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9/07/30 23:57:04
Name 읭?
Subject 헬스관련 기본적인 질문 두개
1. 헬스를 시작하기 전과 끝나고 나서 하는 스트레칭과 워밍 업들이 정말 중요한가요?

운동을 한 두달째 하는 중인데 시작하기전에 스트레칭을 5분정도만 하고 운동을 하는데 무리는 전혀 없었습니다만
스트레칭을 하고나서 운동을 하면 뭐 효과가 더 좋아지는 그런 현상들이 있는가요?
그리고 저는 운동을 언제나 자전거 타기로 마치는데 저럴때도 운동 끝나고 하는 스트레칭이 필요한지 알려주세요.


2. 운동을 할때 유산소 운동을 먼저하는게 좋나요 무산소운동을 먼저하는게 좋나요?

전 한 30분정도 무산소 운동을 한뒤 40분동안 싸이클링머신을 탑니다. (발에 문제가 좀 있어서 걷기나 뛰기는 안됩니다 ㅠㅠ)
저렇게 하는거 보다 둘의 순서를 바꿔준다거나 조금씩 섞어가면서 하면 효과가 더 좋을까요? 운동의 목적은 근육을 키우는데 있다기 보단 뱃-_-살을 빼자입니다.


그럼 좋은하루되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애플보요
09/07/31 00:03
수정 아이콘
1. 스트레칭을 함으로써 근육을 이완시켜 주고 관절이나 인대의 가동범위의 범위를 넓게 하며 혈류를 잘돌게 하여 부상도 예방하고 본운동에 더 힘을 쏟을수 있는 준비상태를 만들어줍니다.운동후의 스트레칭 역시 뭉친근육을 풀어주어 근육 회복에 더 도움을 줄수 있으므로 본운동 전후로 5분정도는 스트레칭을 하는것이 좋습니다.

2. 같이 하실거라면 유산소를 마무리로 하는것을 추천드리고 싶네요. 유산소 먼저하고 무산소는 지쳐서 보통 잘 안됩니다.하지만 다른 방법을 권해드리자면 1시간남짓하는 시간에 둘다하기에는 좀 어정쩡한 감이 있으므로 그냥 격일로 유산소 무산소 번갈아 가면서 하는 것을 추천해드리고 싶네요. 더 각각의 운동에 집중할수도 있구요.
09/07/31 00:07
수정 아이콘
본격_위자드모진종님_소환글.txt
09/07/31 00:07
수정 아이콘
..아참 유게가 아니군요. 죄송합니다
WizardMo진종
09/07/31 00:53
수정 아이콘
;;;;

1.
웜업으로 인해 쉽게 풀컨디션을 내게 할수있는것도 있구요.
근데 그거보단 부상예방이 더 클겁니다. 실제로 스트레칭과 준비운동으로 인해서 부상빈도가 현저하게 줄어듭니다. 운동후의 뻐근함도 매우 줄어들고요.

2.
간단하게 말해서 유산소하고 무산소 하면 잘 안됩니다. 음... 스타크래프트에서 개스를 생각하시면 될꺼 같습니다.
처음에는 8씩 캐지지만 나중에는 2씩 캐지죠? 8씩 캐질때는 개스 많이먹는 유닛을 뽑고 2씩 캐질때는 개스를 조금먹는 유닛을 뽑으면 생산에 차질이 없을거에요. 같은원리입니다.
유산소와 무산소 모두 에너지를 사용하는데, 무산소가 같은시간에 더 많은 에너지를 필요합니다. 때문에 유산소 하고 무산소하면 에너지가 없는상태에서 많은양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매우 힘이들어요;;;
하지만 무산소 운동을 하고 유산소운동을 하게되면, 남아있는 에너지는 적지만 운동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보다 수월하게 운동할수 있습니다.

그래서 무산소->유산소 이게 일반적으로 권장하는 운동순서입니다.
자유지대
09/07/31 01:11
수정 아이콘
http://www.ddanzi.com/articles/article_view.asp?installment_id=265&article_id=4584 <--어제 올라온 딴지일보 기사입니다.
워밍업의 목적과 방법에 잘나와있는것 같습니다.
09/07/31 01:28
수정 아이콘
저는 러닝머신 뛰면 땀이 많이 나니까... 땀이 기구에 뭍지 않게 하기 위해서 무산소 > 유산소로 갔었는데... ^^;
천하제일바보
09/07/31 11:44
수정 아이콘
기본적인 것들이지만 정말 안지키는 것들 중 하나가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이죠??^-^

위에 분이 설명을 잘해주셨는데요~ 준비운동으로 인해 첫번째 ROM(range of motion)을, 즉 관절가동범위를 넓히게 되는데..

