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12/01 00:28
이번에 프로듀서가 돈받고 일부러 간접광고 내주다가 딱걸렸죠...
어느 드라마에서 나오는 대학교 잘 좀 찍어달라고 1억가까이 받았다가..
06/12/01 00:38
요새는 간접마케팅으로 공식후원 받는 경우도 많죠. 주로 영화에서요.
하지만 공중파 방송에서는 간접 마케팅이 의도적이거나 과하다고 판단되면 방송위 제재를 받게 됩니다. 피디나 소품 담당이 그 때 그 때 상황에 적절한 제품이라고 해서 사용한건지, 아니면 모종의 거래를 한 건지는 당사자나 수사기관만이 알겠죠. 좀 전 MBC 9시 뉴스 파리의 연인을 참고화면으로 SBS쪽 두 명이 구속됐다고 뉴스 내보내더군요-_-ㅋ
06/12/01 00:55
지금 하는 '소문난 칠공주'.. 둘둘 치킨인가를 PPL(간접광고) 한답니다. 물론 뭐.. 정식적인 루트로 받았겠죠(광고료처럼). 첫째 누나인가가 하는 닭집이 둘둘치킨이랍니다. 그런 식으로 간접 광고한다네요-0-
제가 알기로는 일정 수준 이하에서는 완전히 불법은 아닐겁니다..
06/12/01 01:07
현재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은 특정 프로그램의 제작에 직ㆍ간접적으로 필요한 경비나 물품, 인력, 장소 등을 제공하는 협찬주에게 광고효과를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것을 금하고 있다.
또 방송사업자가 행하는 공익성 캠페인을 협찬하거나 프로그램의 시상품이나 장소, 의상, 소품, 정보 등을 협찬하는 경우 등에 한해 협찬 고지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방송위에서는 간접광고 및 협찬 고지에 관한 규정을 어긴 프로그램에 대해 시청자에 대한 사과나 해당 프로그램의 정정 및 중지, 편성책임자 및 프로그램 관계자 징계 등 제재 조치를 가하거나 규정 준수를 권고하고 있다. -------------------------------------------------------------------------------------------------------------------------------------- 협찬 고지까지는 적법하지만, 광고효과를 주는 PPL은 '방송법'에 위법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직 논란이 많은 분야네요^^
06/12/01 10:52
요즘 TV 프로그램은 방송국 자체에서 제작하지 않고 거의 대부분 외주제작업체를 통해 제작하는데 방송국에서 주는 제작비로만 프로그램을 제작해서 수익을 내는 것이 쉽지 않다고합니다.
거기다 연예인의 출연료가 상승하는 만큼 비용이 상승하는 것 같지도 않구요. (나머지 스텝들의 봉급은 몇 년째 비슷한 수준에 머물러있다고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외주제작 업체가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이 PPL인데 현실적으로 거의 대부분의 업체가 그런 식으로 제작을 하고 있을 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