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8/08/27 20:33:44
Name 나를찾아서
Subject 편입에 관한 질문입니다...
요새 타 대학생들과 많이 이야기를 해봤는대
그럴때마다 편입을 하고 싶은 생각들이 계속 밀려옵니다..
저는 지금 지방대 국립대 2학년을 재학중입니다..
나이는 23살이고 군대는 전역했고요..
편입을해서 인서울권 대학을 들어가고 싶은게 저의 목표입니다..

제가 지금 있는과가 식품생명공학이라는 과인대 사실 제가 수능을 보고 제 점수와 차이가 나는 대학들에
원서를 넣어서 다 떨어지고 그래도 대학이라도 가야지 하면서 들어간 과입니다...
저는 원래 문과출신에 문과쪽 공부를 하고 싶었는대 저의 적성과 너무 거리가 먼 과에 들어와서 힘드내요..
원래 하고 싶었던 공부는 경영학 쪽 공부 였습니다...

그렇게 적성과 맞지 않게 학교를 들어가서 1학년때는 좀 방황을 해서
학교를 등록만하고 안갔습니다.. 1,2학기 전부요..그래서 전부 올 F가 떴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참 생각없이 행동한것 같습니다.. 그렇게 해서 1학년을 마치고 군대를 가서 전역하고
2학년 1학기로 복학했습니다..
저희과 특성상 화학이랑 물리를 잘 알아야하는대 그쪽 공부는 고등학교 수준도 되지 않습니다 -_
제 나름대로 공부 한다고 했는대 성적은 3.5밖에 맞지 못했습니다..

이렇게 생활을 해서는 안되겠다고 생각되어서 편입관련 싸이트나 친구들한테
물어봤지만 저같이 완전히 1학년을 올F 맞은 케이스는 없어서
이렇게 조언을 구합니다..

그리고 제가 내년에 호주로 최소 1년 길면 2년정도의 어학연수를 계획을 잡고 있는대
그정도 기간이면 나중에 한국와서 편입영어 준비를 하는대 지장이 없을까요??
지금 제 영어수준이 너무 처참해서요...

질문을 요약하면

1) 1학년때 올F를 맞았는대 편입을 할수 있는지??

2) 지금 영어수준은 완전히 처참한대 어학연수 최소 1년 길면 2년정도
다녀와서 편입영어 준비하는대 지장이 없는지??

3) 어학연수를 다녀오고 편입을 준비해서 바로 된다고 해도 나이가 26살인대 늦지 않았는지...
서울 상위권 대학도 아니고 중하위권 대학을 가는건대 그나이에 3학년을 다니는게 늦지 않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따끔한 충고한마디도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GutsGundam
08/08/27 20:51
수정 아이콘
편입이라.. 저한테는 오래전의 기억입니다.
간단하게 학교 성적의 비중이 낮은 학교로 도전한다면 가능합니다.
영어는 돈독 학원 소리 듣는 김영 학원에서 1년간 거기에서 하라는대로 나 죽었소~하고 공부하면 처참한 영어 실력의 사람이 시험장에서 남들이 비실거릴때 영어 문제들을 간단하게 풀어서 경쟁자들을 처참하게 만들수있습니다.
편입을 하실 생각이라면 어학연수는 뒤로 미루거나 포기하시고, 편입 전문학원에 등록해서 올인하시길 권합니다.
그리고 영어 실력은 합격후 영어 학원 열심히 다니는게 어학연수보다 더 도움됩니다.
게다가 편입 영어로 기초가 빵빵하면 아무래도 남들보다 더 빨리 올라가는게 있습니다.
축구사랑
08/08/27 21:15
수정 아이콘
편입경험자로써 말씀드리면 학원 전혀 다닐필요없습니다만 편입에 대한 구체적 개념이 적립이 안되어있다면 초반 한두달정도만 다니는것이 괜찮습니다.편입학원중 가장 큰 김x편입학원은 학원생들을 돈으로만 보죠.
본인이 집중력과 의지력이 투철하여 혼자서도 책상에서 9~10시간 공부할수 있다면 학원은 필요없고 강제적 분위기가 동반되야한다면 학원다닌것을 추천합니다.
그리고 인서울권 소위 명문 편입의 꽃인 고려대나 서강 성균 한양대 정도가 목표가 아닌이상은 편입할 필요는 그다지 크지 않다고 생각됩니다만 제가 말한 저 대학교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죽을 각오로 하셔야 합니다.
축구사랑
08/08/27 21:20
수정 아이콘
편입이라는게 과에서 발생한 결원을 뽑는지라 그 인원이 많아야 10명이 되지않을뿐더러 경쟁률은 기본 경영학의 경우 60:1은 넘죠...

