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2/08/10 01:36:04
Name 민경진
Subject 게임계와 흔히 비교되는 바둑계 현실...보시면 충격먹으실 듯...--a
세계대회
1.LG배 세계기왕전(6회) 2억5천
2.삼성화재배        (6회) 2억
3.농심신라면배    (3회) 1억5천  <--이건 1개국 5인 연승전...(무한종족최강전의 세계대회버전이라 보면 됨)
4.응씨배             (4회) 40만달러(약4억)  <--4년마다 열리는 바둑의 올림픽...환율은 1달러=1000원
5.후지쯔배          (14회) 2천만엔(약2억)  <--환율1엔=10원
6.도요타덴소배    (1회) 3천만엔(약3억)
7.춘란배             (3회) 15만달러(약1억5천) <--이건 2년마다 한번씩..
8.호작배             (1회) 9만위안(약 900만) <--여자대회인 것 같음...게다가 중국주최 기전으로 상금이 많이 딸림..'그래도' 9백만원
9.tv아시아선수권전   (14회) 3만달러(약3000만)

이렇게 아홉개 대회가 치뤄짐...총상금 어마어마한 약17억원...

국내기전(한국)
1.LG정유배                     6회 4500만
2.왕위전                        35회 3200만
3.SK엔크린배명인전        32회 3000만
4.박카스배천원전            6회  1100만
5.국수전                       45회 2000만
6.국민pass카드배패왕전  35회 1200만
7.현대자동차배기성전     12회 2400만
8.KBS바둑왕전               20회 1100만
9.비씨카드배 신인왕전    12회 2000만
10. SK가스배 신예프로10걸전 5회 1000만
11.KTF배 프로기전         5회 2000만
12.KT배 마스터스 프로기전 1회 4500만
13.맥심배 입신연승최강전  3회 1000만
14.오스람코리아배        1회 1200만
15.여류명인전              3회 800만
16.GEO배 프로여류국수전 1000만

이상16개 대회...
일본에는 자국기전이 7개에 총상금 약15'억', 중국엔 약11개대회 총상금 약 1억(경제수준 차이인 듯)


흐....따라잡기는 너무도 멀고 먼....게임계는 언제나 이정도 규모와 명성을 얻을 수 있을지...

바둑 대중화에 대해선..."현재 전국에 약 1000여개의 바둑교실에서 5만명 이상의 학생이 바둑을 배우고 있다. " 부모들이 돈주고 학원 보내주는 것일테니...말 안해도 알만하죠...

게다가 프로기사 되기란 하늘에 별따기....일년에 춘-추계 입단대회에서 단 4명만 뽑는제도라....현재 우리나라 프로기사가 200명도 안되는 160~170명 정도입니다.

여기서 진짜 충격적인 것...명지대학교 바둑학과 레포트 내용 중 "바둑 기사들은 야구나 축구 선수들과 비교하여 볼 때 개개인의 평균적인 수입 면에서 현저히 적고 인기 면에서도 보잘 것 없는 것이 현실이다."...

...

...



p.s. 고스트 바둑왕 보신 분 있으세요? 거기에 일색(一色)바둑이 나왔다고 하는데...한가지 색깔의 돌로만 바둑두는거...그걸 바둑TV에서 해주려나 봅니다...관심있는 분들은 보시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하수태란
02/08/10 01:42
수정 아이콘
게임계랑 바둑계를 비교하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바둑 좋아하시는 분들이 보면 화낼지도 몰라요. 왜 충격 먹는지 모르겠군요. 당연한것 아닌가요? 일단 규모, 역사와 전통-_- 등등 말할 필요도 없고. 스타는 겨우 2-3년 안에 최고의 위치에 오를수 있는 경기이지만. 바둑은 수십년 두어도 그 끝이 없는 경기죠. 여튼 이야기가 좀 새긴 했지만. 스타를 바둑과 비교한다는건 바둑에 대한 모욕입니다. 장기라면 비교해도 무방 ㅡㅡ
(한참 고스트 바둑왕에 빠진 하수 태란유저 -_-;)
Dabeeforever
02/08/10 01:48
수정 아이콘
정말 대단하네요...
하지만 이렇게 컸던 바둑계도 20~30년 전에는...영 아니었습니다.
직업이 "기사"라고 하면 운전기사로 착각하는 일이 많고...
바둑기사가 내기바둑으로 돈 따는 직업이라 생각한 사람도 많았죠;;
바둑계는 해방 이후 현재...50년이 좀 넘었군요...
그런 바둑계도 현재 부익부 빈익빈을 해결 못하는게 현실입니다...^^;;
뭐 보급기사란 것으로 대안을 찾긴 하지만...

