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9/04/12 22:34:05
Name 래토닝
Subject 프리드먼의 신화폐수량설 질문입니다.
맨날 경제 질문만 하네요 ㅠㅠ

각설하고 책에서 읽어보니 프리드먼의
신화폐수량설은
통화량의 변동이 물가는 물론 고용과 생산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네요.
그런데 케인지언들은 총수요확대정책으로 통화량을 엄청 늘려서 고용과 생산을 늘린다고 하는데
그럼 신화폐수량설은 케인지언의 주장이지 왜 자유주의인 프리드먼의 주장이 되는지 이해가 잘 되지않습니다.

제가 신화폐수량설을 정확히 이해 못해서 그런 것 같은데 왜 그럴까요???

책에서 발췌를 해보자면 : 인플레가 심회되자 통화량 증가의 억제를 주장하는 프리드먼의 신화폐수량설이 크게 주목받게 되었다. <- 요부분

신화폐수량설은  통화량이 고용과 생산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데 그럼 통화량 증가를 억제한다는 것은 고용과 생산이 감소한다는 것인데 이것은 안좋은 상황이니 안좋은 상황을 원한다? 이게 좀 말이 안되는 것같네요. 모순이 된다고 할까나...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래토닝
09/04/12 22:44
수정 아이콘
아 그리고 핵심을 빠트렸네요 책 그대로 발췌해보겠습니다 ->②인플레 기대심리: 실업을 줄이기 위한 정부의 통화량 확대정책은 인플레를 낳고 이로 인해 인플레 기대심리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통화량 확대정책은 인플레만 초래하고 효과가 없다.
요말이 완전 모순되는 것 같아요. 통화량의 증가는 고용과 생산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해놓고 여기서는 인플레만 야기시킨다고 주장하는게 이상하네요 !
먼산바라기
09/04/12 22:51
수정 아이콘
케인지언들은 총수요확대 정책으로 공급 측면이 아닌 수요측면의 충격을 주어 불경기를 타파하려고 합니다. 그런점에서 공급은 수요를 창출한다고 주장하던 고전주의 학파를 비판한 거구요. 자유 시장주의에 대한 비판과 함께 '정부가 무엇인가를 해야 한다' 라는 주장에 근거를 만들었다고 봐도 될 것입니다.

이후 통화주의자가 등장합니다. 경제는 통화량에 따라 축소 혹은 확대된다. 라고 생각하시면 원론 수준에 딱 알맞을 것 같네요. 그리고 그에 따라 정부는 일정한 통화량 증-감소 규칙을 가지고 통화정책을 시행해야 하며 나머지는 모두 시장에 맡겨야 한다라고 생각합니다. 즉 일종의 자유주의 경제학파라고 할 수 있지요. (원론수준에서는) 정부가 자의적으로 수요 측면에 충격을 가하기 위해 집행하는 정부지출을 반대한다고 생각하셔도 무방할 것입니다.


케인지언과 통화주의자는 일부 상통하는 면이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정부의 개입에 대한 찬-반의 의견이 크게 엇갈리는 것은 잘 알 수 있겠죠^^?

또한, 인플레가 심화되면 통화량 증가를 억제해야 합니다. 인플레이션이라는 말 자체가 물가의 지나친 상승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어찌해야 할까요. 넵. 통화량이 많아지면 인플레이션이 생기는 것이므로 통화량을 줄여야 겠죠. 통화주의 학파는 정부가 수요측면의 충격을 위해 정부지출을 하는 것을 반대합니다. 그렇기에 통화량을 통제해야 한다고 보는 통화주의 학파가 인플레이션 시기에는 주목을 받는 것은 당연한 거지요.


물가와 성장의 관계는 일종의 반비례 관계가 성립한다고들 합니다. 이견도 많지만 어찌됐든 아직 주류경제학에서는 그리 얘기하구요.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 성장을 희생해서라도(고용과 생산을 감소시키더라도) 통화량 증가를 억제해야겠죠?