넓어진 관절가동범위는 운동 중 일어나는 상해를 예방 할 뿐 더러 원활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합니다.

두번째는 준비운동이 영어로 warm -up 이죠??

말그대로 체온이 상승토록 하여 근육의 움직임을 준비합니다~

체온의 상승은 말그대로 혈액의 활발한 움직임이죠??

혈액의 활발한 움직임은 심혈관계가 활발히 움직임이는 것을 말합니다..

즉 심혈관계가 활발하게 움직여 혈액순환을 빠르게 하고 이에 따라 체온이 올라가는 것입니다~

세번재는 컨디셔닝입니다~ 준비운동으로 인한 컨디셔닝은 본운동의 운동수행능력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이때의 준비운동으로 컨디셔닝의 상승은 운동수행능력을 증가 시킬 수 있습니다!!

준비운동은 이만큼 중요합니다~



정리운동은 다음날의 운동을 원할히 수행 할 수 있는 몸상태를 만들어 주며

DOMS(지연성근통증)를 예방하고 컨디셔닝을 조절하게 합니다~

그리고 근육에 집중되었던 혈액들을 다시 원할하게 재분배하게 합니다~

정리운동이 영어로 ccol - down이죠?? 혈액의 단계적 재분배로 운동 하는 동안 높아졌던 체온을

서서히 낮추어 줍니다~

정리운동 또한 매우 중요하죠!!


그리고 두번쨰 질문은 아직 명확하게 나온 연구는 없습니다..

먼저 하는게 좋다 후에 하는게 좋다 말들이 많은데..

명확하게 이게 좋다라고 말 할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두번째 부분은 자신에 맞는 운동 방법을 선택하는게 좋을 듯합니다!!

그리고 다리가 불편하시다고 하셨는데.. 살을 빼는게 목적이라면 중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운동을 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자전거타기, 수영들이 괜찮은 운동이라고 생각됩니다??

운동 프로그램은 이것저것 바꾸어 가면서 하세요~

그래야 오랜기간 장시간 운동에 질리지 않고 할 수 있습니다~
09/07/31 11:59
수정 아이콘
댓글 주신 친절하신 분들 모두 다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__)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60817 인터넷에서 시키는 냉면 추천좀 해주세욤~ [14] 아로스아로스2853 09/07/31 2853
60816 항즐이님이 쓰셨던 댓글을 찾고 있습니다. [11] bigaonda22492 09/07/31 2492
60815 이거 다시 어떻게 바꾸나요;; [1] ASsA1631 09/07/31 1631
60814 인터넷이 좀 느리고 답답한 면이 있어요. [5] Ace of Base1846 09/07/31 1846
60812 어머니 휴대폰 구입 관련 질문이예요. [2] 미남주인1265 09/07/31 1265
60811 svchost 질문입니다! [6] ??1922 09/07/31 1922
60810 [질문]영화 "가케무샤"의 마지막 장면 [4] Neo2386 09/07/30 2386
60809 헬스관련 기본적인 질문 두개 [8] 읭?2234 09/07/30 2234
60808 R&B, Soul 음악 추천 부탁드립니다.^^ [9] 트리비아니2134 09/07/30 2134
60807 이태원 둘러볼 만한 곳이요?(급히 수정합니다) [4] 김종호2105 09/07/30 2105
60806 컴퓨터 소음 어떻게 줄이나요? [7] Benjamin Linus1947 09/07/30 1947
60804 mp3p질문이요 [7] WordK1645 09/07/30 1645
60803 숨김폴더 표시가 자꾸 풀리네요. [1] Bikini2093 09/07/30 2093
60802 상근 관련 질문인데요 [5] 모모홍차2086 09/07/30 2086
60800 저음에 강한 이어폰 질문 드려요~ [6] 총사령관2211 09/07/30 2211
60799 mp3 어떤게 좋은가요? [4] 함박웃음길자2108 09/07/30 2108
60798 advloader를 하고 스타를 하는데 [3] 이상해씨1950 09/07/30 1950
60797 슬럼프,, 어떻게 극복하십니까? [3] 율본좌1598 09/07/30 1598
60796 라리가를 오래전부터 보셨던 분들께 질문합니다. [4] 비야레알1581 09/07/30 1581
60795 자동차 실내 크리닝 한번 받아볼만 한가요?^^; [1] 마르키아르2094 09/07/30 2094
60794 왜 '와이프'란 영어단어를 많이들 쓸까요? [9] let8pla3027 09/07/30 3027
60793 인코딩시 컴퓨터가 멈춥니다. [2] 산이1527 09/07/30 1527
60791 아이팟 터치2세대가 나을까요, 코원S9가 나을까요? [18] EX_SilnetKilleR1991 09/07/30 199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