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4/19 16:25
모르는 건 질문하는 것이 옳지요. 하지만 약간의 수고로움만으로 충분히 찾아볼 수 있는 것을 질문하시면 별로 좋은 시선은 못 받습니다.
정말 모르겠고 어떻게 알아볼지도 모르겠는 것을 성의껏 질문하시고 성의껏 감사를 표하시면 문제될 일은 없을 것 같아요. 죄송하지만 구성적 구조주의가 무엇인지는 전혀 모르겠네요. =_ =;
10/04/19 16:52
무슨 사전을 찾아봤는지 모르겠습니만...
너무 밑도 끝도 없는 질문이라 (어느 전공, 무슨 과목에서 어떤 학자를 공부하다 나오는데 모르겠다 정도는 써주셔야 답을 해주는 사람도 품을 줄이죠) 어쩄든 최대한 간단히 쓰자면 구조는 행위자와 독립적으로 존재하면서 그들의 행위를 구속하고 제약하나 (구조주의), 동시에 사람들은 사고하고 성찰하며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이용하여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현상을 구속한다(구성적)가 되겠습니다.
10/04/19 17:12
뭐 용어는 학자 쓰기 나름이지만 대표적인 구성적 구조주의자에는 피아제가 있습니다.
사회학 쪽에 가장 가까운 학자는 질베르 뒤랑이 되겠네요. 구조주의는 가면을 쓴 실증주의다. 이말이 생각나네요. 보통 인지구조를 탐구하는 쪽에서와 사회적 구조를 탐구하는 쪽에서 나누어서 쓰이죠 아시다시피 '구조'라는 개념을 인정하는 학자들 사이에서도 구조가 선험적인 것인지, 인간(이성)과의 관련성은 어떠하지에 대해서 많은 차이가 있는데요. 구성적 구조주의는 그러한 구조에 대한 귀인을 후천적인 것이면서 인간(이성)으로 하는 쪽이란 걸 이해하시면 대략적으로 파악이 가능하실 겁니다. 학자마다 워낙 각론에서는 많이 차이가 나서 맥락속에서 재이해를 하셔야겠지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