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8/06/14 09:58:08
Name 오뱅
Subject 물의 자연증발에 대해 알려주세요~
변명이라면 변명일 수도 있겠지만
문과 - 경영대 라인인지라
과학쪽으론 초등학생정도의 수준도 될까 모르겠어요

최근에 그냥 궁금해진게..
물은 100도씨에서 끓잖아요
그럼 빨래가 마를때와 같은 자연증발은 어떤 원리인거에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6/14 10:06
수정 아이콘
실제로 물은 어떤 온도 상태에서라도 분자들이 기체수준과 액체 수준을 왔다리 갔다리 합니다. 다만 그 정도가 얼마나 되는가에 따라서 기체 상태인지 액체 상태인지 고체 상태인지가 결정되는 것이죠.

우리 눈에 상온에서 물컵에 있는 물이 남아 있는 것은 공기 중의 물 분자의 증기압과 액체 상태의 물의 증기압이 서로 같아서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일종의 동적 균형 상태입니다. 말하자면 물컵에서 기체로 빠져나가는 물 분자의 개수와 기체 상태로 공기 중에 있던 수증기가 액체 상태로 액화되는 물 분자 개수가 서로 같은 수준에서 움직임이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물 분자가 무수히 왔다리 갔다리 하면서 균형을 맞추고 있는 것입니다.

건조한 날 빨래가 잘 마르거나 물컵의 물이 증발하는 것은 공기 중의 물의 증기압이 낮으므로 동적 평형을 맞추기 위해 공기 중 물의 증기압이 높아져야 하므로 액체 상태의 물이 더 많이 기체로 올라가는 것입니다(증기압 힘 싸움에서 액체 상태가 이긴거죠^^;). 물이 끓지 않는다 하더라도 증발이 이루어지는 이유는 이와 같은 증기압의 동적 균형(dynamic equilibrium)의 개념으로 이해하셔야 합니다. 반대로 습한 날 빨래가 안마르는 이유도 기체 상태의 물분자 증기압이 높아서 액체 상태의 물분자가 기체로 잘 올라가지 못하는 것이지요. 비슷한 이유로 물을 끓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온도를 높이는 것 뿐 아니라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러면 기체의 증기압이 낮아질테니 액체 상태의 물분자가 더욱 더 바깥으로 많이 튀어오르겠죠?

저도 일반화학만 들은 수준이라서 이해가 되셨는가 모르겠네요..^^; 쉽게 이해하자면 공기와 액체 물의 압력을 둘러싼 줄다리기나 힘싸움으로 생각하시면 편할거 같습니다. Oxtoby의 Principles of Modern Chemistry의 Ch.4 부분인가 참고해보세요~(Ch.5인지 4인지 헷갈리네요.. 증기압 찾아보시면 됩니다 번역본도 있습니다~)
大司諫
08/06/14 10:18
수정 아이콘
이런 Q&A 정말 좋습니다. ^_^
survivor
08/06/14 10:34
수정 아이콘
중학교 1~2학년 수준으로 쉽게 말하자면
자연증발 - 조금씩조금씩 물분자가 공기중으로 날아감. 원리는 위에 댓글과 같음.
100도씨에서 끓음 - 물분자에게 열을 가함. 물분자들이 열(에너지)받아서 더 활발하게 움직임. 더 활발하게 움직이니 공기중으로 날아가는 물분자 증가. 자연증발보다 빨리 물이 없어짐.

일반화학책도 아주 좋은 책이지만 고등학교 과정 지식이 없으면 어려운경우도 많으니 서점가셔서
중학교 1학년 물질의 상태변화
중학교 2학년 물질
중학교 3학년 물의순환과 일기변화
관련 단원 참고서 보면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08/06/14 13:30
수정 아이콘
와~ 이렇게 자세하게 설명해주시다니 ㅠ.ㅠ 감동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8141 Game BBS에 FM얘기 올려도 되나요? [2] 본좌유키2104 08/06/14 2104
38140 스타크래프트 2에서도 여전히 우리 나라가 최강국일까요? [6] 랩교2188 08/06/14 2188
38139 필리핀 여행 신난다니깐2094 08/06/14 2094
38138 이 노래 아시는 분 있나요? (한국인디계열) [4] Nujabes1839 08/06/14 1839
38137 장례식장 복장 [2] Galatico_3235 08/06/14 3235
38136 물의 자연증발에 대해 알려주세요~ [4] 오뱅4717 08/06/14 4717
38135 예전에 pgr에 올라왔던 검색어 입력만 가능한 네이버 사이트를 찾습니다. [2] 행복하게살자2096 08/06/14 2096
38134 탈모관련질문 드립니다. [4] 컨트롤황제2446 08/06/14 2446
38133 2008년 세계 국제사건엔 무엇이 있을까요.? [6] 밀가리2071 08/06/14 2071
38132 간단한 한 문장 번역 질문입니다..(내 진심을 알아주세요) [1] 문근영2373 08/06/14 2373
38131 싸이월드 클럽or내 미니홈피에 태그 안되나요? [1] lxl기파랑lxl2080 08/06/14 2080
38130 한국 정치사 관련 질문입니다. [5] GoGoSing2182 08/06/14 2182
38129 유로 2008 주장 완장에도 스폰서가 있나요?? [1] 정태영2142 08/06/14 2142
38128 아버지께서 사무실 컴퓨터를 맞춰달라고 하셨습니다 [2] AttackDDang1848 08/06/14 1848
38127 스쿠터를 사려고하는데요.. [1] Xavi1926 08/06/14 1926
38126 프로토스의 더블넥을 가장 효과적으로 응징할수 있는 테란의 전략은?(파이썬 기준) [8] 애플보요2112 08/06/14 2112
38125 익스플로러 실행시 뜨는 플러스바에 대한 질문입니다. 진리탐구자1879 08/06/14 1879
38124 삼국지를 서양사람들도 많이 읽나요? [4] 은성이2064 08/06/13 2064
38122 반명함 사진 많이 주는 사진관이 있나요? [4] 마음속의빛2617 08/06/13 2617
38121 미국에서 1년간 있으려고 하는데요. [2] 파란샤프1905 08/06/13 1905
38120 노트북 하나 사려고 하는데 도와주세요~ [6] 박서의콧털1724 08/06/13 1724
38119 삼국지10 질문입니다. [4] worcs2268 08/06/13 2268
38117 HOMM3에 대하여 질문 드릴께요.. [7] 나를찾아서3860 08/06/13 386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