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8/29 23:03
아마 충전 어댑터 보시면 110~240?V 이렇게 써져 있으면 가능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10-220 커넥터는 600원정도 하네요..) 맥에다 윈도우 까는건 부트캠프?인가 설치해야 한다고 하던데.. 자세한 사항은 다른 능력자 분들께서..
09/08/30 00:21
imac은 써본적이 없지만 어댑터 식이라면 사용가능(맥은 거의 전부가 프리볼트입니다)하고, 달랑 코드만 있다면 본체 뒷부분(그러니까..모니터 뒷부분)을 보셔야 겠네요.
근데 맥의 특성상 어댑터를 쓸것 같네요^^; 윈도우즈 설치는..설명서에도 나와있습니다. 정확히는 파인더에서 이동 -> 유틸리티로 들어가시면 부트캠프 어시스턴트 인가가 있어요. 그걸 클릭하시면 설명서가 나오니 인쇄하셔도 되고, 혹은 네이버 지식인에 잘 나와있더군요. 어시스턴트 실행 -> 파티션 설정(쭉 드래그 하셔서 윈도우에 할당할 파티션 지정) -> 잠시 기다리신 후에 윈도우즈 시디를 넣고 확인을 누르라는 메세지 표시 -> 시디 혹은 디브이디를 넣으시고 확인 그 후로는 재부팅 후 설치 화면이 뜨게 됩니다. 설치 전에는 어느 드라이브(혹은 파티션)에 설치할 것인지를 물어보게 되는데 여기서 다른 메뉴를 건드시면 큰일 나구요. bootcamp라는 레이블이 붙은 드라이브가 있을텐데 그 드라이브만 선택해서 가볍게 포맷하시면 됩니다. 포맷은 빠른 포맷하시면 되고, fat32의 경우는 맥에서 읽고 쓰기가 가능. ntfs는 읽기 가능 입니다. ntfs추천해 드리구요. 포맷 후에는 정상적으로 설치 절차와 동일 합니다. 그 후에는 부팅 시(아마 처음에는 윈도우즈로만 부팅이 됩니다만) c키 혹은 option이라고 쓰여져 있는 버튼을 길게 누르고 계시면 선택 화면이 뜨게 되고 윈도우즈를 선택하시면 부팅이 됩니다. 부팅이 완료된 후 번들로 제공된 osx dvd(아마도 레오파드 이겠습니다만)를 넣으시면 부트캠프 드라이버 설치가 진행됩니다. 이 과정을 종료하셔야 온전히 윈도우즈를 쓰실 수 있습니다. 다만 바이오스가 없는 관계로, 바이오스 인증 방식을 택하는 윈도우즈(예: 비스타)를 사용하시면 인증에 어려움, 혹은 인증이 완료된 후부터는 부팅시에 시간을 잡아먹게 되는 오류가 있습니다. 윈도우즈 7의 경우에는 괜찮더군요. xp도 물론 ok 그리고 맥 상에서 윈도우를 구동하고 싶으실 때는 패러럴즈나 vmware등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또한 윈도우즈 상에서 맥이 설치된 하드디스크를 읽고 싶을 때는 macdrive라는 제품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비교적 저렴한 편이니 자주 사용하신다면 구매하시는 것도..
09/08/30 01:23
정리하면
부트캠프: 파티션 나눠서 윈도우즈 설치하는 겁니다. 당연히 재부팅해서 윈도우즈로 부팅해야겠죠. 가상 머신: Parallels desktop for mac, VMware, Virtualbox(이건 무료입니다) 세 가지가 있고, parallels가 가장 괜찮습니다. 아, 그리고 NTFS는 기본적으로 OS X에서 읽기만 되는데 쓰기까지 가능케 하는 어플이 있었던 거 같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