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6/05 21:31
그러니까 그냥 풀이만 읽고 선지 하나하나에 대입하는 건 웬지 무의미해보이고
-> 최고 의미 있는 것입니다. 예를들어서, "첫행과 끝행에 유사한 형식을 사용해서 정서를 심화했다."와 같은 내용이 나오면, 이게 수미상관이다라는걸 느끼시면 됩니다. 위의 예는 엄청 쉽지만, 세세히 하나하나 따져보면 정말 놀랍고 신비한것들이 많습니다. 이렇게 선지 하나하나의 의미를 깨달아가는걸 기출문제 분석이라고 합니다. 이게 필요한 이유는 수능은 반복되기 때문입니다. 비슷한 선지가 끊임없이요. 그리고 이건 과학탐구는 제가 잘 모르겠지만, 사회탐구에서 엄!!청!! 중요합니다. 그 선지 하나하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3초내에 아실 정도의 내공이 되시면, 금방 성적 상승.. 그리고 문학선생님이 하신 말씀이 어느정도 일리는 있네요. 18종 자습서 시문학정도는 해두시는게 좋을겁니다. 보통은 18종에서 시 2지문, 모르는 시 1지문 해서 나오거든요.
08/06/05 22:19
뭐랄까;;; 언어영역의 출제 방향이란게 있습니다. 문제한문제 한문제를 보고서 '이걸 왜이렇게 냈을까.. 왜 이문제를 냈을까.. 왜 이걸 답이되게 냈을까.. 왜 난 오답을 골랐을까..' 이걸 완벽하게 정확하게 유추해냅니다. 언어시험은 논리력 시험입니다. 그나마 자신있던게 언어라 이렇게 리플을 남깁니다.. 기출 10년치 모의고사만 그렇게 완벽하게 분석해보세요. 문제보는 눈이 바뀔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