대충, 설명이 됐기를 바랍니다. 덧붙이자면, 래토닝님은 아직 원론 수준의 공부를 하고 계신것 같네요~ 여러 학파들간의 주장들을 약간 헷갈리고 계시는 것 같기도 하구요. 경제학을 먼저 공부한 사람으로서 조언을 한마디 드리자면, 경제학사에 대해 먼저 보시고 각 학파들의 핵심주장을 정리해두시는 게 차 후 공부를 하시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네요^^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라는 책도 괜찮구요. 경제학사에 대해 알 수 있는 책이라면 한번 훑어보시고 머릿속으로 정리해두심이 어떨까~ 합니다^^
래토닝
09/04/12 22:54
수정 아이콘
먼산바라기님// 감사합니다~ 이해가 된 것 같아요~
먼산바라기
09/04/12 22:55
수정 아이콘
통화주의 학파는 단기적으로 통화량의 증가는 고용과 생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간주합니다. 그러나 고전주의 학파의 전통인 자연실업률이 존재한다는 믿음으로 인해 장기적으로는 효과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래토닝
09/04/12 23:03
수정 아이콘
아... 장기와 단기의 차이군요~ 감사합니다.
그런데 먼산바라기님// 지금 말씀하신 장기와 단기의 개념은 경제학원론에서 말하는 장기와 단기와는 약간 개념이 약간 다른?모호한데요 . 설명좀 부탁드릴께요~
토스사랑
09/04/13 18:55
수정 아이콘
단기와 장기의 구분이 기간이 길고 짧은 것이 아닙니다.

원론수준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바로 가격이 얼마나 신축적으로 조정이 되냐 아니냐를 두고 장단기를 구분하죠.

시장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의 핵심인 가격이 경직적이면 단기라고 부르고 완전히 신축적이면 장기라고 부릅니다.

이 관점의 차이가 학파의 구분을 가져오는 핵심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3747 영어 번역좀 봐주세요 [3] TheInferno [FAS]1629 09/04/13 1629
53746 호텔 혼숙여부 질문입니다. [8] 키라야마토16780 09/04/13 16780
53744 이런자격증도 있나요?[기업관련] [5] 노스트라다무2107 09/04/13 2107
53743 중복 접속해도 사용 가능한 음악사이트 좀 알려주세요~ [2] 서명덕2107 09/04/13 2107
53742 물리 질문 드립니다. [1] 타우τ1619 09/04/13 1619
53740 영어회화책 추천 좀 바랍니다+책 질문... 비야레알2117 09/04/13 2117
53739 음반정보 사이트를 찾습니다. [4] il manifico2144 09/04/12 2144
53738 c언어 질문드립니다. [17] Magic_'Love'1787 09/04/12 1787
53737 [경제학]다시 급 밀턴 프리드먼에 대한 질문입니다~ 래토닝1583 09/04/12 1583
53736 토익 몇점정도 되어야 상위권이라고 하죠? [10] 비야레알4415 09/04/12 4415
53735 1박2일 볼 때 멀미 나는 분 계세요? [6] MoreThanAir2447 09/04/12 2447
53734 한글로 된 사진 파일이 인터넷에서 안 뜨네요~ [2] 모르니~1813 09/04/12 1813
53733 삼각함수질문좀하겠습니다.. tanx에서x 구하는법좀..ㅠㅠ [4] 불타는오징어2642 09/04/12 2642
53732 렌즈를 바꾸려고 하는데 몇가지 질문좀 하겠습니다. [1] Jess:D1742 09/04/12 1742
53731 (카오스질문)'위닝카오스' 사용 질문입니다. [4] ☆낼름낼름☆5141 09/04/12 5141
53729 프리드먼의 신화폐수량설 질문입니다. [6] 래토닝2161 09/04/12 2161
53728 수능 영어듣기 잘하는 방법 [5] 서재영2112 09/04/12 2112
53727 노트북 tv-out 질문입니다. [1] 상신유지1563 09/04/12 1563
53726 노건평 비리 & 노무현 전 대통령의 뇌물 수수 사건에 대한 질문. [5] KnightBaran.K3003 09/04/12 3003
53724 영어 학습에 대해서... [2] 순수모방1552 09/04/12 1552
53722 선형계획법(WINQSB사용) 하다가 궁금한게 있어서 글을 올립니다. [1] 콜라박지호2596 09/04/12 2596
53719 맵핵상대로 어떻게 싸우는게 좋나요? [11] 3168 09/04/12 3168
53717 data(자료),info(정보),지식의 차이를 설명해주세요, [9] Red Sniper3723 09/04/12 372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