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9/07/21 13:11:55
Name Bikini
Subject 컴퓨터 관련 자격증 질문 드릴께요
시간이 좀 남아서 남는 시간에 컴퓨터 관련해서 자격증이라던지

좀 배워볼려고 학원에 등록하려고 하는데요

배워 놓고 싶은 분야갸 엑셀같이 기본적이면서 꼭 배워둬야 할 그런 프로그램들

배우면서 자격증도 따고 싶은데 저런건 뭐 어떤 자격증을 따야하는거죠?

꼭 엑셀 아니라도 다른거 배워두면 좋은 따두면 좋은 자격증 이라도 좀 말해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권보아
09/07/21 13:13
수정 아이콘
3대 기본 자격증이 있죠

컴활1급, 워드1급, 정보처리기사

이중에서 컴활은 엑셀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자격증입니다.
09/07/21 13:20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컴활은 그럼 3 2 1 이렇게 순서대로 따는게 좋나요?
09/07/21 13:22
수정 아이콘
순서대로 딸 필요없습니다. 1급은 좀 어려우니 2급을 먼저 따심이..
09/07/21 13:22
수정 아이콘
필시 -> 실기 이렇게 쳐야하죠? 학원을 다니는게 좋을까요? 독학하는분도 되게 많네요 알아보니
권보아
09/07/21 13:24
수정 아이콘
아뇨 2급부터 따시는게 좋아요~

3급은 굉장히 쉽기때문에 2급 공부하시고 2급 먼저 따시고 1급으로 가시면 됩니다

위에 언급한 3가지는 이력서에 들어가는 기본적인 3요소라고 보시면 되요~

위에 정보처리기사 같은경우도 3단계가 있습니다. (정보처리기능사, 산업기사, 기사)

정보처리기사 같은경우에 어느 공무원 서류전형에도 모두 가산점이 붙는 중요한 자격증입니다.
권보아
09/07/21 13:25
수정 아이콘
그리고 독학이 좋습니다 (굳이 학원등록안해도 따지죠)

필기는 신속하게 패스하고 싶으면,

문제은행 같은거 사서 풀어보시면 금방 따실겁니다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으시면 이론책을 사시는게 좋구요)

실기는 각종 강의같은거 참고하심 좋아요
화이트푸
09/07/21 13:27
수정 아이콘
특별히 컴퓨터 전공이 아니라면 따실 필요는 없으실꺼 같은데요.

전공쪽 자격증을 취득하시는게 어떠실런지요.

솔직히 취득한다고 해서 이력서에 쓸수도 없는걸요.
09/07/21 13:35
수정 아이콘
권보아님 쪽지로 질문 드렸습니다.
09/07/21 13:45
수정 아이콘
워드나 컴활 따로 자격증 따는 것보단 사무자동화 산업기사를 보는게 좋다고 봅니다.
사무자동화 산업기사에 워드, 컴활이 다 들어가는 것이거든요.
또한 공무원 시험때 가산점도 붙는 것으로 압니다.

어쨌든 워드나, 컴활, 사무자동화, 정보기기 등 필기시험을 준비할 때는 한꺼번에 하는 것이 훨씬 이득입니다. 이론적 부분에서 공통되는 부분이 많아서 따로 공부할 필요가 거의 없거든요. 어차피 실기는 1년 안에만 따면 되니 실기준비는 필기합격 후에 준비해도 충분합니다.

덧,사무자동화의 경우 4년제 대학교 재학중이라면 2년 수료 후에 가능합니다.
Hyo-Ri_World
09/07/21 14:36
수정 아이콘
근데 컴퓨터전공이 컴활 딸 필요도 없죠

국제 자격증 따는게 오히려 더 좋죠
09/07/21 15:53
수정 아이콘
컴퓨터 전공자가 저런 자격증 따면 좀 웃기죠..;;
괜히 비웃음 살지도..

보통 취업을 위해서 비 전공자 분들이 모스(MOUS?) 자격증을 주로 따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아마 마이크로소프트 공인 오피스 프로그램 관련 자격증일거예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60092 Runtime error...이거 해결 방법 없나요? [1] Forever.h2477 09/07/21 2477
60091 회사 내 방화벽 때문에 게임이 안되는 것 같아요. [3] Coffee2530 09/07/21 2530
60090 원피스 갓 에넬 질문입니다. [12] 날씨2686 09/07/21 2686
60089 지금프로리그 po 진행방식이어떻게되죠? [1] 럼블1741 09/07/21 1741
60088 맨유 대 fc서울 경기 가는 분 게십니까? [2] 핸드레이크1656 09/07/21 1656
60087 치아 질문입니다. [1] 양산형젤나가1732 09/07/21 1732
60085 자격증 이야기가 나와서 말입니다. [5] 오월1961 09/07/21 1961
60084 PGR지식인님들께 USB 관련 도움을 요청합니다. [6] ~수표~2098 09/07/21 2098
60083 팝송같은데 이 노래 제목 알려주세요. [2] 1994 09/07/21 1994
60082 컴퓨터 관련 자격증 질문 드릴께요 [11] Bikini1923 09/07/21 1923
60081 용산역 근처에 다이소 있나요? [3] 본호라이즌6973 09/07/21 6973
60080 진돗개1호님은 어떻게 되셨나요??? [2] 인스네어리버2210 09/07/21 2210
60079 라디오스타 즐겨보시는 분 계신가요?? [14] snut4996 09/07/21 4996
60078 대출금액을 저금리로 바꾸려고 합니다. 나이스후니1918 09/07/21 1918
60077 외장하드 파일이 날아갈 확률은 ????? [4] 네오마린1737 09/07/21 1737
60076 노량진 공무원학원에 대해 질문드려봅니다.. 공무원준비하시는분.. [8] 라울4118 09/07/21 4118
60075 슬라보예 지젝 입문으로 어떤 책이 좋을까요? [2] legend2420 09/07/21 2420
60073 상표권 관련 법률에 관한 질문이 있습니다. [1] shadowtaki2169 09/07/21 2169
60072 배틀넷이 너무 자주 튕깁니다. 허느1641 09/07/21 1641
60071 비주얼 베이직을 배워보려고 합니다. unluckyboy1621 09/07/21 1621
60070 fm2009 응용프로그램 오류 질문이요 ㅠ [2] DeepImpact3111 09/07/21 3111
60069 익스프롤러가 실행이 안 되네요. [2] 그냥저냥1393 09/07/21 1393
60067 그분 vs 황신 [22] 아카펠라2117 09/07/21 211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