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10/04 13:12
Q1. 높은 생활수준이라면, 최저임금은 어떨까요? 국민이 평균적으로 얼마 이상은 번다는 의미이니까요.
같은 느낌으로 연금도 좋은 예가 될수 있을거라 봅니다. 은퇴후, 사는데 부족함이 없을 최소한의 금액을 주는 것이니까요. 복지와 관련한 자료를 찾아도 좋으실 것 같구요. (또, 단순히 평균임금도 쓸수 있겠네요) 교육은 분야를 나누어서, 초중고대학교 졸업률, 공, 사교육비, 학생들의 공부 성취도도 어떻게 연관시키면 써먹을수 있을 것 같습니다. Q2. 일단 나라를 두고 비교할때는 GDP per capita나 GNP per capita 같은 자료가 유용하실겁니다. (개인의 생활수준이 토픽이니까요) 그런데, 일본엔이 한국원보다 10배 높다고 10배 잘사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인플레이션보다는 물가지수를 갖고 비교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인플레이션은 보통 한나라안에서 과거와 현재를 비교할때 자주 쓰이는데, 나라끼리 비교할때는 한 시점을 비교하는 것 이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크게 영향을 줄지는 잘 모르겠어요. (이 부분은 저도 확신이 안서니, 그냥 참고만 해주세요) 그리고 <a href=http://en.wikipedia.org/wiki/Organisation_for_Economic_Co-operation_and_Development target=_blank>http://en.wikipedia.org/wiki/Organisation_for_Economic_Co-operation_and_Development </a> 이곳을 가시면 밑부분에 indicators제목밑에 표가 있는데요. 그것을 참고하시면 다른 요소들도 참고하실수 있으리라 봅니다. 위키페디아는 참고자료로 사용하면 안되지만,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이곳을 통해 얻게 되는 것도 나쁘지는 않습니다. 실제로 교수분들도 위키페디아 사용에 대해 호의적인 교수분들도 많구요. (그래도, 직접적으로 인용은 안하시는게 좋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