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5/04/17 19:18:54
Name EzMura
Subject 고1이 신경써야할 과목은?
우선 국민공통교과라고 해서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도덕, 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이렇게 10개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교양같은 특이한 경우가 아니면 다 들어간다는 소리가 아닙니까...-┏

(한문은 만약에 안들어가도 그건 어쩔 수 없이 해야하는 것이고...;)

하지만 학원선생님께 여쭈어보니 그건 교대나 다보는 것이지

주로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도덕 정도만 본다고 하시더군요.

2학년 때부터는 문과, 이과에 따라 국영수사/국영수과 정도로 나뉜다고...

하지만 저희 7.5차는 내신세대가 아니느냐?! 그럼 결국

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 제가 가장 싫어하고 자신 없어하는 과목...-┏

도 봐야하는 것 아니냐...ㅠ.ㅠ 이렇게 말하니

아무리 내신으로 바뀐다해도 그거까지 다 볼리는 없으니

그냥 수업시간에 듣기나 잘듣고(체육같은 경우 잘 놀고-_-)

시험치는 날 아침에 살짝 훑어주라고 하시더군요...

이 말을 과연 믿어야할지 말아야할지 심히 고민입니다-_-;;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맞는 말 같은데...

아무리 내신세대로 바뀐다고 해도 그건 중요과목에 한해서만 그렇지

저런 교과는 볼지 의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yHeartRainb0w
05/04/17 19:29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여 저는 마지막 수능학년입니다. 지금 고2인데..
고1되돌아보면 좀더 열심히 할걸 생각하곤 합니다. 솔직히 딱 까놓고 말하면, 국어 수학 영어가 제일 중요하죠. 그렇지만 2학년떄 이과 문과로 나뉠때 이미 생각해놓은신게 있으시다면, 사회 과학 이렇게 둘중에 하나도 열심히 해야겠죠?. 근데 이번에 정부에서 수가 15%이상이면 내신부풀리기가 되서 시험이 엄청 어려워진다고 하던데.. 다열심히 해야겠죠. 그리고 중요시하는 과목을 두자면 단위수가 많은 과목을 하시는게..
FreeComet
05/04/17 19:54
수정 아이콘
그냥 전과목 만점맞겠다는 목표로 공부하세요.. 자신이 특별히 몇과목 골라서 중요시해서 공부해봤자, 그 과목 무조건 100점 맞지 못하고, 무조건 다른과목보다 잘본다는 보장 없습니다.
정말 내신반영률 높은 몇과목에 '올인'해서 그 과목들만 3년내내 만점맞을 생각 아니면 말입니다.
05/04/17 19:56
수정 아이콘
7차 교욱과정이자 현 대학생인 제가 봤었을때 이번 고1 참으로 불행한 세대입니다. 정부란 것들이 항상 머저리처럼 정책을 짜오는 것을 볼때마다 정말 골머리가 지끈 아파옵니다.

사교육비 절감으로 내신위주의 정책을 세웠더니만 기껏 한다는 것이 내신위주라... 그나마 7차교육과정때에는 수능위주와 EBS의 활약으로 사교육비가 줄긴 줄었습니다만은...

이건 뭡니까? 내신 조작에 연루된 선생들도 수십명이고 기가찬것은 예체능 과목조차 과외를 두고 있다는 현 실정들입니다. 서울에서는 어느 한 학생이 줄넘기를 못해서 줄넘기 과외를 한다고 하더군요.

이게 뭡니까? 이게 정부가 주장하는 사교육비 절감입니까? 학부모들은 안그래도 선생들한테 끌려다니는데 이제는 굽실거려야겠군요.

오죽하면 이젠 체육교사도 거드름을 피운다라는 말이 나옵니까. 이거 완전히 선생님은 왕이고 학생과 학부모는 봉이로소이다네요.

이번 정책으로 가장 큰 수혜자는 학교 선생과 학원 선생들이라 하더군요. 정말이지 정부 이딴식으로 할거면 집어치우십쇼...

잠시 말이 샜는데 윗분 말대로 단위과목 위주로 공부를 하시고 특히 국어 영어 수학 이 3과목은 당연히 수 이상을 받아야 할 것입니다. 등수까지도 고려하셔야 할듯 합니다. 이제는 단순히 등급보다는 등수까지도 신경을 쓰셔야 할듯 합니다.

또한 앞으로는 이런 개같은 정책 때문에 모든 과목을 그야말로 다 열심히 해야합니다. 그야말로 학생들은 더더욱 피곤해지고 더더욱 돈도 많이들고 더더욱 피해가 발생하게 되었군요.

