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8/05/23 14:57:59
Name 김일영
Subject 삼성이 망하면 나라가 망한다??

삼성 특검때 삼성 부패 옹호론(??)을 펴시는 분들께서 가장 즐겨쓰는 논리가
'삼성이 망하면 나라가 망한다. 나라 경제를 책임지는 기업이니 그정도는 용인해줘야 한다.'는 건데요..

대한민국이라는 나라가 정말 삼성이란 기업 하나 망한다고 심대한 타격을 입을만큼의 경제밖에 안되나요?
삼성 그동안 많이 큰 건 인정합니다만 그래도 한 기업이 나라를 좌지우지하는건 경우가 아니라고 보는데..

정말 삼성이 망하면 대한민국이 망하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Zakk Wylde
08/05/23 15:05
수정 아이콘
삼성이 망하면 나라가 망한다 한들 부패 옹호론자들 보면 답이 안나오죠.
이 나라가 3~40년 지속되고 말 나라라면 모르겠지만.

정말 돌아가더라도 거꾸로 가는짓만 안 했으면 좋겠스니다.

삼성이 망하면 국가적으로 타격은 대단할테지만 극복을 못할 정도는 아닐거 같은데
Withinae
08/05/23 15:14
수정 아이콘
대우망할때도 그랬죠. 대우망하면 나라 망한다고, 망했나요?
삼성이 대우보다 크긴 하지만, 대우도 한때 국내 3대그룹이었으니 뭐...
일개 기업때문에 망할 나라면 빨리 정리하고 체질개선해서 다시 뛰는게 좋습니다.
부패 옹호론자들 보면 머리에 구멍이 난게, 삼성이 하면 어디까지 용서해 줘야 한답니까?
이미 기업이 저지를 수 있는 범죄는 다 해봤죠.
대체 회장이 자기 재산의 두배나 되는 비자금을 차명으로 숨겨놓고 이를 다시 용인해주는 나라인데,
세계의 선진기업들이 이런 회사를 글로벌리더라고 칭송할거 같습니까?
slowtime
08/05/23 15:16
수정 아이콘
저는 그보다 '회장님이 구속되면 삼성이 망한다'는 주장이 더 이해가 안갔습니다. 대기업 경영은 그런 건가봐요.
08/05/23 15:31
수정 아이콘
삼성이 전부 망하면 나라가 망하는것은 맞습니다.
다만 이건희가 망한다고 삼성이 망하는 것은 아니죠.
특검은 이건희의 비리를 파해치려 했던것인데. 그것조차 모르고 삼성 옹호하는 병진들이 있는것이죠.

실제로 이건희 회장의 비리가 어느정도 드러났고.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게 되었죠.
그래서 뭐 바뀐것 있습니까? 삼성이 망한답니까? 아니죠. 지금 삼성전자는 사상최고의 주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건희 없어도 된다는거죠.
08/05/23 15:41
수정 아이콘
삼성이 전부 망하면 나라가 망하는것은 맞습니다.
다만 이건희가 망한다고 삼성이 망하는 것은 아니죠. (2)

동감입니다.
질문자께서 들으신 말씀은 두 가지 명제를 교묘하게 섞어 놓은 것이죠. 두 명제는 별개입니다.
삼성의 시스템은 기업 총수가 많은 것을 결정하는 시스템이 아닙니다. 나름대로 인재 풀도 넓고 이회장 일가 없이도 잘 돌아갈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이회장 일가가 다 퇴출되어도 무너지지 않습니다.
08/05/23 15:44
수정 아이콘
그렇죠 두명제는 별개입니다.

