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6/17 13:26
리눅스 체제에서는 스타가 안돌아 가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에뮬레이팅을 통하면 될지도 모르지만, 리눅스는 일단 윈도우와 시스템 기반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게임을 하는데 있어서는 리눅스용으로 나온 극소수의 게임을 제외 하고는 구동 불가로 알고 있습니다. 스타는 맥과 윈도우는 지원하지만 리눅스를 지원해주지 않습니다. 우분투의 경우는 PS3에 많이 설치하는 리눅스이기 때문에 네이버에서 검색하면 한글 설정법이 몇개 있을 것입니다. 일반 적으로 리눅스를 한국어 체제로 개발하지 않기 때문에 2벌식 구조를 가진 한글이 많은 리눅스에서 불편을 겪죠. 1 시스템 > 관리 > 언어 2 시스템 > 기본설정 > SCIM 입력기 설정 목록에 'Hangul'만 남도록 지우기 단추를 통해 지워준 후 '확인' 3.시스템 > 기본설정 > 키보드 우분투 root 로그인 초기 시스템 관리자로 root 계정은 만들어져 있으나 패스워드 설정은 되어 있지 않다. 1. 터미널에서 'sudo passwd root'입력 2. 패스워드 물으면 제 계정 암호(처음에 만들때 썼던거)입력 3. 새로운 패스워드를 입력 4. su root로 루트권한을 얻음. 5.시스템-관리-로그인창-보안에서 로컬 시스템 관리자 로그인 허용에 V 표시를 한다. 6. root 로그인할 때 언어 설정도 한글로 바꾼다. 7.터미널 창에서 root 계정 켜기 sudo -s profile ... LANG=C LANGUAGE=C ... 위 두줄을 삭제하거나 아래처럼 리마크(#) 처리한다. ... # LANG=C # LANGUAGE=C ...
08/06/17 13:29
서버 구축하거나 그래픽 혹은 전문 작업을 하시지 않을거라면, 지우고 윈도우 다시 설치하세요.
그게 속이 편합니다. 요즘 리눅스는 GUI를 지원해주지만 그래도 원래 TXET 기반인 운영체제이기 때문에 터미널에서 프로프트 명령을 익숙하게 다루지 못하면 힘든게 리눅스 입니다.
08/06/17 15:31
우분투 버전을 어떤 것으로 까셨는지 모르겠지만, 네트워크가 제대로 설정된 채로 설치하고 키보드를 korea, republic of를 선택하면 한글 입력도 윈도우즈처럼 되지 않나요?
그리고 스타 크래프트의 경우 이미 몇 년 전부터 wine으로 배틀넷이 된다는 얘기를 본 적이 있습니다. VMware나 wine을 쓰면 될 듯 하네요. 편의성은 용도에 따라 다르겠지요. text 기반 운영체제이기 때문에 프로그램 자체를 모듈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입력에 관한 다양한 자동완성이나 히스토리 기능 같은 것도 지원되기 때문에 편리한 점이 있구요. 컴퓨터 전공인 경우에 인터널을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되기 때문에 설치해서 사용하는 게 의미 있다고 생각되네요.
08/06/17 21:07
차라리 지우고 윈도우 다시 까시고 (우분투 까실 파티션 용량은 남기신 후에) 우분투를 깔아주세요. 알아서 GRUB으로 듀얼부트 잡아줍니다. 제가 지금 그렇게 쓰고 있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