지만 목표로 잡고 다른 것들은 대충 건너뛰었더니
플레이타임이 딱 70시간 찍히네요.
전작인 FF7 Remake 의 엔딩을 보는 데까지는 28시간이 걸렸습니다.
Easy 모드로 했는데도 이렇게 오래 걸리는 걸 보니
진짜 똥손은 똥손인가 봅니다.
Normal 모드 2회차 플레이는 엄두도 안 납니다.
캐릭터를 얼마나 많이 눕힐지 ㅜㅜ

합쳐서 대략 100시간의 플레이타임이었으며
게임 구매에는 11만 원 조금 못 되는 비용이 들었습니다.
아니구나, Xbox 컨트롤러 4세대 카본 블랙 사는 데도 5.5만원 썼네요.
아니야아니야, 앞으로 수많은 콘솔류 게임 하기 위해 투자한 거니까
이 비용은 빼겠습니다.

소감은 딱 한 줄입니다.
[티파님과 함께 하는 동안 진심으로 행복했다]

호평할 것도 많고, 혹평할 것도 많은데
이 글의 주제는 이게 아니라서 넘어가겠습니다.

아무튼, 현실에서는 춥고 괴롭고 힘든 것들이 많았지만
게임에서 티파와 함께 하는 동안, 아 그리고
초코보를 타고 달리는 동안 정말 즐거웠습니다.
특히 초코보 정류장 지키는 아기 초코보들을
쓰다듬을 수 있는 기능 만든 사람
꼭 칭찬해 주고 싶습니다.


#2
두 게임, 실질적으로는 한 게임의 엔딩을 모두 보고 나니
[내게 게임이란 무엇일까?, 나는 왜 게임을 할까?] 라는
뜬금없는 생각이 듭니다.

왜냐하면 제가 즐기고 있는 다른 게임인 Fate Grand Order, 줄여서 FGO가 떠올랐기 때문이죠.
FGO는 전형적인 수집형 게임입니다.
과금을 해서 재화를 사고, 그걸로 뽑기를 통해 캐릭터를 얻으며, 그렇게 얻은 캐릭터들로 메인 스토리나 이벤트 스토리들을 진행하는 그런 게임입니다.
과금하지 않아도 게임을 할 수 있지만 그런 유저는 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저부터가 FGO 인기 캐릭터들을 얻기 위해서는
20만 원, 30만 원씩은 당연히 써야지, 라는 마음으로
제 소득 수준에서 적절하지 않은 금액임에도
돈을 마구 질렀었고요.

지금 확인해보니 FGO 한국 출시가 2017년 11월입니다.
오픈 때부터 시작해서 7년이 훌쩍 넘는 시간 동안
잠시 접었다가 폈다 많이 했지만
그 동안 일관되게 위와 같은 태도로 과금을 수행했으니
그동안 얼마를 꼴아박았는지 이제는 감도 잘 안 잡힙니다.

그런데 이번에 FF7R 두 작품을 즐겼던 시간에서 느낀 것만큼
FGO를 플레이하면서도
[즐겁고 행복했나?] 를 생각해보니
잘 모르겠더라고요.



#3
과거 SBS의 집사부일체라는 프로그램에서
가수 JYP 님이 동기부여에 관한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 분이 말씀하신 내용을 그대로 옮긴 것은 아닙니다.
원본을 찾아보려 했는데 못 찾겠더라고요 ㅠㅠ
그냥 제 기억나는 대로 적어보겠습니다.

인간의 동기부여에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To Have소유, To Be지위나 명예, To Do행동이 그것입니다.

가수로 데뷔하고 나서 첫 번째 세운 목표는
'열심히 활동해서 n억 원을 모으자' 였습니다.
그런데 5년도 안 되는 시간 안에
그 목표를 너무 빨리 달성해 버렸습니다.
그러고 나니 '나는 무엇을 위해서 가수를 해야 하지?'
라는 생각이 들었고, 답을 찾아야 했습니다.

두 번째 세운 목표는
'No.1 Asian Soul', 유명한 싱어송라이터이자 가수로 인정받는 것이었습니다.
이 목표를 위해서 오랜 시간 바쁘게 살았고,
이제는 누구나 인정해주시는 성공한 엔터테이너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것도 제게 지속적으로 동기부여를 해 주는 일은 아니었습니다.
이미 달성했는데? 무엇을 더 해야 하지?

마지막으로 찾은 '내가 이 일을 하는 이유'는
후배 음악인들, 춤꾼들, 아이돌들을 찾고 가르치며 육성하는
[그 일 자체가 행복하다]는 것이었습니다.