삼성이 대우랑 비교자체가 불가능한 기업이죠 그때보다 자금력 해외에서 입김정도나. 파급력이라고 할까요.
확실히 삼성이 망하면 나라가 망하는건 맞습니다
정태영
08/05/23 16:23
수정 아이콘
두 명제 모두 별개이지만 두 명제 모두 답은 NO입니다.
삼성이 전부 망해도 나라는 망하지 않고,
이건희가 망해도 삼성은 망하지 않습니다.
삼성이라는 기업이 초국적 기업을 넘어서서 국가를 지배하려고 발악을 하고 있지만
(초국적 기업과 국가를 지배하는 기업은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국가는 망하지 않습니다.
단기적으로 (여기 단기란 1,2년이 아닌 10~20년 이겠죠)는 새롭게 개편되어야하는 대내외 구조 때문에 힘들겠지만
장기적인 측면에선 결국 삼성과 같은 기업이 다시 생기고 (아마도 현대나 LG가 몸집을 더욱 불리겠죠)
다시 도돌이표가 됩니다.
아주 단순하게 정리하면 됩니다.
삼성이 망하면 삼성 말고 다른 기업의 제품을 사면 됩니다. 해외 기업들이 우후죽순 국내로 들어올 겁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삼성의 해체로 국가 위험도를 높이 책정하면 다른 기업들이 더 잘하면 되는 겁니다.
다만 그게 생각처럼 순조롭게 되느냐의 문제와, 지하 경제-정치권에 대한 긴밀한 관계들을 다른 기업이 대체할 수 있느냐 입니다.
MS가 망해도 미국은 망하지 않고, 도요타가 망해도 일본은 망하지 않습니다.
생각의 차이죠 모든 것이.
Withinae
08/05/23 16:47
수정 아이콘
각종 언론에서 계속 떠들어댄 효과가 있었군요.
대체 삼성망하면 한국망한다는 명제가 어디서 오는 겁니까?

아니 우선 삼성망한다는 개념부터 정리를 해야 겠군요.
삼성이 망한다.->삼성전자가 망한다. 인가요?
아니면 삼성그룹 모든 회사가 다 부도가 난다 인가요?

현대그룹과 대우그룹이 망했다고 속칭 이야기 하지만, 현대와 대우라는 이름을 단 회사들이
아직도 버젖이 살아있으므로 그룹이 망한다고 그 많은 관계사 계열사가 한순간 없어지는
현상은 일어나지 않겠죠. 현대그룹의 모체인 현대건설도 부도가 나긴 했지만 이제 완연히 회복해
건설업계 수위를 다투고 있고, 대우그룹의 핵심인 대우자동차는 외국자본이 들어와 있고,
대우중공업(조선해양,종합기계) , 대우건설도 어려움을 겪었지만 아직 멀쩡히 살아있습니다.

대우를 아주 듣보잡으로 아시는 데요. 삼성이 대한민국 최고의 기업이 된것이 아주 오랜세월 전처럼 생각됩니다만,
1970년대 후반 이후 한국 재계의 탑은 현대그룹이었습니다. 그 다음이 삼성이었고요. 대우는 재계순위 3위로 한,두해정도
삼성을 제치고 2위를 한 기억이 있지만 대부분 3위로 LG나 SK가 그 뒤를 잇고 있었습니다. 특히 대우는
해외시장 개척에서는 독보적인 실적을 내고 있었고 동유럽국가에도 많은 현지 투자를 하고 있었습니다.
현대그룹이 쪼개지고(설사 현대차 그룹을 따로 떼어 생각한다고 해도) 대우그룹도 공중분해 상태가 되어
후퇴했지만 현대, 대우의 사태에도 한국이 망하지는 않았습니다.

물론 삼성의 위상이 IMF이후로 떠올라서 한국경제에서 삼성이 차지하는 비중이 놀라보게 커졌습니다.
기업을 평가하는 잣대가 여러가지여서 (자산, 매출, 이익등) 딱히 비중을 측정하기 힘들기는 하지만
어떤 경제지에 의하면 GDP에서 매출은 152조로 20%, 수출 663억달러 20%,(2006년) 시가총액 150조 15%(2007)
입니다. 대단하죠. 여기서 삼성전자만이 아니고 그룹 전체 입니다. 대충 언론에서 삼성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다가 여기서 나오는 것입니다. 자 삼성 망하면 이게 다 없어집니까? 백지처럼....
현대나 대우의 사례를 봐도 그런것은 아니죠. 물론 외국에 넘어가는 회사도 있고 법정관리 하는 회사도 있겠죠....
우리가 좋아하는 프로리그로 봅시다. 출전이나 승률에서 20%가 넘어가는 에이스 타팀으로 이적하면 그 팀 망합니까?
물론 타격이 크죠. 그렇지만 다른 에이스들도 키워야 팀의 전체 승률이 올라가지요.