조남철 9단이 과감히 귀국하셔서 바둑보급하시고
기사가 제대로 대우를 못 받자 74년에는 "기계파동"을 일으켰었죠...
김수영 7단은 그때 바둑인 권익 향상을 위해 자살을 기도하기도 하셨다는;;
뭐 말이 조금 옆으로 샜지만 모두의 노력이 필요합니다...아직은 기반을 더 넓혀야 할 시기라고 봅니다...

많은 사람들이 게임계의 끝이 어디인지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게임계는 모두의 노력 여하에 따라 끝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봅니다...
Dabeeforever
02/08/10 01:53
수정 아이콘
하수태란님 모욕은 좀 지나친 표현인듯^^;;
바둑의 오묘함(!)은 저도 알고 있습니다만 게임계가 바둑과 비교하기에 "모욕"이란 생각은 들지 않습니다...
바둑의 전통과 역사는 게임에 없을지 모릅니다.
하지만 게임에는 바둑에서 볼 수 없는 정열, 젊음이 있습니다...
Dabeeforever
02/08/10 01:53
수정 아이콘
갠적인 생각인데, 프로장기보다는 프로게임이 더 활성화되어 있지 않을까요...-_-;;
민경진
02/08/10 01:56
수정 아이콘
그렇게 암울해 보였던 한국바둑계가 중흥을 맞은 것은 아마도 조훈현 이창호 이 두사람이라고 보여집니다.
조훈현 九단은 80년대 후반 홀홀단신 응씨배에서 우승, 귀국길에 카퍼레이드까지 한 것으로 기억되는데(그때 당시 상황을 아시는 분은 감격해 마지 않으실 듯)그 정도로 대단했구...
이창호九단의 경우 동양증권배에서 세계최연소 타이틀을 따내는 등 천재소년 이미지로 전국을 '자식 바둑교실 보내기'열풍을 불러 일으킨 주인공이죠...(바둑이 지식계발에 도움이 된다는 말에 우리네 부모님들 얼마나 열성적입니까....^^)
아마도 이런 '일반인'들에게 강력한 어필을 함으로써 바둑계가 이렇게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되네요...물론 다비님께서 언급하셨던 조남철 선생님('바둑'이란 말을 만들어내셨죠..) 을 비롯한 여러 분들의 노력또한 무시해선 안돼겠죠..^^
02/08/10 01:58
수정 아이콘
거치는 과정을 모욕이라 표현하시다니.. 유감입니다.
민경진
02/08/10 01:59
수정 아이콘
여담입니다만...어쩌면 괜스리 트집잡는 것 같은데, 그래도 바둑계에선 통용되고 있는 것이니...
프로기사의 단수를 표시할 때는 한문으로 씁니다..그리고 아마추어 단수를 표시할 땐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하구요...(왜그런지는 모르겠지만^^)'물론 꼭 이렇게 해 주십사' 하는 건 아니구요, 알고 쓰는 것과 모르고 쓰는 것은 그래도 뭔가 다르잖아요...
이재석
02/08/10 02:00
수정 아이콘
너무 조급한 거 같다. 솔직히 말해보자.. 바둑이랑 게임(스타크래프트)가 아직 비교할 단계인가.. 게임계는 지금 길어야 3년째이다. 그에 비해 바둑계는 훨씬 오래되었다. 선수도 훨씬 많고 경쟁도 더 심하고 연습기간도 아주 어릴때부터 10년정도는 두어야 하는데 상금이 저 정도는 되는 것은 당연하다. 스타크래프트는 나온지 3년 조금 넘었다.. 아주 초창기부터 했다고 치더라도 경력이 3년이 전부이기 때문에 아직 비교할 단계가 아니다. 스타크래프트 방송이 10년정도 지속되면 그때가서 얘기해보도록 하자. 스타크래프트를 7살부터 시작해서 17살쯤에 데뷔하는 선수가 있을때 그때 다시 얘기해보도록 하자.
Dabeeforever
02/08/10 02:02
수정 아이콘
알고는 있는데 여기서 한문쓰면 딱딱해 질까봐서;;
앞으로 주의하죠...^^
박카스먹자
02/08/10 02:12
수정 아이콘
게임계의 특성상 한가지 게임이 몇십년동안 사랑받기는 힘들다고 생각 합니다. 그런 점에 있어서 바둑이나 장기와 비교하는 것이 무리일지도.. 액션 게임이라면 가능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하지만
박카스먹자
02/08/10 02:13
수정 아이콘
한가지 게임은 스타크래프트를 지칭 하는 것입니다 ^^;
02/08/10 02:15
수정 아이콘
전 바둑,스타크 둘다 좋아하는 사람이지만(바둑은 2급인데 중고등학교때 재미로 두다가 이제는 거의 일년에 2~3판만. 스타는 겜아이 1200수준이지만 거의 매일.) 솔직히 바둑계를 표본으로 삼는 건 좋지만, 바둑이나 게임이나~ 하는 건 '모욕'으로 느껴지는군요.(자세히 설명은 못하고 한마디만 하자면, 수백년의 철학이 담긴 세계입니다)
쿨럭...근데 참고삼아 말씀드리면, 국내기사가 170명쯤인데 일년순수상금수입이 3000넘는 기사는 10명정도 뿐입니다.(가끔 10억 넘는 이창호나 조훈현도 있지만) 국내기전 상금 다해봐야 5억정도밖에 안되네요 머.
참! 바둑에선 볼수 없는 정열,젊음이라니욧~지금의 이세돌이나 한때 유창혁의 바둑을 보면 그런걸 느낀답니다.
여튼 아직은 게임계는 산업적으로 유망하다는 것 이외에 바둑계와 동등비교하긴 무리라고 생각하네요.
민경진
02/08/10 02:30
수정 아이콘
바둑과 비교(이부분에 대해선 여타 얘기 덮어두고)할 때 게임계가 안은 문제는 대체로 '드러나는 문제'는 두가지라고 봅니다.
1.군대문제
--바둑기사들은 원체 어릴때부터 프로기사를 꿈꾸며 공부하기 땜시(연구생제도 같은...)중학시절 이전 입단하면 학교를 중퇴합니다..안타까운 일이긴 하지만, 그래서 상당수의 프로기사들이 군 면제자입니다. 반면 프로게이머는...신주영 선수가 그 본보기가 될 듯 합니다만, 게임이라는 특성상 약간 어려운 것이 아닌가 하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프로데뷔도 예외없이 군대미필의 신분으로 하는 실정이고...그렇다고 현재 게임계 상황 상 중학교 때 프로게이머 자격증 따고 중학교 정도에서 중퇴하기는 그건 또 '미래'라는 면에서 약간 모험일테고..