#4
Chatgpt 최신 모델인 o3-mini-high에게 다음과 같이 질문했습니다.

To Have형 게임 플레이어,
To Be 형 게임 플레이어,
To Do형 게임 플레이어 각각의 유형에 대해서
100자 정도로 예시를 들어줘

(각 유형에 대한 간단한 설명은 이전에 했습니다)

Chatgpt의 답은 아래와 같습니다.

다음은 각 동기 유형별 게이머의 예시를 약 100자 내외로 표현한 문장들이야:

- **To have형 플레이어:**  
  "소유를 중시하는 게이머는,
게임 업데이트마다 등장하는 희귀 캐릭터와
한정 아이템을 얻기 위해 반복적으로 가챠를 돌리며,
순간의 짜릿한 성취감과 만족을 만끽한다."

- **To be형 플레이어:**  
  "지위를 중시하는 게이머는,
랭크 게임에서 상위 티어에 도전하고
공식 대회 참가와 커뮤니티 내 리더십을 통해
명예와 인정을 얻으며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낸다."

- **To do형 플레이어:**  
  "행동 자체의 즐거움을 추구하는 게이머는,
다양한 콘텐츠와 도전을 경험하며
새로운 플레이 방식과 창의적 시도를 위해
여러 장르의 게임을 자유롭게 탐험한다."


#5
당연히 정답은 없고, 개인차가 있는 이슈입니다.
각자의 행복은 각자가 정하기 나름이니까요.
그럼에도 저는 저의 지속 가능한 게임 생활을 위해서
앞으로는 소유보다 경험에 초점을 맞춰보려 합니다.
물론 FGO도 계속 할 겁니다.
하지만 아마 유료 과금은 거의 하지 않게 될 것 같네요.
그 돈으로 더 많은 경험들을 하고 싶어졌습니다.
미국 주식장에 투자도 좀 더 하고요 크크크

다음 경험으로는 스팀 -80%할인으로 잽싸게 낚아챈
Red Dead Redemption 2가 저의 라이브러리에 대기 중입니다.

이어서 할 게임 추천 받습니다(이게 본심)
7500F + 4060Ti 야 우리 오래 가자 ㅠㅠ



PGR21 게이머 여러분들의
지속 가능한 행복을 응원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쥴레이
+ 25/02/12 12:12
수정 아이콘
파판7리버스 추천하고 싶은 게임이라 최근 스팀 출시도
되었고 전작해보신분이라면 필구해보라고 하고 싶고 아닌분은 전작이랑 묶어서 플레이 하는거 추천하고 싶네요.
JRPG 좋아하는분은 재미있게 할수 있습니다.
+ 25/02/12 12:16
수정 아이콘
FF7REBIRT 게임 시작 전에 검색해보니 [미니 게임들이 너무 많아서 빡친다] 류의 의견이 많더라고요. 그래서 걱정 많이 했고, 실제로 저도 빡친 적이 많았습니다 크크크크

그래도 재미있었어요. 저에게는 감당 가능한 수준이었습니다.
바닷내음
+ 25/02/12 13:02
수정 아이콘
트로피를 얻으려면 '완벽하게' 깨야해서 빡치는데.. 스토리 진행만 하려면 그냥 한번 대충 하고 넘겨도 되는 수준이라 괜찮지 싶습니다.
....그래도 너무 많아...
시린비
+ 25/02/12 12:58
수정 아이콘
으 전작은 했고 플5로 몇달전에 바꿔서 인터그레이드랑 사놓긴 했는데 그 인터그레이드 시작만 눌러놓고 안하는중이라.. 언젠간 깨야할텐데
+ 25/02/12 13:07
수정 아이콘
저도 전작은 나오자마자 했는데 인터그레이드 유피DLC를 안해서 이게 상당히 진입장벽이 되더라고요.
빠르모트
+ 25/02/12 13:07
수정 아이콘
리버스 플레이 중인데 갓겜입니다.
리메이크는 그냥 저냥 할만한 수준이었는데 리버스는 게임 알맹이를 꽉 채운 느낌이에요.
게임 플레이는 제노 블레이드 시리즈 할 때의 느낌을 받았는데 제노 시리즈가 만들고자 하는 방향의 완성형인 느낌을 받았습니다.
+ 25/02/12 13:22
수정 아이콘
저도 모바게 수십년 하다 최근 스팀 넘어왔는데 우량주들 하나하나 살때마다 즐겁네요

