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5/12/29 00:45
저랑 비슷하시네요.. -_-;; 나이도 같고..
주변에서 수학은 문제 양으로 밀어 붙이라던데요.. ^^; ( 그냥 닥치는 대로 다 풀라던데요.. 물론 모의고사 기준 3~4점 짜리요 )
05/12/29 01:07
이번에 수능본 재수생 입니다.
솔직히 어떠어떠한점이 더 취약하다. 이런거는 다 핑계구, '수학 실력'이 부족한 거다 라고 생각하세요. 이런 말이 질리실진 모르겠지만 수학의 불변의진리는 역시 개념 입니다. 개념? 이러면 '뭐 어떻게 공부 하라는거냐?'라고 물으시면 역시 확답을 할 수가 없네요. 사람에 따라서 얻는성과도 다르고 습득하는 스타일도 차이가 있더군요.. 애초부터 머리가 좋은 아이라던지, 엄청난 노력파라던지.. 공부의 지름길은 없다고 봅니다 그래도 저는 정석을 추천하고 싶네요 굳이 정석을 해야 하는것 처럼 강요는 아니지만 정석에 나와있는 개념들을 100%이해 하신다면 정석 말고도 다른방법도 괜찮습니다 다만 정석이 그런문제들을 모아놓았기 때문에 추천하구요 (정석은 점수를 올리는 책이 아닙니다. 문제를 푸는 길을 밝혀주는 책이라고 하면 맞을까요.) 시중에서 파는 30문제 모의고사 푸는것도 중요하지만 그점수로 목메지는 마세요 수능점수를 가르는 결정적인 문제들과는 차이가 많습니다. 특히 수2 미적은 개념 개념 개념 단원입니다 가형을 선택하신다면 역시 대학의 승패는 이 수2 미적에서 갈리겠죠.. 문제를 푸시고 답을 맞추며 공부할때 해답지에 나와있는 답만 보지마시고 다른 방법으로 푸는 방법은 없을까를 연구해보세요 증명문제 같은것을 푸실때는 빈칸을 채워넣는다는 생각은 버리시고 그 증명 과정을 소화하세요 직접 증명을 해보시구... 응용력이 정말 중요합니다 쓰다보니 정말 두서가 없군요.. 하지만 이 모든 내용들은 역시 '문제푸는 양'또한 뒷받침 되어야 합니다 저처럼 머리나쁜 학생들에게 공부는 엉덩이로 하는거니까요 ^^ 올해 수능을 2번째 보면서 느낀점은... 수능은 고등학교수준 수학일 뿐이다 하지만, 모의고사가 아닌 모의고사와는 전혀다른. 수능이다. 노력으로 정복할수 있길 바라면서...
05/12/29 07:42
개념 확실히 익히구 많이 푸세요. 강의나 수업을 들었다면 복습은 철저하게 하시구요. 한번 풀어본 문제도 여러번 복습을 하세요. 그러면서 수학적 사고를 쌓아가는거죠. 처음부터 잘 되는사람은 별로 없을꺼에요^^
수학은 하는만큼 나오는 가장 정직한 과목이거든요.
05/12/29 17:26
수학은 그냥 노력으로 안됩니다. 한 2~3년간 어려운 문제만
빡쎄게 풀면서 수학적인 감각(?)을 익혀놓은 다음에 공식을 외우던가, 개념을 찾던가 해야 합니다. 정 안되시면 중학교 경시문제같은걸 풀어보시길 바랍니다. 그정도만 마스터 해도 개념잡는건 문제 없을듯... 하지만 문제는 초,중학교 경시문제가 수능보다 어렵다는 사실 -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