2.게임선택
바둑은 뭐 바둑 하나로 계속 가는거죠, 그러니까 문제가 안되는데, 게임은 한가지 게임, 다시말해 스타크래프트 하나로 몇'십'년씩 가지 못할 것이란데 문제가 있습니다. 명색이 프로게이머라는 이름을 가진 분들이, 새로운 게임으로 플레이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는 아마에게 프로라는 이름을 걸고 실력으로 '누르지'못한다면 각 게임별 프로게이머들이 난립할 것이며, 프로게이머의 생명도 그 게임의 수명과 함께 끝이 날 것입니다. 새로운 게임이 나오면 새로운 인물이 나오는 것은 좋지만, 기존의 프로라는 이름을 가진 프로게이머들이 계속해서 어떤 게임이든지 자신이 플레이 하겠다 하는 게임에 있어서는 계속해서 프로게이머 생활을 연장해 나갈 수 있는 실력과 그 실력을 쌓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현재 벌어지고 있는 워3리그가 어쩌면 이런 프로게이머 '선수생명'에 첫번째 시험대가 되지 않을런지..
커피우유
02/08/10 02:41
수정 아이콘
비유하는 것은 이해가나 비교하는 것은 의미 없다고 생각합니다.
우승상금 2000만원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스타가 전 세계적으로 많은 유저를 확보하고 스타리그가 그 만큼의 시청자를 확보 할 수 있다면 상금은 당연히 올라가겠죠.
바둑은 아시아권 팬들만 몇억입니다.
비교하는 것 자체가 우스운거죠.
02/08/10 06:58
수정 아이콘
게임이 역사와 전통에서는 바둑에 비해 턱없이 모자란 수준이지만 비교하는 것 자체엔 무리가 없다고 봅니다 .
현재 대중적인 인기를 얻는 것은 오히려 게임 쪽이죠 .
바둑 매니아 들은 거의다 이제 어른들이구요
젊은 층엔 아무래도 게임인구가 더 많겠죠 .

