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2/12 13:25
KBr은 쌍극자물질이니까 메탄올에 더 잘녹을꺼 같네요.. 저도 기억이 가물가물-_-;;
클로로포름은 무극성물질을 녹이고 메탄올은 극성물질을 녹이는걸로 기억하는데 아랫분이 보충설명을... 인줄 알았는데 찾아보니 클로로포름이 CCL4가 아니라 CHCl3네요... -_-;; 그러면 KBr에서 Br보다 Cl이 음이온이 되려는 성향이 더 강하니까 치환반응이 일어날거 같기도 하네요.(아닌가?) 전 대학와서 화학과는 거리가 좀 멀어진 관계로 이만-_-;;;
09/02/12 13:25
메탄올이요.
KBr은 극성용매에 잘 녹는데 메탄올과 클로로포름 중에서는 메탄올이 더 극성을 띱니다. 왜 그런지는 구조식을 그려보면 쉽게 알 수 있구요. 클로로포름같은 경우 아주 약간의 극성을 띠는 정도에 지나지 않습니다. 아마 지인께서 질문한 이유는 둘 중 하나만 극성이고 다른 하나는 무극성인 보기가 아니라 둘 다 극성이라 그런 것 같군요.
09/02/12 13:30
아 그렇군요.
전 이해를 잘 못해서 HiddenBox님과 얼음날개님의 답변을 그대로 복사해서 말해주었는데 아 그렇구나라고 하는군요. 저에게는 다 외계어 같은 이야기라 ㅡ.ㅡ;;; 여러분들이 신경써주시고 도와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꾸벅
09/02/12 13:36
HiddenBox님이 언급한 치환반응은 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제가 기억하기로 치환반응도 가열과 촉매가 가해져야 겨우 이루어지는 정도거든요. 뭐 물론 화학을 마지막으로 공부한 게 02년이라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런 무책임한!!)
09/02/12 14:00
치환반응 그냥 이루어지기도 하지 않나요?
제가 배울때는 그냥 수용액에 흔들기만 해도 치환되는거도 있었던걸로 기억하는데 그게 BR이랑 CL이었는데 사염화탄소랑 브롬이랑 같이 넣고 흔들면 그냥 그것만으로 치환된다고 기억하는데..
09/02/12 18:55
Polarity index라는 걸 보면 메탄올이 5.1, 클로로포름 4.1로 메탄올이 좀더 극성입니다. 비극성인 헵탄이 0, 극성인 물이 9입니다.
따라서 KBr(이중결합에 극성쪽)은 메탄올에 조금 더 잘녹겠죠. 그렇다고 소량에 투명하게 다 녹을지는 모릅니다. 아무튼 CHCl3보다는 좀더 녹을듯...
09/02/12 19:20
Minkypapa님//
polarity index 역시 극성을 나타내는 한 지표라는 측면에서 틀린 것은 아닙니다만... 보통 solvent의 solubility와 관련해서 극성 정도는 Dielectric Constants의 값을 통해서 보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리고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은 기본적으로 속성에서 조금 차이가 있는 용매입니다. 메탄올은 protic solvent이고, 클로로포름 aprotic solvent로 조금 성격이 다른 용매이지요. (참고로 물 : 78, 메탄올 : 32.7, 클로로포름 : 4.8이고, 언급하신 헵탄이 n-hexane일 것으로 생각되는데 1.9입니다.) 클로로 포름과 메탄올은 성격도 조금 다르지만 극성 정도도 많이 차이가 납니다. 메탄올은 대단히 강한 극성 용매이고, 클로로포름은 헥산만큼은 아니지만 분명한 비극성 용매입니다. ps. 찾아보니, polarity index 값에 약간의 오류가 있는 것 아닌가 싶습니다. 제가 찾아본 바로는 메탄올의 polarity index는 6.6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