삼성이 한국 최고의 에이스인건 확실합니다. 그렇지만 우리는 훌륭한 다른 회사들도 가지고 있습니다.
LG그룹, 현대차그룹, 현대중공업등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한국대표 기업입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 봅시다. 한국이 세계에서 차지하는 교역규모나 경제 규모가 10~12 정도 됩니다.
삼성이 세계 10위권 회사가 아닙니다. 이 회사 망하면 한국이 망하는게 이해가 되십니까?
08/05/23 17:31
수정 아이콘
정태영님// Withinae님//
위에서 [삼성이 망한다]의 정의는 [삼성그룹 모든 회사가 다 파산한다]이고, [나라가 망한다]는 것은 [나라의 경제가 거의 망했다고 칭해질 만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것입니다. 저런 이야기를 하면서 [국가가 존속하지 않는다]라는 뜻으로 쓰는 사람은 별로 없으니까요.
이 정도 되려면 경제 전체가 박살날 정도이기 때문에, 삼성이 전부 망하면 국가경제 전체도 망했다고 할 만한 정도에 이를 수밖에 없습니다.
(국가의 존속 여부를 말하는 것이라면 당연히 국가는 존속합니다. 국가경제가 어려울 뿐이지요.)

말씀하신 것처럼 대우도 현대도 망한 것이 아니지요. 개별 기업은 합병되거나 인수되어 대부분 살아 있습니다. 이런 경우를 상정하여 [삼성이 망하면]이라고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Withinae
08/05/23 17:42
수정 아이콘
은별님// 삼성그룹이 다 망한다는 가능하지 않은 전제입니다. 몇 몇 개열사가 어려워 질수는 있어도 각각의 독립법인인
삼성그룹사들이 망하는 사태는 대한민국(국가 모라토리움 사태가 온다해도)이 망해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삼성이 망하면 안된다는 이야기를 경제지등에서 쓸 때는 주력사를 대표로 하는 것입니다. 현대, 대우의 경우처럼
그룹이 해체되고 주력계열사가 부도가 나는 사태가 올뿐입니다. 물론 현재 이회장을 사법처리해도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윗글에서 이야기 했지만 정리했지만 삼성그룹 계열사가 모두 백지처럼 사라지는 일은 일어날 수 없으며, 설사 그렇다 해도
한국 경제의 어려움이 온다는 사실이지, 한국경제가 망하지는 않습니다. 설사 삼성이 사라진다고 해도 현대, 대우가 해체되고
IMF가 도래한 그 당시의 상황에 비하지 않습니다.

덧붙여 '나라가 망한다'를 '나라의 경제가 거의 망했다고 칭해질 수준에 수준에 이르렀다라고 하셨는데,
삼성이 사라지면 그리 되겠습니까? 경제가 거의 망했다는 수준?
그런데 '삼성이 망한다'는 또 '그룹 모든 회사가 파산한다'라고 칭하셨는데 망했다가 국가와 기업에 다르게 적용되는 군요.
Withinae
08/05/23 17:45
수정 아이콘
제가 위에서도 지적했지만 한국의 경제규모에서 삼성이 최고의 에이스이고 엄청난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20%의 비중이 경제를 망하게 하지는 않습니다......흐흐 점점 퇴근시간은 다가오네요...
08/05/23 17:46
수정 아이콘
Withinae님//
회사야 얼마든지 도산할 수 있지만, 국민, 주권, 영토가 있는 한 나라야 당연히 사라질 리 없죠. 그러니 개념이 다르게 적용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애당초 해석의 여지도 없는 것이지요.

