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1/07/16 01:59:59
Name 언데드맨
Subject MSL 8강 풀리그 제안합니다.
현재 MSL 8강은 분리형 5전제입니다.
이 방식은 몇시즌 지켜본 결과 이도저도 아닌 방식 같더군요.
원데이 5전제와 분리형의 장점만을 추리려다 결국 맹탕이 된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MSL 8강에 풀리그 방식을 제안합니다.
먼저 16~8강 구간을 방송횟수와 선수들 출전회수로 스타리그와 비교해보겠습니다.


<스타리그>
16강(풀리그) => 총 7회 방송(재경기 포함). 선수들은 4회 출전함(재경기 포함).
8강(분리형3전제) => 총 2회 방송. 선수들은 2회 출전함.
<MSL>
16강(분리형3전제) => 총 4회 방송. 선수들은 2회 출전함.
8강(분리형5전제) => 총 3회 방송. 선수들은 2회 출전함.

<16~8강에서>
스타리그는 총 9회 방송, 선수들은 6회 출전합니다.
반면 MSL은 총 7회 방송, 선수들은 4회 출전합니다.


검증면에서 스타리그쪽이 약간 낫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MSL 8강을 풀리그로 바꿀시에는

MSL 16강(분리형3전제) => 총 4회 방송. 선수들은 2회 출전함.
MSL 8강(풀리그) => 총 4회 방송(재경기 포함). 선수들은 4회 출전함(재경기 포함).
결과: MSL은 총 8회 방송, 선수들은 6회 출전합니다.


16~8강 구간에서 스타리그와 선수들의 출전횟수가 동일해졌습니다.
방송횟수도 하나차이로 비슷해졌구요.



이런 이유들도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8강 풀리그가 재밌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입니다.
그리고 8강 풀리그에서의 스토리가 결승전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강동원
11/07/16 02:13
수정 아이콘
16강,8강 정도에서는 풀리그 방식이 사실 방송사 입장에서나 시청자 입장에서나 윈윈이라고 생각합니다. (선수들 입장은 또 어떨지 모르겠지만요)
선수의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면이나, 다양한 경기들을 만나볼 수 있다는 면에서 시도되었으면 하지만
스타리그와 MSL의 차별성을 서로 갖기 원하는 듯한 모습이라 과연 MSL에서 풀리그를 실행할 것인지는 미지수네요.
그리고 풀리그는 그놈의 '재경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골머리가 아플 듯 해서요...
좋아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리그일정도 예기치 않게 늘어나니 선수들&중계진&제작진에게 부담도 생기고
그에따라 수준 낮은 경기가 나올 가능성도 높고 말이죠. (지난번 재재재재재경기 사태때 정말... 불쌍했습니다. 선수들도, 중계진들도)
기아없이못살아
11/07/16 02:17
수정 아이콘
풀리그 까진 생각못해봤는데 일단 분리형 다전제는 좀 안했으면 합니다..
개념은?
11/07/16 02:27
수정 아이콘
일단 분리형 다전제는 좀 안했으면 합니다.. (2)

16강은 괜찮은데 8강 5전제를 분리형하는건 진짜 아닌것 같아요 ㅠ
헤나투
11/07/16 02:30
수정 아이콘
일단 저도 8강 분리형 다전제는 절대 반대입니다.

풀리그도 좋네요. 어차피 최고의 실력의 선수를 뽑는다는 msl의 이념(?)이라면 저방식도 괜찮아보입니다. 역시 문제는 재경기겠죠?
언데드맨
11/07/16 02:37
수정 아이콘
보통 8강 방식의 선택지는 6개정도로 압축됩니다.
1. 원데이 5전제
2. 분리형 5전제
3. 분리형 3전제 (16강에서도 썼고 스타리그 8강이 이 방식이라 안쓸확률 높음)
4. 풀리그
5. 원데이 듀얼 (32강,서바이버에서 쓴거라 안쓸확률 높고 8강에서 하기에는 분별력이 좀 떨어짐)
6. 더블엘리방식 (프로리그와 타개인리그를 동시에 하는 빡빡한 일정상 힘들고 알아보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음)

아무리 생각해도 이 6개 이외에는 딱히 떠오르는게 없네요. 이중에 골라야 한다는거겠지요..
I아이유U
11/07/16 02:47
수정 아이콘
3전 2선승의 듀얼은 어떨까요?