질문에 답변을 드리자면
1) 올f를 맞은게 중요한게 아니라 2학년을 이수한자만이 편입자격이 주어집니다. 본인의 학교에서 2학년이수 기준학점이 있을텐데 통상 70학점 정도일것입니다. 편입지원시 2학년이수자에 70학점정도 이수했다면 거의 모든대학에 지원가능할수있을겁니다. 올f라면 남은 1년 계절학기등으로 학점을 채워야겠군요
2)어학연수와 편입은 별개의 문제라고 생각하지만 편입문법은 워낙에 지저분하기에 외국인이 풀어도 만점이 안나올정도로 극악난이도입니다.물론 전혀도움이 안된다고는 할수 없지만 편입이 목표인데 어학연수를 간다는건 앞뒤가 맞지않고요 편입후 어학연수를 가는게 정상이라고 생각되는군요.편입영어는 실질적으로 전혀 도움이 되지않는 영어라고 보시면 됩니다.
3)제가 편입학원 다닐떄 남자 25세정도면 평균이었고요 물론 병역의무를 마친사람이죠 저보다 나이많으신분들도 수두룩하게 보았습니다
대충 25,26세정도가 남자주류이죠. 문제는 나이가 아니라 본인이 뜻이 있다면 뭐든 못하겠습니까 3,40대 아저씨분들도 계신데요...
WizardMo진종
08/08/28 00:00
수정 아이콘
1) 됩니다. 성적을 어떻게 반영하는지에 따라 다르지만 영어 문제 3문제 안쪽차이 밖에 안날겁니다.
2) 어학연수 2년보다 학원올인해서 6개월이 낫습니다. 시험성적에는요
3) 늦었다면 늦은거고 아닌거면 아닌겁니다. 님의 판단이나 생각. 진로방향에 따라 다릅니다.
나를찾아서
08/08/28 00:23
수정 아이콘
답변 주신분들 감사드립니다..
편입에 대해서 좋은 정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제 중요한거 저의 마음가짐이겠죠...
윤열이는요
08/08/28 18:49
수정 아이콘
1) 1학년때 올F를 맞았는대 편입을 할수 있는지??
됩니다. 문제는 학점이 아니라 이수학점이죠. 보통 70학점이면 문제없습니다. 영어문제 1,2문제면 커버 합니다.

2) 지금 영어수준은 완전히 처참한대 어학연수 최소 1년 길면 2년정도
다녀와서 편입영어 준비하는대 지장이 없는지??

어학연수라...가본적은 없지만 별로 안좋게 보는 입장이라서. 2년 연수 갈바에는 2년 국내에서 돈아끼면서 열심히 영어공부
하는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어학연수로 카바되는게 아닙니다. 편입영어가. 정말 문제가 지독합니다.
편입영어 공부 열심히 하면 어학연수 간것보다 훨씬 효과 좋습니다. 영어가 편입영어 생활영어 따로 있는게 아닙니다.
전부 영어입니다. 편입영어시험이(상위권대 학에서는) 아마 국내 영어 시험중에는 제일 어려울겁니다. 열심히 하면 다른
토익 토플시험에 엄청 도움많이 됩니다. 토익같은 경우는 발로 풀어도 될정도...

3) 어학연수를 다녀오고 편입을 준비해서 바로 된다고 해도 나이가 26살인대 늦지 않았는지...
서울 상위권 대학도 아니고 중하위권 대학을 가는건대 그나이에 3학년을 다니는게 늦지 않았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지금 26이네요. 올해 편입했습니다. 이번에 편입한 동기들 보면(저희과가 사람이 많은편이라서 편입생도 많이 뽑습니다)
26이면 딱 중간입니다. 재수 안하고 군대 갖다와서 편입하면 딱 제나이고 칼복학한 사람이면 1살적고 뭐 그렇습니다.
참고만 하세요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1388 바퀴 바퀴 바퀴벌레;;고생하시는 분들 계시나요.. [2] Lyn1878 08/08/28 1878
41387 신검 관련질문이요.. [10] non-frics1615 08/08/28 1615
41386 음감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1] Dizzy3253 08/08/28 3253
41385 PMP를 사려고 하는데...TV-out 해상도 질문입니다. [3] 별이될래1875 08/08/28 1875
41384 뉴질랜드 및 호주 비자관련 질문요~ [1] HitheRoad1937 08/08/28 1937
41383 야구 질문입니다. [14] 낭만토스2193 08/08/28 2193
41382 향수 어디서 사시나요? [8] 삭제됨2399 08/08/28 2399
41381 디카를 사려고하는데.., [1] Medici1888 08/08/28 1888
41380 멀티 수비하는데 아비터 캐리어 중 어느 쪽이 수비가 더 수월한가요? [8] Epicurean2172 08/08/28 2172
41379 들을만한 애니음악 추천해주세요. [12] 나코루루2161 08/08/28 2161
41378 윈도우 비스타 질문입니다. [2] evergreen1632 08/08/28 1632
41377 이명박 대통령의 지지율에 대해 궁금합니다. [8] 하만1932 08/08/28 1932
41376 스타 관련 # 개발하고 있는 빌드의 보충점 [3] 0ct0pu52139 08/08/28 2139
41374 MLB 선발진 질문&불펜 질문 [4] 비야레알2128 08/08/27 2128
41373 이어폰 추천해주세요. [7] 베베베1959 08/08/27 1959
41372 즐라탄에 대해.. [4] 비야레알2253 08/08/27 2253
41371 포모스만 드러가면 바이러스가 걸립니다-_-; [3] L.H.k2312 08/08/27 2312
41370 드라마 어떻게 보세요?? [8] worcs2000 08/08/27 2000
41369 PMP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2] Jess:D1575 08/08/27 1575
41367 배틀넷에서 방을 만들어도 타인이 들어올수 없을떄 [1] 축구사랑1858 08/08/27 1858
41366 dvd 구울 때 필요한 프로그램? [1] yjy1702 08/08/27 1702
41365 편입에 관한 질문입니다... [6] 나를찾아서2250 08/08/27 2250
41364 컴퓨터 관련 질문입니다만... 터프이너프@1393 08/08/27 139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