그런데, 지금 결국 저랑 같은 말씀 하고 계신 것 아닌가요? ^^
Withinae
08/05/23 17:53
수정 아이콘
은별님// 그렇군요. 다르게 적용할수 있겠습니다.

아닙니다. 저는 삼성이 망해도 한국경제가 망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으니까요.....그건 언론이 만들어낸 환상일 뿐입니다.

말씀드렸듯이 삼성의 자리 20%가 그대로 사라지는 경우는 없기 때문입니다.
백번 양보해 삼성의 모든 계열사가 순식간에 백지가 되는 경우가 있다고 하더라도 다른 기업들이 그 자리를 채웁니다.
물론 다 채우진 못하죠. 국내 내수에 관여하고 있는 삼성의 포지션은 거의 확보합니다. 삼성대신 LG전자의 시장점유율이 올라가고
삼성생명대신 교보생명이 삼성중공업대신 현대, 대우등이 자리를 차지합니다. 타격은 수출에 있는 데요 반도체 시장의 경우
일본업체와 하이닉스가 나누어 먹을 것입니다. 핸드폰은 모토로라와 LG, 가전은 GE와 LG 정도...예를 든 것 뿐입니다.
실제 경제에 차지하는 어느 만큼의 비중이 사라질것이라 보십니까?

IMF당시 우리 주가는 반에 반으로 떨어졌고 GDP도 바닥을 기었습니다. 그 정도는 안되지요.....우린 IMF를 극복한 위대한?
민족이란 말입니다................이런 퇴근해야 하는데 부장님이...
08/05/23 18:05
수정 아이콘
Withinae님//
물론, 삼성이 망할 가능성이 0%에 가깝고, 언론이 만들어낸 환상이라는 점에 동감합니다.

삼성이 차지하는 20%의 포션이 사라져도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망할 지경에 이르지는 않는 것은, 말씀하신 바대로 나머지 업체들이 인수-합병 등으로 그 자리를 채우기 때문이지(인수-합병 없이 그냥 점유율을 올리는 것은, 생산라인 증설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생산량의 한계에 직면하고, 신 라인을 증설하는 것보다는 기존 라인을 인수하는 것이 싸게 먹히기 때문에 점유율상승을 포기하지 않는 한 인수-합병은 이루어집니다), 그렇지 않고 공장 스톱되어 버리는 식으로 백지로 변하면 그 문제가 20%에 국한되지 않겠지요. IMF 당시에도 방아쇠는 몇 개 안 됐습니다. 그 방아쇠와 거래한 업체들이 흑자 상태에서 연쇄부도가 났으니까요.
(물론 어떻게든 인수-합병이 이루어질 것이기 때문에 이것도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보는 점에도 동감합니다. 웬만큼 큰 업체는 누구라도 살려 놓게 마련이니까요.)

그래서 위에서 같은 말씀 아니냐고 말씀드린 것입니다.
위 명제는 '삼성이 망하면'이라는 조건과 '나라가 망한다'는 결론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저는 위 조건의 성립가능성은 별론으로 하고 일단 조건 부분이 성립하였음을 전제로 [삼성이 망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위 명제를 해석한 것 뿐이고, Withinae님께서는 [삼성이 망할 가능성]까지 포함하여 '삼성이 망할 리가 없으니' 위 명제는 조건 부분부터 성립하지 않으므로 결과를 논할 필요가 없다고 말씀하시고 계신 것이니까요.
08/05/23 18:06
수정 아이콘
일단 삼성이 망하면 은행이 도산합니다.
은행이 도산하면 공황이 옵니다.
이 공황은 IMF 이상의 공황이 되겠죠.