1회차 A조 1, 2경기
2회차 B조 1, 2경기
3회차 A조 승자전, 패자전 // 또는 // A, B조 승자전
4회차 B조 승자전, 패자전 // 또는 // A, B조 패자전
5회차 A, B조 최종전

방송은 5회, 선수들은 2회에서 3회 출전하게 되네요.
만약 방송 횟수가 너무 많다거나 선수들에게 부담이 된다면 승자전~최종전만 3전 2선승으로 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구요.(그러면 방송 횟수는 1, 2회차를 한꺼번에 할 수 있으니 4회가 되겠네요.)
킬리만자로
11/07/16 03:54
수정 아이콘
음.. 사실 스타리그라는 타이틀이 붙기는 하지만, 사실상 개인 스타크래프트 토너먼트 대회죠. 두 개의 대회 모두..
저는 개인적이지만, 순수 스타'리그'가 열리기를 희망하고 있는 1人입니다.
일례로 프로축구의 경우엔(야구의 경우는 컵 대회가 없기는 하지만) 리그의 비중이 커서 그런지 리그도 충분히 컵대회만큼 재미있죠.
물론 박진감이 떨어지거나 리그 기간이 길어진다는 점, 그리고 경기수가 늘어날 경우 선수에게 부담이 되고 프로리그의 병행하기 힘들다는 점 등의 여로러 가지 문제점도 가지고 있지만, 제 바람은 한번쯤 스타크래프트 개인'리그' 경기를 보는 것입니다.
예전에, MBC게임에서 이벤트 경기적 요소가 강하진 했지만, 풀리그 방식으로 게임을 한 적이 있는데요. 사실상 풀리그 방식이 리그에 조금 더 반영되기만 해도 스타리그 우승자에 대한 위상이 조금 더 높아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검증적인 측면에서 확실히 토너먼트보다는 더 낫다고 보여지거든요..
여기까지는 제 희망사항이고...
음..저는 뭐 분리형 다전제이든 풀리그이든, 한 8강 정도 이상부터는 조금 더 많은 경기로 확실한 우열을 가려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기본적으로 MSL의 8강 경기수가 많은 것은 굉장히 좋다고 생각하고 있구요. 하지만, 분리형 다전제를 좋아하시는 분들도 계실 걸로 압니다. 물론 논의되는 것이야 좋기는 하지만..;;흐흐
아이쿠, 얘기가 산으로 가버렸군요. 결론은 저는 글쓴이분의 주장에 공감을 하지만서도, 지금 현재도 만족하는 상황입니다..
어떤날
11/07/16 07:20
수정 아이콘
저도 풀리그 찬성이에요.

토너먼트는 사실 대진운이 작용할 수밖에 없는 시스템이다 보니까 뒷말이 좀 있을 수 있죠. 풀리그야말로 최강자를 가리기에 가장 적합한 시스템이 아닌가 싶어요. 약간 늘어질 수 있는 부작용이 있긴 하지만 글쓴 분 말을 보면 딱히 그런 거 같지도 않고.. 어차피 지금도 서바이버는 하루에 10경기도 하니까 약간씩 조절만 하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11/07/16 07:43
수정 아이콘
오 생각해보니 괜찮긴 하네요
만약 재경기 나올 때 짝수명이 같은 승패일시에는 케스파랭킹대로 대진표를 짜서 3판 2승 토너먼트 후 선발하는 방식도 괜찮고
그리고 홀수명이 같은 승패일시에는 원데이풀리그도 괜찮다고 봅니다.
7명이 같은승패가 될련지는 모르겠지만 그러면 원데이로는 못하고 좀 나눠서 잡아야 겠지요.

재밌겠네요 저는 나름 분리형5전제 괜찮다고 생각합니다만은

이 방식도 네이트때부터 썻으니 한번쯤 바뀔때가 된 것 같습니다.