요즘 문화가 그렇듯이 발전은 거의 급속적입니다
게임 역사가 3~4년 정도 절대적인 수치는 매우 짧은 편이지만
바둑과 절대적인 수치로만 비교해서는 안됩니다
물론 바둑에 비하면 아직 턱없이 부족한 점이 많긴 하지만요
나름대로 게임문화나 대회 같은 것도 정착이 되었다고 봅니다
상금에 관해서는 아직 게임에 대한 인식이 생각만큼 널리 확신 되지 못했구요 그래서 역시
바둑에 비해서는 그만큼 힘을 얻지 못했기 때문이라 봅니다
게임이 스포츠의 하나로서 인식이 되어 간다면
아마 게임대회의 규모나 권위등도 바둑만큼 혹은 그 이상으로 발전하겠죠 ㅡ
로베르트
02/08/10 14:20
수정 아이콘
그런데 바둑기사들의 대우가 프로스포츠보다 떨어지는것은 당연한거 아닐까여?
무엇보다도 상품성에서 격차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대우가 낮을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마요네즈
02/08/10 16:15
수정 아이콘
일단 바둑이랑 프로게임을 동급으로 비교한다는 것 자체가 조금은 말이 안되는군요.. 일단 역사부터 엄청난 차이가 나고.. 그것을 향유하는 팬들의 수차이도 엄청나다고 생각합니다.. 바둑기사들 역시 못버는 기사들은 일류기사들에 비해 수입이 턱없이 부족합니다.. 제 생각에는 바둑역시 대회수와 그 상금이 더 늘어나야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걸 잣대로 '보시면 충격먹으실 듯'이란 제목을 걸고 비교해놓은 것은 부적절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Rokestra
02/08/11 00:56
수정 아이콘
저도 바둑과 스타크래프트를 비교하는 건 상당히 무리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바둑시장과 전체 게임시장을 비교한다면, 게임 산업 쪽에서 모욕을 느낄 수도 있겠죠. 수십년 안에 영화 산업의 규모를 능가할 거라는 예측들이 지배적이죠. 암튼, 바둑과 게임을 단순대입하여 비교하는 건 큰 의미가 없어 보입니다. 단지 특성 자체가 몇 가지 비슷할 뿐, 전체적인 모습은 오히려 스포츠보다도 닮은 걸 찾기가 힘들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52 [잡담]한중일 바둑계 비교...(테란=한국,저그=중국,플토=일본) [10] 먼지1629 02/08/10 1629
4849 화이팅 가림토!! [3] 하이퍼1811 02/08/10 1811
4844 스타리그 역대 통계 [3] Laurant1219 02/08/10 1219
4843 바둑과의 비교를 보면서... [5] 또리1271 02/08/10 1271
4842 스타리그 활성화 방안을 보면서..... [4] 또리1346 02/08/10 1346
4840 게임계와 흔히 비교되는 바둑계 현실...보시면 충격먹으실 듯...--a [18] 민경진2243 02/08/10 2243
4839 [pgr21] 정말 사람이 많아졌습니다.. [3] 목마른땅1310 02/08/10 1310
4838 이상적인 게임리그...아니 스타리그... Gotetz1837 02/08/10 1837
4837 통합 대회에 대한 의견 [12] Daviforever1346 02/08/10 1346
4836 Gembc홈페이지에 대하여 여쭈어볼께요. [1] 서창희1308 02/08/10 1308
4835 이윤열 그는 어디까지 갈것인가.. [1] 김지흔1397 02/08/10 1397
4834 게임으로 밥먹고 살려면.. [1] 1461 02/08/10 1461
4833 Sir.Lupin님께! 그리고 Sir.Lupin님이 만드신 맵에대하여.. [16] 서창희1456 02/08/09 1456
4832 [비교]이윤열 vs 변길섭 [11] 제갈공명1728 02/08/09 1728
4830 [잡담]온겜넷 스타 리그 [3] 아무개1303 02/08/09 1303
4829 각 방송사 스타 해설위원님들께 [12] 박준호1535 02/08/09 1535
4828 [잡담]역시..장진남선수..자신의 프라이드 만큼은 지킬줄 아는 선수이군요.. [12] 제갈공명1594 02/08/09 1594
4827 메이저 대회 1억의 상금을 걸자는 분에게 한마디만.. [40] 로망스~1836 02/08/09 1836
4825 겜비씨해설자분들께.. [5] 토스보이1441 02/08/09 1441
4822 흠 저의 8강 예상. [28] 이재석1997 02/08/09 1997
4821 [아!!!] 김동수 선수.. [6] 목마른땅1464 02/08/09 1464
4819 아 조정현 선수.... [7] 사우론저그1334 02/08/09 1334
4818 오늘의 빅메치 1탄 시작입니다. [7] 박정규1311 02/08/09 13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