저도 삼성이 망하면 나라가 망할만큼 엄청난 타격을 입을거라고 생각하지만,
이건희 일가가 망하면 오히려 삼성은 더 성장할겁니다.
부패와 타락이 없는 기업은 성장할 수 밖에 없으니까요.
Withinae
08/05/23 18:24
수정 아이콘
起秀님// 삼성이 망한다고 은행이 바로 도산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은행이 도산해도 공황이 오지는 않습니다. 많은 은행들이 경영상의 실수와 환란을 거치며 다른 은행들에
흡수되고 간판을 내렸습니다. 지급불능상태에 빠졌던 은행도 있었고 국가의 보조로 목숨을 연명한 은행도 있습니다.
그 것때문에 IMF와 공항이 온게 아닙니다. IMF와 공항때문에 은행에 문제가 생겼지...
그리고, 삼성을 IMF사태와 비교하시다니, 환란으로 속칭되는 IMF사태는 삼성이 몇개 쓰러져도 오기 힘든 일입니다.

결정적으로 우리가 논하는 것은 (IF)만약이기 때문이 결론이 나는 것이 아닙니다. 그냥 서로 의견교환을 한 것으로 만족해야
할것 같습니다. 누가 옳고 그른게 아니죠..말 그대로 가정인데...

마지막으로 제가 삼성까 같은데 아닙니다. 저는 삼성좋아합니다. 무척...
소위 경제와 금융이란것을 저에게 가르쳐 줬거든요.
Withinae
08/05/23 18:24
수정 아이콘
그리고 이제 퇴근하겠습니다. 빨리 가서 스타리그 봐야지요......다들 좋은 주말 보내십시요.
장군보살
08/05/23 19:01
수정 아이콘
인터넷에서 삼성 망하면 나라가 망한다는 여론을 이끌어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바로 김용철 변호사님이 지적하신 '삼성 댓글 정규직'팀이 아닐런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7240 드래곤볼 애니 질문좀 할게요~ [6] 언젠가는..2163 08/05/23 2163
37239 머지소트, 바이너리서치, C언어 잘 아시는분 계신가요... [6] 루시리스2554 08/05/23 2554
37238 영화 철권은 뭐 어떻게 되고 있나요? [1] 포셀라나1917 08/05/23 1917
37237 어학연수 관련된 질문입니다. [1] 창천1517 08/05/23 1517
37236 드래곤볼 관련한 질문입니다 ^^ [12] 어...1761 08/05/23 1761
37235 군대 조교는 일병부터 달고 시작하지 않나요? [15] 타나토노트4040 08/05/23 4040
37234 강남역부근 술집 급추천 좀 해주세요 [2] 야메쌍꺼풀2198 08/05/23 2198
37233 여자친구와 해외여행지 좀 추천해주세요~ [13] Polaris_NEO2163 08/05/23 2163
37232 선풍기의 잘못된 사용과 질식사의 관계를 좀 자세히 알고싶습니다. [10] 악학궤범a2155 08/05/23 2155
37231 삼성이 망하면 나라가 망한다?? [18] 김일영2497 08/05/23 2497
37229 오라클 관련 질문입니다 [1] 남자의로망은1841 08/05/23 1841
37228 뮤직비디오관련 질문입니다 Lunatic Love1538 08/05/23 1538
37227 두 단어의 품사에 관한 질문입니다 ~ '0'* [2] 사랑님2078 08/05/23 2078
37226 회사에서 시간 보낼만한거 질문입니다. [15] 낭만한량2215 08/05/23 2215
37225 갑자기 궁금한 질문 [3] 헤르젠1534 08/05/23 1534
37223 외장형 하드 문제입니다. [11] 유키노처럼2129 08/05/23 2129
37222 스타방송을 1~2년동안 안봤습니다. [16] 카시야신1901 08/05/23 1901
37221 KTF BIgi 프리미어리그는 다시보기 없나요?? [1] SouL_ER1870 08/05/23 1870
37220 동영상 음악질문입니다(워3) [2] Brave질럿1912 08/05/23 1912
37219 이런 질문하긴 송구스럽지만 ㅠㅠ;; [4] GoThree2249 08/05/23 2249
37218 건강관련질문입니다 [6] Brave질럿1613 08/05/23 1613
37217 디시 접속이 안됩니다. 도와주세요. [1] Villa Park2071 08/05/23 2071
37216 군입대질문입니다 [6] Brave질럿1876 08/05/23 187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