같은 방식만 고수하면 어느샌가 지겹거든요.
택신사랑
11/07/16 09:34
수정 아이콘
너무 리그가 길어질듯 하네요.. 사실 지금 풀리그형식은 MSL보다 스타리그가 더 어울릴것 같기도하고, 또 반드시 그래야 할것같다는 생각도 들구요. 스타리그는 하루 치뤄지는 네 경기시간 다합치면 1시간 좀 넘을까 말까할 정도로 경기수가 적죠. 현재 스타판이 전체적으로 지지부진한 양상으로 가고있는 이유는 스타의 메인이라고 할수있는 스타리그가 전체적으로 하락세를 겪고있는 것도 여러가지 이유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스타리그 경기 수를 풀리그 형식이든 뭐든해서 더욱 늘리고, 좀더 타이트하고 박진감있게 진행되었으면 합니다. 생각해보니 스타리그 얘기를 해버렸네요;;
paulha1013
11/07/16 11:55
수정 아이콘
저도 반대네요 5전제는 5전제에 미학이있어서 전 너무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특히 역스웝은 캬.... [m]
11/07/16 12:28
수정 아이콘
어찌되든 이번 개인리그를 통해 대 스타들이 많이 탄생했으면 하고
MSL에서 이번엔 스타리그처럼 8강투어도 진행했으면 좋겠습니다.
지금 MSL이 다시 정상을 차지하기에 해설이나 선수들 경기력이나 가장 좋은 시기인 것 같습니다.
yangjyess
11/07/16 17:43
수정 아이콘
풀리그 찬성입니다 개인적으로 32강이나 16강에서 풀리그를 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지만 리그진행이 너무 길어질 우려가 있을거라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실테고.. 8강정도면 풀리그로 하는것이 대진운의 문제나 여러 변수를 줄여줘기때문에 좋다고 생각합니다
히비스커스
11/07/16 18:2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옛날의 더블엘리미네이션 방법이 끌리던데..ㅠㅠ
11/07/17 01:57
수정 아이콘
8강 풀리그로 우승자를 뽑는건가요..
아님 4강을 가리자는 건가요..???

풀리그라는게 4인 2개조 풀리그를 말하는건가요..?
8인 풀리그는 8x7/2 = 28경기를 치루는 명인전 바둑리그 방식을 말하는건가요..?

4강을 선발하기 위한 8인 풀리그(명인전 리그방식)라면 동일 팀원간 져주기가 가능해서 절대 반대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4972 윤용태 선수 이래도 되나요?? [32] 영웅과몽상가7064 11/07/21 7064 0
44971 2011 GSTL Season 1 - Jupiter : 5주차, Prime.WE vs oGs-TL [122] kimbilly4203 11/07/21 4203 0
44970 2011 MBC게임 스타리그 서바이버 토너먼트 Season 2 5조(2) [242] SKY924446 11/07/21 4446 0
44969 2011 MBC게임 스타리그 서바이버 토너먼트 Season 2 5조 [220] SKY924356 11/07/21 4356 0
44968 스타크래프트 2 새로운 유즈맵! [16] 리얼리스트가5177 11/07/21 5177 0
44967 대견스러운 KT, 미래는 있었다. [33] wizard5914 11/07/21 5914 0
44966 은퇴에 이르는 병 [11] fd테란9878 11/07/21 9878 11
44965 연재물, 성전星戰(별 성, 싸울 전) 9회 - 실마리 - [7] aura4637 11/07/21 4637 0
44964 슬레이어스클랜.. [43] RookieKid7211 11/07/21 7211 1
44963 04년 11월 12일... [23] SKY924363 11/07/21 4363 0
44962 [설문조사] '우리들의 MSL(가제)' MSL 10주년 설문조사에 참여해주세요 [34] Alan_Baxter4937 11/07/21 4937 0
44959 정명훈선수의 인터뷰를 보셨나요? [168] 벡터와통계10488 11/07/20 10488 0
44958 Jinair 2011 스타리그 16강 3회차(2) [317] SKY925663 11/07/20 5663 0
44957 Jinair 2011 스타리그 16강 3회차 [248] SKY925473 11/07/20 5473 0
44956 신한은행 10-11시즌 플레이오프 CJ VS KT 프리뷰 [41] 담배상품권4923 11/07/20 4923 0
44955 Daum Tekken Crash Season 8 16강 A조 [288] SKY926487 11/07/20 6487 0
44954 GSL July Code. S. 8강 프리뷰 #2 [3] Lainworks4125 11/07/20 4125 2
44953 S.O.U.L - 변혁의 구심점, 득인가? 실인가? [254] Penciler6503 11/07/20 6503 0
44952 [W3]기억하십니까? [11] 허느님맙소사5548 11/07/20 5548 0
44951 24살인데, 아직도 아버지한테 놀림받고 삽니다 ㅠㅠ [11] Harq4702 11/07/20 4702 0
44950 STX 소울 '전원 트레이드' 초강수 [97] 라덱8888 11/07/20 8888 0
44949 CJ vs KT 선수들 소소한 기록들 [6] noknow4809 11/07/20 4809 0
44948 전투를 잊어버린 전투의 신 [28] 삭제됨8004 11/07/19 800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