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9/04/21 15:43:20
Name Swear
Subject 순수예술과 상업예술
제가 요즘 학교에서 수업을 듣다보니,
순수예술이 더 발전해야한다고 교수님께서 계속 강조를 하시는데요.

상업예술이 발전하면 금전적으로나 예술적으로나 발전하니까 괜찮을것 같다는 생각이,
제 짧은 식견으로는 느껴집니다.

교수님께서 순수예술이 발전해야한다고 계속 강조하시는 이유가 뭔가 있을까요?
설명이 나올거라 예상했지만, 따로 설명은 안해주셔서 궁금합니다.

물론 시험기간이라서 시험에 내실까봐 걱정도되서 질문 한번 해봅니다.^^
pgr분들의 넓은 지식으로 도움을 받아볼까 하구요 ^^

부가적으로 순수예술이 발전하려면 어떤 방법이 있을지 좋은 생각 갖고계시면 알려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4/21 16:21
수정 아이콘
순수예술의 반대말이 상업예술인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순수예술도 돈을 위해 쓰일 수 있고 순수예술의 반대는 대중예술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드는데요
대중예술도 인디밴드처럼 돈이 안 되는 경우가 있구요
짧게 논하기엔 복잡한 주제인 것 같고...
음악에 한정한다면 현대음악... 이라기 보다는 1900년대 순수음악을 찾아서 들어보세요
태어나서 처음 듣는 손발이 오그라드는 느낌의 음악일겁니다
대중음악은 대중들이 이해하는 쉬운 것을 사용합니다
대중들이 익숙한 것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순수음악은 기존에 없었던 것을 찾아갑니다
그래서 21세기에 살고 있는 비전공자가 20세기에 작곡된 순수음악을 익숙하게 여기지 못합니다
작곡가들은 대중의 수요나 취향보다 훨씬 앞서갑니다
그러니 음악을 선도하고 새로운 것을 창출한 것은 순수음악의 몫이었습니다
대중음악의 수준이 낮아서가 아니라 애초에 방향성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순수음악이라는 것 자체가 '음악적으로' 가치 있는 것을 추구해 나가는 것입니다
모티브의 전개 방법, 구성, 대위법, 조성이탈, 리듬 박자 선율의 해체와 같은 것들 말이죠
shadowtaki
09/04/21 16:37
수정 아이콘
영화에 관심이 많은 공학도의 입장에서 답변해 보겠습니다.
미술작품의 경우는 잘 모르겠습니다. 보통 극의 형태를 띄는 분야에서는 하나의 작품이 만들어질 때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1. 작품을 기획한다. -> 2. 작품을 만드는데 들어가는 돈을 구한다. -> 3. 그 돈을 가지고 작품을 만든다.

여기서 2번 과정에서 그 작품의 상업성과 순수성의 성격이 나뉩니다. 돈을 구하는 과정에서 투자의 목적을 지닌 돈을 받은 경우 이 작품은
기본적으로 투자한 돈을 회수하고 더 나아가 이익을 만들어 투자자에게 다시 배분하는 형태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작품을 상업영화 혹은
상업연극 등과 같은 형태로 질문에서 말하는 상업예술이라고 부를 수 있는 범주에 들어갈 것 같습니다.
그러나 2번 과정에서 받은 돈이 투자의 목적이 아닌 소비가능한 돈이라면 이 작품은 작품을 만드는데 들어간 제작비를 회수하려는 목적을
지니지 않습니다. 이러한 돈은 주로 국가의 지원이나 기업의 사회환원을 위한 돈에서 충당이 되죠. 때문에 연출자는 검증된 연출기법을
사용하지 않고 새로운 형태의 극을 만들어 볼 수 있는 가능성을 갖습니다. 이 범주에 들어가는 작품들을 질문의 순수예술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마도 교수님께서 순수예술이 발전해야 한다고 말씀하신 이유는 예술에서 상업성을 배제해야만 연출자들이 기존의 검증된 연출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리기 때문일 것 같구요. 순수예술이 발전할려면 도전적이며 항상 자신의 분야에서 고민을 하는
연출자들이 많아야 할 것이구요. 그 연출가들을 지원할 수 있는 돈이 많아져야겠죠..
09/04/21 22:07
수정 아이콘
고려대 07년 정시 논술 문제네요.
09/04/21 23:04
수정 아이콘
답변주신분들 감사합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4234 글을 좀 직접적으로 써도 될까요? (뭐 여자에 대한 문제입니다) [16] summersnow2134 09/04/21 2134
54233 MBC게임은 왜 자꾸 놀러와 같은 걸 재방송하죠? [12] 사귀자그래요2207 09/04/21 2207
54232 현재완료중 완료용법에 관한 질문입니다. [3] 서재영1618 09/04/21 1618
54231 파이썬에서 저그상대로 2게잇 하드코어시 질문 [5] HaSSaD1887 09/04/21 1887
54230 영화 1년 예매권 질문 [2] 쿠니미히로1654 09/04/21 1654
54229 주식 결제 관련 질문입니다. [3] lovewhiteyou1669 09/04/21 1669
54228 순수예술과 상업예술 [4] Swear2924 09/04/21 2924
54227 아비터 리콜이 궁금합니다. [18] 럭스2455 09/04/21 2455
54226 각종 엑셀 서식에 대해 질문입니다...많은 도움 바랍니다.. 바알키리1285 09/04/21 1285
54225 워3 나 디아 PGR급 커뮤니티 [3] 이스트1867 09/04/21 1867
54224 Runtime error 라고 뜨면서 인터넷 창이 자꾸 닫혀요 ilovenalra2569 09/04/21 2569
54223 코레일 철도 회원에 대해서 알고 계신분- [3] Carpe Diem1550 09/04/21 1550
54222 악튜러스 공략 [7] 김재혁6283 09/04/21 6283
54221 로마관련 역사책 [3] Tchaikovsky1716 09/04/21 1716
54220 재무용 계산기 구입관련 질문입니다.(정품관련문의) 달덩이1746 09/04/21 1746
54219 컴퓨터 사양 질문 드려요 [wow 관련] [3] 휘련1878 09/04/21 1878
54218 피아노 연주곡명 질문입니다... [3] 악학궤범a1662 09/04/21 1662
54217 인터넷 오류에 관해서 문의드립니다. 서늘한바다1515 09/04/21 1515
54216 노트북문제입니다. [2] 박대희1517 09/04/21 1517
54215 노래 한 곡의 라이브 영상을 찾고 있습니다 [2] 제3의타이밍1915 09/04/21 1915
54213 핸드폰 외장 메모리에 관한 질문입니다. [5] 새들이(Saedli)1695 09/04/21 1695
54211 요즘 버라이어티 질문입니다. [9] MeineLiebe1553 09/04/21 1553
54210 컴터 질문좀 할게요 '' [9] 이나영1570 09/04/21 157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