제가 대통령이라면 교육부 장관 당장에 짜르고 싶겠군요.
05/04/17 19:57
수정 아이콘
장관이 아니라 부총리군요.
05/04/17 20:10
수정 아이콘
닥치고영수...
05/04/17 20:11
수정 아이콘
Nerion님// 저희 때부터는 아마 등급만 나오고 석차는 나오지 않는 것으로 압니다. 수우미양가 절대 평가기준도 나오지 않구요...나오는 것은 원점수, 등급, 평균점수던가...? 그렇게 나오는 걸로 압니다. 여하튼 모든 과목을 열심히 함에는 틀림 없지만 그래도 기술가정, 예체능이 들어가느냐 안들어가느냐에 따라 느끼는 압박감이 상당히 달라질 것임에 틀림 없죠. 만약에 들어갈 비중이 낮다거나 안들어간다면 그 시간에 단어 하나 더 외우고 문제 한 문제 더 푸는 것이 이득이지 않을까 해서 이렇게 여쭙고 있습니다...
05/04/17 20:16
수정 아이콘
그것은 순진한 생각이십니다. 수시를 준비한다면 등급보다도 등수를 더 생각합니다.

정부의 정책은 말 그대로 등급뿐이지만 대학입장에서는 다르게 봅니다. 오죽하면 대학 본고사 부활하라고 말들이 터져나오는거죠.

한 예를 들어볼까요? 1년전 제가 고 3이었을때 전교에서 3%미만만이 어느 대학에서는 제한했었고 또한 대학에서는 그 이하는 쳐주지도 않는게 현실입니다. 모 대학에서는 말이죠...

또한 저희 때에도 등수는 나오지도 않았죠. 그러나 대학에서 요청할때 학생부 성적에서는 등수까지도 다 봅니다.
김제준
05/04/17 20:25
수정 아이콘
수학이 중요 합니다. 수학은 처음부터 차근 차근히 쌓아 가야 됩니다. 뒤에가면 못따라가요. 국어는 문학이나 지문들 자주 읽으시고(속독도 연습) 영어는 진도 따라서 차분히 하면 걱정 없어요. 수학이 가장 중요
05/04/17 20:56
수정 아이콘
제가 학벌좀 되는데요..-_-;;;;;;(완죤 민망 ㅜ_ㅜ)수수수수수수수수수수수수수수수수수수수수ㅜ수수수수수학....이 중요하고 국어 영어는 비슷한정도로 중요한듯..
05/04/17 20:56
수정 아이콘
EzMura님//자세히는 모르겠지만, 아마도 전과목에 목숨(?)을 걸어야 할 듯 싶습니다. 오죽했으면, 수능끝나고 수험생들 성적표 받고 우는 모습 보셨죠? 그런 모습들이 내신 시험 직후에 볼 수 있을거라는 말까지 나오겠습니까....... 그리고, 수학 진짜진짜 수업 열심히 잘 들으세요.... 저처럼 낭패 볼 수 있습니다 ㅠ_ㅠ

p.s : 교육부 ㅅㅂㄹㅁ!!!! ㅠ_ㅠ
공부쟁이가되
05/04/17 21:09
수정 아이콘
전교 4%안에 들어야지 1등급인가요??
전 재수가 안되는 고2로서 짧은 의견을 말하겠습니다
정말 모든 과목 열심히하시길 바랍니다.. 국, 영, 수는 말할 필요도 없이 과학(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물) 사회(지리, 일반사회) 수업은 필히 잘 들으셔야되구요.. 시험 때 되면.. 긴장하셔서 정말 열심히 하세요.. 확실한 개념정리후 문제반복 -_-;; 100점 맞는 길입니다.. 요즘 시중 서점에가보면.. 내신을 위한 자습서도 나왔더군요.. 그런거 사서 하셔두되구요..
열심히 하세요!! 그래서 꼭 1등급에 들기 바랄게요..
05/04/17 21:20
수정 아이콘
공부쟁이가되보자님// 네 맞습니다. 4%까지가 1등급, 11%까지가 2등급인걸로 압니다.
05/04/17 21:29
수정 아이콘
제가 생각하는 건 수학, 영어, 국어, 사회, 과학...많이 보면 도덕까지는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궁금한 것은

기술과정, 체육, 음악, 미술 <- 이 4가지입니다-_-;;
05/04/17 21:35
수정 아이콘
과목이 많이 줄었군요. 전 18과목을 했는데.. 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만 빼고 열심히 하면 되겠군요.
05/04/17 21:41
수정 아이콘
EzMura님//님께서 대학 가실때는 어떻게 바뀔 지 모르겠지만, 지금 현 상황에선, 대학에서 내신을 볼 때 몇 과목 안보는 걸로 압니다. 예를 들어 인문계열로 가신다고 하면, 인문계열에서는 국어과, 영어과, 수학과, 사회과를 중점적으로 볼 겁니다. 그 중에서도 빠지는 게 있고 아님 다 들어갈 수 있지요.....

결론은 기.가, 체육, 음악, 미술은 (지금 대학입시 요강이 그대로 간다면) 별로 신경쓸 필요가 없는 듯.....

