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5/12/07 22:35
1) 합성어의 정의 때문에 논란이 있지만, 합성어를 넓은 범주로 볼 경우 복합어와 파생어,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지금 님이 말씀하시는 합성어는 복합어를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2)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를 구별하는 기준은, "결합하는 방식이 구를 이룰 때와 같은가 그렇지 않은가'입니다. '어깨동무(N+N), 작은아버지(관형어+N), 귀먹다(N+V), 알아보다(V+V)' 등은 서울 친구, 새 친구, 허리 아프다, 읽어 가다 등으로 구를 이룰 수 있으므로 통사적 합성어입니다. 그 외에는 비통사적 합성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사이시옷은 대표적인 비통사적 합성어의 예입니다.
05/12/07 22:40
명사 + 명사 - 통사적, 명사+ㅅ+명사 - 비통사적, 관형사+명사 - 통사적
용언의 관형사형 + 명사 - 통사적, 용언의 어간에 직접 명사가 붙을 경우 - 비통사적 두 부사로 이어진 경우 - 비통사적(잘못 이외에는 예를 찾기 힘듭니다) 부사 + 명사, 부사성 어근 + 명사 동사의 부사형 + 명사, 한자어 + 한자어 등은 모두 비통사적 복합어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좀더 자세한 것이 필요하시면 쪽지로 보내셔도 되구요.. 근데 잘 대답해 드릴지는 미지수^^;;;;
05/12/07 22:48
복합어를 파생어와 합성어로 나누기도 하는군요.. 음 이 부분은 헷갈려서 원..-_- 정리하자면.
단어는 '단일어와 복합어'가 있는데 복합어에 '합성어와 파생어'가 있다고 보시면 될 듯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