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4/13 13:36
세포 - 원핵세포/진핵세포
차이점은 검색하시면 나올테고, 대다수의 세균들은 원핵세포로 되어있습니다. '원핵세포가 생명공학에 이용되는 예'로 찾지 마시고, '대장균이 생명공학에 이용되는 예'등으로 찾아보시면 어마어마하게 자료가 나올겁니다.
10/04/13 13:41
보통 원핵세포 중 대장균을 많이 쓰죠.
일례로 어떤 물질을 대량생산 하고자 한다면(ex. 인슐린) 사람(진핵세포)의 인슐린 유전자(DNA)로 부터 생성된 mRNA를 추출 -> reverstranscriptase 로 다시 DNA로 변경 (진핵세포의 경우는 reversetranscription, 즉 역전사 과정을 꼭 거쳐야 하는데 이는 진핵세포에서는 유전자의 sequence가 성숙된 mRNA의 sequence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엑손-인트론 때문에..) 이렇게 인슐린을 생산할 수 있는 DNA를 vector(운반체)인 plasmid를 제한효소로 자르고 거기에 넣고 다시 ligase로 붙입니다. 그러면 plasmid에 인슐린 생산 DNA를 집어 넣은게 되죠. 이 plasmid라는 것은 일종의 extra DNA인데.. 그러니까 원핵생물의 경우 본래 자신의 original DNA 말고도 또 다른 extra DNA를 가지고 있고 또 외부로 부터 받아들여서 자기 것 처럼 쓰는 성질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 plasmid에 넣으면 대장균 자체의 DNA를 변화시키지 않고 어떠한 형질을 집어 넣을 수 있는거죠. 이를 형질전환이라고 하던가 그럴겁니다.. (가물가물...) 일종의 유전자 재조합이죠. 그러면 이 대장균은 인슐린을 산물로서 생산하게 됩니다. 물론 제작과정에서 100% 인슐린을 생산하는 대장균만 생기는건 아니고 잘못 붙을 수도 있고 해서 screening 해서 가려내어 인슐린을 생산하는 대장균주만을 추출해서 배양해서 효율을 높이는 과정이 들어있긴 합니다.
10/04/13 14:04
생명과학이라 답변을 못 하겠군요. -_ -)/
원핵생물은 대장균같은 세균(미생물)을 뜻합니다. 효모(이스트)만 되도 진핵생물입니다. 단백질, DNA의 증폭, 정제에 주로 많이 쓰입니다. 기타 화학물질의 공정에도 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