하지만, 혹시나 모르니 시험기간때만이라도 열심히 해두세요


↑ 그래서 뭘 어쩌라는 거냐 -_-+++
05/04/17 21:43
수정 아이콘
전 문과로 갈 생각입니다...; 여하튼 기가, 체육, 음악, 미술...휴...다행이네요...-┏ 만약에 들어가도 그렇게 크게 영향은 주지 않을 정도로는 해둬야겠네요...ㅠ.ㅠ
mysterious
05/04/17 21:47
수정 아이콘
BluSkai// 1등급 4% 2등급 7% 3등급 12% 4등급 17% 5등급 20% 6등급 17% 8등급 7% 9등급 4% 죠^^
05/04/17 21:49
수정 아이콘
mysterious님//제가 말했던 2등급 11%는 전체 학생수에서 11%를 말한 것이었습니다. 그럼 1등급의 4% 이하부터 11%까지니까 7% 맞네요^^
ChojjAReacH
05/04/17 22:12
수정 아이콘
BluSkai 님이 말 한거는 누적했을 때 인듯..
저도 이제 고1 인데 원점수도 안 나오는 걸로 알고 있는데..
제가 다니는 학교는 친구들이 워낙 공부를 잘 하는지라..(저는 비평준화 지역...) 수능은 잘 봐도 내신이 걱정이네요..
내신위주라 기가,체육,음악,미술 등등도 중요할 겁니다.. 수행평가만 잘 받으면 되겠지만..
신선영
05/04/17 22:18
수정 아이콘
영어를 일단 잡아놔야 고3되서 공부하기 수월합니다. 그리고 만약에 문과가시려면 수학은꼭하시길 문과는 수학나형일껍니다 수능볼때말이죠..수학나형은 일단 공부조금만하면 왼만한문제는 풀수있죠 거기서 점수를 딸수밖에없네요.
공부쟁이가되
05/04/17 22:34
수정 아이콘
근데.. 지금 고1은 내신으로 가기 때문에..
기가,체육,음악,미술 해야 될듯싶은데요??
EzMura님께서 좋은 대학교쪽으로 진학하고 싶으시다면..
모든 과목을 열심히 하시는것이 좋을 듯 합니다
letter_Couple™
05/04/17 23:12
수정 아이콘
한과목한과목 다 열심히 최선을 다한다면 좋은결과가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공부하는 습관, 임하는 자세를 배우는것도 중요하거든요.
05/04/18 12:27
수정 아이콘
모든 과목을 다 열심히 하여야 된다는 겁니다. 결론적으로는 덜중요 중요 이런거 이번 정책으로 바뀌었습니다.

더군다나 개같은 것은 정부가 대학에서 어떤과목을 반영하는지를 미리 알려주지 않고 그냥 백지화된 상태라는 겁니다.

따라서 학생들은 어떤 과목이 중요한 걸 모르고 막연하게 모든 과목이 중요하다라고 생각하고 모든 과목을 열심히 할 수 밖에 없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746 [요청] 최연성 로템에서 저그상대로 더블컴 리플레이 모아놓으신분 ? [2] 김도한1860 05/04/18 1860
7745 함온스에 대해. [3] 데스2227 05/04/18 2227
7744 프리스타일 잘하는 분들에게 질문 합니다. [4] 저녁달빛1653 05/04/18 1653
7741 친구 생일 선물로 무엇을 하면 좋을까요? [2] 나를찾아서1489 05/04/18 1489
7740 아... 자동차를 누가 긁고 갔네요.. 흠집&기스 제거법 아시나요? [2] 서기2208 05/04/18 2208
7739 체육 시험말입니다.. 해답이 없습니다. [4] 잃어버린기억1527 05/04/18 1527
7738 게시판 사진이나 그림이 안떠요ㅠ [2] 명란젓코난1608 05/04/18 1608
7737 전단지 간접 고백; 괜찮을까요? [9] 바카스1683 05/04/18 1683
7736 테VS프전 질문입니다. [5] 단하루만1501 05/04/18 1501
7734 xp 각종 드라이버에 관해서(whql??) [3] 날씬공자1503 05/04/17 1503
7733 중간고사를 보름 남긴 학생입니다. [국어,암기,예능쪽이 잘하시는분 분은 꼭 봐주세요] [6] FreeWay_Style1260 05/04/17 1260
7732 MBC게임 명장면들 [4] 공방양민1840 05/04/17 1840
7730 해석좀 부탁드립니다 [영어] [5] 유명한그분1676 05/04/17 1676
7728 고1이 신경써야할 과목은? [23] EzMura1627 05/04/17 1627
7727 예전에 PgR21 유머 게시판에... 뒷북이란다1855 05/04/17 1855
7726 수면내시경 해보신분 계시나요.. [7] 미니op_1716 05/04/17 1716
7725 신촌에 자장면집 싼곳 없을까요? [6] 夢[Yume]1547 05/04/17 1547
7724 발신자제한번호로 온 전화,추적할수있나요? [2] 김C1414 05/04/17 1414
7723 교회와 성당의 명칭에 대한 궁금증 [6] 타나토노트1514 05/04/17 1514
7722 문자가 이상하게 나옵니다.. [2] Wait for..1544 05/04/17 1544
7721 항상 느끼는 거지만... [2] 김준용1550 05/04/17 1550
7720 포멧하고나서 xp는 각종 드라이버 자동으로 잡아주나요??? [3] Entity1519 05/04/17 1519
7717 2 + 2 = 2 라는 컨셉의 맵들을 구합니다 [6] 데스1536 05/04/17 153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