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5/21 19:20
1번은 앞에 문제가 더 있던지 소문제 아닌가요? Na2SO4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가 갑자기 튀어나온걸 보아하니..
여하간 역적정 문제겠네요. 샘플이 소듐설페이트를 함유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설명을 해드리면 0.2057g 소듐 설페이트 샘플 중의 SO4 2- 이온을 과량의 EDTA-바륨 complex를 더해서 BaSO4로 침전을 시켰습니다. 이 과정에서 용액에 EDTA 분자들이 남아있겠죠? 이 녀석들을 다시 Mg2+로 적정을 해보니 0.02644M 마그네슘 이온 용액 31.79ml가 소모되었습니다. 즉, 샘플 내의 Na2SO4 양 = 침전된 SO4 2-이온의 양 = 용액중에 풀어진 EDTA의 양 = 소모된 마그네슘 용액의 양이 됩니다. 당연히 여기서 생각하셔야 될것은 '각 단계에서 몇대몇 비율로 반응하느냐'입니다. 무턱대고 위의 등식이 성립하는게 아니라 각각의 반응하는 몰수비가 있겠죠. 그것만 조심해서 Na2SO4의 양을 구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2번은 죄송하지만 일반화학 문제네요. 일반화학 화학양론 챕터 찾아보시면 똑같은 문제들을 예제로 심심치 않게 찾아보실 수 있을겁니다. 3번도 1번이랑 개념은 같네요. HgO는 과량의 KI로 적정한 후, 거기서 발생한 OH- 이온을 농도를 정확히 알고 있는 HCl로 적정해서 HgO의 양을 알아낸 겁니다. 전체적으로 역적정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져보이시니 이 쪽에 대한 개념을 잡고 가시면 좋을듯 싶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