여튼 비슷한 장르로 즐겁게 한 게임은 로맨싱 사가 2 리메이크입니다.
겜게에도 글 몇 있는데 제 경우 간만에 JRPG하며 즐겁다, 더 하고 싶다 등등을 느끼게 해준 겜이네요.
드퀘 11 잡고 아 이제 이런 게임으론 즐거움을 찾을 나이가 아닌가보다 했는데 말입니다 ㅠㅠ

이외에는 엔더 릴리즈 / 엔더 마그놀리아를 엄청 즐겁게 했습니다. 장르는 메트로바니아+플랫포머.
+ 25/02/12 13:33
수정 아이콘
발더스게이트3 추천합니다

킹덤컴 딜리버런스 1과 2 도 이어서 쭉 하면 좋습니다
+ 25/02/12 13:38
수정 아이콘
이거 하다가 미니게임에 1차로 물리고 마지막 챕터인가요? 거기서 서브퀘가 갑자기 엄청나게 많아져서 순간 물려서 하차했습니다. 미니게임만 없었어도 즐겁게 했을텐데 숙제가 너무 많이 생긴 느낌이라 더 못하겠더라구요. 여러방면에서 갓겜이었고 특히 전투는 다섯 손가락안에 듭니다만 물리는 느낌이 정말...
리니시아
+ 25/02/12 14:04
수정 아이콘
JYP의 예시가 아주 적절하시군요...
곧 출시할 GTA6 기다리시는것도..?
럭셔리컨트롤
+ 25/02/12 14:08
수정 아이콘
ff7 리메이크판에서 웨폰들도 나오나요..?
알테마나 루비웨폰등등,,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398056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67599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35749 13
80894 [PC] Steam 새내기가 FF7R을 클리어하며 - 게이머의 3가지 분류 [11] 일신951 25/02/12 951 1
80893 [PC] [WOW] 내부전쟁 시즌 2 언더마인 해방의 날 2월 27일 [17] 이호철1871 25/02/12 1871 0
80892 [오버워치] OWCS 2025 3주차 리뷰 Riina1307 25/02/12 1307 1
80891 [뉴스] 라이엇게임즈 3종 세트 e스포츠 월드컵 합류 확정 [26] EnergyFlow6391 25/02/11 6391 2
80890 [발로란트] 퍼시픽 당신의 아들이 돌아왔소!!! [11] Rated7285 25/02/09 7285 5
80889 [LOL] 2025 LCK컵 플레이오프 대진표 [65] EnergyFlow11415 25/02/09 11415 3
80888 [모바일] [마블스냅] 처음으로 번들 스킨 질렀네요 너무 이쁩니다 [19] 청운지몽8032 25/02/09 8032 2
80887 [LOL] 변화된 lck 토너먼트 [2] Dango10265 25/02/08 10265 4
80886 [모바일] [카운터 사이드] 오리진 2주년 !! 뉴비분들이 진입하기에 좋습니다. [10] 캬옹쉬바나5860 25/02/08 5860 0
80884 [랑그릿사 모바일] 뉴비 필독! 2025년 상반기 영웅 미래시 평가 [30] 통피3601 25/02/08 3601 4
80883 [스타2] [스타1vs스타2] 빠른유한 서바이벌 이벤트 합니다!(시청자 이벤트 포함) HLSJ3745 25/02/08 3745 0
80882 [LOL] 2025 LCK 변경점 다시 알아보기 [29] Dango6848 25/02/07 6848 2
80881 [PC] FM25 개발 취소 공지 [34] 及時雨6306 25/02/07 6306 0
80880 [LOL] T1 선수방송 재개 [50] ELESIS11335 25/02/06 11335 3
80879 [LOL] "3년이면 망한다" 예산감축, 인건비에 뭉개지는 LOL E스포츠 [105] 계신다15772 25/02/05 15772 2
80878 [오버워치] OWCS 2025 1, 2주차 리뷰 [5] Riina5352 25/02/05 5352 0
80877 [LOL] 2025 LCK CL KICKOFF 그룹 배틀 종료 [11] 비오는풍경6680 25/02/04 6680 0
80876 [LOL] 내년 컵대회는 더블엘리미네이션 희망합니다. [11] 쵸젠뇽밍7277 25/02/04 7277 2
80875 [LOL] LCK컵 바론그룹 감상평 [24] 마술의 결백증명11708 25/02/03 11708 3
80874 [LOL] LCK컵 그룹배틀 감상평 - 장로 그룹 [30] Arcturus10665 25/02/02 10665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