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3/01 17:10
이익은 더 적을거 같은데요.. 금값이 올른만큼 금세공품을 비싸게 팔겠지만 그렇다고 마진율이 크게 올랐을거 같지는 않거든요..
쌀때 금 사놨다가 비쌀때 가공해서 팔 그럴정도는 안될테고 필요할때마다 사서 만들어 판다면 어차피 마진율은 거기서 거기.. 그럼 매출 자체가 줄었을테니 오히려 전체적인 이익금액은 낮아졌을거 같습니다.
09/03/01 17:12
그래서인지, 시내 금은방가도 금매입을 잘 안하더군요.
매출은 줄은대신에 매입가와 매도가의 갭이 커서, 손해는 안보겠죠. 자세한건 아랫분이...^^;;;
09/03/01 17:58
정지연님//
매입가와 매도가 사이의 갭이 최근 급격히 늘어났다는 기사가 있더군요. 따라서 당장의 마진율은 늘어났겠지만, 실제 매출이 얼마나 줄었으냐 여부와 더불어 앞으로 진행될 금 가격의 변화에 따라 금은방의 손익 결과는 달라지겠죠.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90228009009
09/03/01 20:45
금방도 좋을 게 별로 없어요. 이익금은 오히려 줄어듭니다.
금도 결국 원재료거든요. 금장사라는 것이 금으로 만든 제품을 파는 건데, 전체적으로 원재료 값이 워낙 올라 오히려 매출이 줄어들고 있는겁니다. 소매상들이 금을 손님한테 매입할 경우도, 소매상들이 손님들한테 금을 사놓아서 그걸 다시 팔아야 하는 건데 워낙 하루하루 금값이 변하니까 앞을 예측하기가 쉽지 않고, 금값이 워낙 비싸 그걸 많이 사들일 회전할 자금이 많으면 모르겠지만 그렇지못한 소매상들이 즐비합니다. 그리고 종로에 있는 상점들도 다 '소매'입니다. 도매도 많이 있지만 그곳은 다 업자들만 상대하고요 밖에서 팔고 있는 곳은 다 똑같은 소매업체들입니다.
09/03/01 23:24
팔리진 않고 사들이기만 하니 이익이 날리가 있을까요.
시간지나 금값 떨어지면, 지금 금을 비싸게 사들인건 고스란히 손해가 되겠지요. 물론 쌀때 금 왕창 사두었던 곳은 조금 팔아도 많이 벌 수도 있겠지만 일정량의 금이 회전하는 시장 성격상 그렇게 이득보는 곳은 거의 없을 것 같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