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5/10/11 11:29
히드라덴과 스파이어를 동시에 짓는경우도 있습니다.
앞마당에 스파이어, 본진엔 히드라덴 또는 반대로..아니면 둘다보이게 짓는경우도 있습니다
05/10/11 11:34
1.테란 병력이 전진하면서 사베로 이레디 걸어주고 빠지고 다시 수리하고 할 여유가 없죠. 테테전처럼 주로 자리만 잡고 있는게 아니니까요.탱크 수리 안하는것도 마찬가지구요. 게다가 사베는 스콜지나 히드라 일점사에 의해 터지는게 한순간이기 떄문에 보통 리페어 할 기회도 없습니다. 디파일러에 의해 플레이그 맞은 사베라면 다시 살려 돌아와서 리페어 할 수도 있겠죠. 다른거 떠나서 직접 해보시면 알거라고 생각하는데요.
2.동시에 올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확한 동시타이밍은 아니더라도 두가지 테크를 모두 올리는 경우는 많습니다. 테란에 대한 심리전일 수도 있고 두가지 유닛을 모두 활용하기 위함인 경우도 있죠. 뮤탈 소수를 보여주면서 바로 러커를 확보한다든지,스콜지 생산을 위해 스파이어를 미리 짓는다든지 말입니다.
05/10/11 11:55
빠른 답변 고맙습니다. 제가 프토유저라 테란은 능란하지 못해서.. 다만 SCV Repair의 경우 SCV로 사베 우클릭만 하면 사베 움직이면 따라다니면서 자기가 알아서 고치지 않나요? 여러개 고칠경우 SCV찍고 Shift + Mouse 우클릭만 하면 될텐데.. 제말은 효용성이 없다고 하는데.. 효용성 대비 SCV 콘트럴이 쉽고 그에 따라 사베를 단 한개라도 Repair에 성공하면 그것으로 충분히 효과를 거둔것이 아닌가 해서 질의한것입니다.
물론 ANT님 말대로 한방에 터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스콜지 한기에만 당한경우(플겜머기준)도 제법 되기에.. 저그 2가지 테크는 저도 가끔 본적은 있는데.. 거의 2가지 테크를 타지 않는 경우가 95%이상인것 같더군요. 이말은 2가지 테크에 드는 자원 대비 그다지 효과가 없다는 의미가 아닌가 해서입니다. 하여간 어느정도 의문은 풀렸네요.
05/10/11 12:33
사베 컨트롤 중에는 scv 수리가 힘듭니다. 약간 앞쪽에 있거나 자꾸 움직이거든요
히드라-뮤타를 동시에 쓸 수 있을 만큼 개스가 넉넉한 타이밍은 아니기 때문이겠죠. 페이크 용으로 두 개 동시에 짓는 것도 드론이 빡빡한 가난한래어에서는 힘이 듭니다. 결국은 두 테크가 모두 필요해지겠지만, 부자가 아닌 이상 페이크 때문에 자원을 또 쓰기는 힘들죠. ^^
05/10/11 12:50
베슬수리는 베슬이 하도 움직여서 수리도 못하고 이리저리 옮겨다니다가 죽는 경우가 다반사. 손이 느리기도 하고 전투땜에 바쁘기도 하고..빨피아니면 수리 안하게 되더라고요
저는 동시에 지으면 6~8무탈 띄어서 견제가고 가스 200이 모이자 마자 러커업 눌러주면서 멀티합니다
05/10/11 15:32
어차피 배슬이 잡히는경우는 스컬지에의한 격추 뿐입니다.
히드라에의해 잡히는 경우도 거의 없구요. 스컬지 두마리면 떨어지는게 베슬입니다. 한방 맞으면 바로 빨피... 그럼 한방만 맞으면 터지겠죠? 자. 베슬을 수리했다 칩시다. 그럼 2방맞으면 베슬 터지겠군요... 사실, 베슬수리해주는거 꽤나 번거롭습니다. 쉼없이 움직여야하는 베슬의 특성상 수리도 쉽지 않구요 차라리 베슬 안터지게 관리해 주는것이 어찌보면 컨트롤이 훨 편하다고 할 수도 있겠네요^^;
05/10/11 19:18
1. 베슬 수리 하기 좀 번거롭져... 특히 진출 타이밍이거나 교전 무렵인데...
한두 기 정도라면 본진 보내 수리하겠지만.. 혹시 모를 이라디에잇이나 디펜시브 또는 갑작스런 격추 대비용으로 다수를 대동하죠.. 머 여유만 있다면야... 수리가 강추됩니다. 2. 동시에 올리긴 자원이 조금 빡빡한 경우도 있죠.. 특히 프로게이머들 경우엔요.. 가끔은 같이 올리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같이 올리더라도 바로 러커 업까지 동시에 하기 좀 번거로워서 주로 뮤탈리스크 소수 생산 중이거나 생산후에 러커 개발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