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5/08 03:42
저도 하우스를 보는데 레지던트 이런건 잘 몰라서..
제가 보기에는 그냥 하우스는 진단의학과의 과장이고 나머지는 거의 동등한 팀원인거 같습니다. 포어맨은 한때는 카메론 체이스와 동등한 입장이었으나 최근에는 승진 비슷한걸 해서 어찌됐든 한 단계높은 직책인거 같구요.
10/05/08 04:26
정확히는 저도 기억이 안 나는데
하우스 팀원들은 전부 전문의 이상입니다. 전공의나 수련의는 없습니다. 시즌 1을 기준으로 보면 다를지도 모르겠네요. 캐머론이 원년멤버중에는 마지막으로 들어왔는데 다른 병원에서 레지를 하고 하박사네 팀으로 온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때 대충 20대 중후반(포어맨은 나머지보다 3-4살쯤 많은듯)이니 아직 전문의는 아닐수도.. 나머지 멤버 중에 체이스는 외과쪽이고 포어맨은 신경의학전문의죠. 중반때 써틴과 친구들 뽑을 때보면 다들 경력이 후덜덜합니다.. 뭐 하우스는 능력+a로 뽑지만요.
10/05/08 04:35
정확히 기억이 나지 않는데
하우스 - 신장내과 전문의, 진단의학과장 포어맨 - 신경외과 전문의 체이스 - 집중치료 전문의 캐머론 - 면역학과 전문의 라고 나왔던 것 같습니다. 의사분들께서 더 정확히 알고 계시겠지만 하우스가 인사권을 갖고 있는 걸로 봐서는 단순한 팀장과 팀원의 관계는 아니고 좀 더 수직적인 관계인 것 같습니다.
10/05/08 04:53
다 전문의 이상입니다.
레지던트는 하우스 중반쯤부터인가 잠깐 나왔다가 사라집니다. 하우스가 엄청 귀찮아하죠. 하우스팀이 워낙에 특이한 케이스를 많이 하는 편이라 다들 잘 모르는 것 같지만 스토리상 딴병원에서 처리 못해서 온 경우도 많죠. 하우스가 워낙 저명한 편이라 팀원들이 예~ 교수님 하고 모셔야죠. 성격은 괴팍해도 경력이 있고 일도 잘하니까요. 포어맨,체이스,캐머론등은 뭐 하박사랑 비교하면 갓 들어온 신입이죠
10/05/08 05:21
국내 의학계에 대해선 전혀 모르지만 미드 하우스를 빠짐없이 본 입장에서 설명해 드리자면
주인공 하우스는 천재죠. 시즌이 길어지고 에피소드가 많아져서 천재성에 대한 부가 설명이 없지만 일상의 사소한 변화에서 결과를 유추해 내는 능력을 보면 주인공이 천재가 아니면 개연성 없는 드라마가 됐을겁니다. 시즌 초창기 포어맨이 하우스에서 불합리한 대우를 받으면서 참는 이유로 종종 하는 말이 세계최고의진단전문의에게 배우고 커리어를 쌓기 위해 밑에서 참고 일한다고 하지요. 병원 원장도 하우스가 최고이기 때문에 주인공 하나만 보고 진단의학과 만들었고 밀고 당기기가 있긴 하지만 팀원에 대한 인사권도 주인공이 쥐고 있지요. 또한 진료 환자의 선택까지 스스로하고 병원에서 종신근무권까지 가지고 있으니..... 병원내의 권력자 중 한 사람이죠. 원장과 개인적인 친분의 영향도 없지 않지만 드라마 설정상 세계최고의 진단의라고 나오고 그 학과는 진단의학분야의 최고. 희귀병을 고치니 학과가 흑자가 될 수도 있고.. 온갖 검사를 난발하니 적자가 될 수 있지만.. 하우스 명성이 있으니 병원 홍보에 도움되고 머 그런다는군요.. 그리고 팀원들은 진단의학과 만들어 질 때 지원원서 받아서 주인공이 선택한 사람들인데 주인공의 문제해결에 영감을 줄 수 있는 흥미로운 사람으로 뽑았지요. 진단학과의 명성에 맞는? 경력 있는 사람들로 뽑는다고 해도 붙어 있진 않을꺼 같아요. 워낙 주인공이 학과내에서 폭군에 독재자이다 보니....
10/05/08 15:32
하우스 ㅡ 과장 맞구요, 테녀...라고 종신직입니다; 이사회의 동의가 없으면 못 자르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정교수 내지는 석좌교수급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듯
밑에 의사들은 attending 정도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fellow보다는 윗급, staff은 아니구요 teaching hospital이라고 해도 꼭 레지던트를 둘 필요는 없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