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1/04/07 22:39:21
Name mangyg
Subject 여러분이 생각하는 개인리그 최고의 죽음의 조는 어디였나요?
2002 스카이배  :  홍진호, 강도경, 박정석, 조정현

2003 올림푸스배 : 이윤열, 임요환, 이재훈, 박경락

2003 마이큐브배 : 홍진호, 강민, 이윤열, 조용호

2004 질레트배 듀얼토너먼트 : 임요환, 박정석, 박성준, 전상욱

2004 질레트배 : 강  민, 최연성, 박정석, 이병민  

2005 SO1배 : 김준영, 최연성, 오영종, 홍진호

2007 곰tv 3차 MSL : 김택용, 이영호, 이윤열, 최연성  

2011 ABC Mart MSL : 이제동, 염보성, 김택용, 이영호

기타 : 챌린지 1위 결정전 - 최연성, 서지훈, 이병민, 전상욱, 변길섭, 이재훈



오늘 택리쌍염이 한 조에 몰리면서 역대 죽음의 조 중 하나가 또 생겼네요.
이만큼 죽음의 조가 있었나? 싶어서 찾아봤습니다 ^^
하나같이 박빙이라 고를 수가 없네요.
이 중 여러분이 생각하는 최고의 죽음의 조는 어디인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쥴레이
11/04/07 22:40
수정 아이콘
2003 마이큐브배 입니다.

그때 당시 강민선수가 떨어질거라고 예상 하였는데.......예상외였죠.. ^^;
정말 지금도 후덜덜한조..
츄츄호랑이
11/04/07 22:41
수정 아이콘
스타를 본지가 오래되지 않아서 그런지 저는 올해 조밖에는 실감이 안 나요...
그러니깐 11년!
LG.33.박용택
11/04/07 22:42
수정 아이콘
2004 질레트배 : 강 민, 최연성, 박정석, 이병민

전 여기요.
당대 최고의 토스 둘과, 당대 최고의 테란 둘이 한 조에..
결국 박정석, 최연성이 올라갔던가요?
구라타
11/04/07 22:42
수정 아이콘
차재욱선수가 조1위로 올라갔던 죽음의 F조가 있었는데 여기엔 없네요. 기억으로는 강민, 마모씨, 한명은 기억이안나는데 이윤열 선수였나?
방과후티타임
11/04/07 22:43
수정 아이콘
이윤열, 임요환, 박경락, 이재훈.....제 마음속 최고 죽음의조는 당대 투톱의 테란과 테란잡는걸 정말 잘한 두선수가 있었던 이 조입니다.
화이트푸
11/04/07 22:45
수정 아이콘
저는 2003 올림푸스배 : 이윤열, 임요환, 이재훈, 박경락 입니다.

이때 당대 4선수들의 포스는..... 이루 말할 수 없죠... (방과후님이 말씀하셨지만 이재훈 선수의 테란전과, 박경락 선수 테란전은 그 상시 최고였었죠)박경락 선수가 저그전만 잘했더라도... 우승빼찌 2개는 있었을 것 같은 선수였었죠 ㅠ
Shiningday87
11/04/07 22:45
수정 아이콘
저도 03년 올림푸스 A조 입니다
제가 박경락선수 팬이었던것 때문만은 아닙셉습셉습.........

당대 투톱의 테란과 테란잡는걸 정말 잘한 두선수가 있었던 이 조입니다(2)
그리드세이버
11/04/07 22:49
수정 아이콘
2003 마이큐브배 라고 생각합니다. 제일 네임 밸류가 떨어진게...당시 막 엠겜 우승했던(정확하지는 않네요) 강민선수일 정도로 후덜덜했죠
율곡이이
11/04/07 23:18
수정 아이콘
여태까진 마이큐브였지만, 오늘 바뀠었네요...2011 ABC Mart MSL 로...;;
택리쌍이 다시 한 조에 모이지 않는 이상 본선 조 역대 우승커리어 기록은 안 깨질것 같은...
11/04/07 23:40
수정 아이콘
오늘 '염'대신 '덴'이 들어왔었으면 정말 역대 최고가 될 뻔 했죠.
그래서 쫌 아쉽습니다?
王天君
11/04/07 23:49
수정 아이콘
항상 말하지만 올림푸스 A조에요. 분위기도 그렇고 당시 선수들의 강력함도 그렇고..
이윤열 선수야 그 때 막 치고 올라가는 최고의 상승세였고, 거기다가 감히( 이 단어를 쓸 정도의 도발적인 분위기가 서려있었던) 임요환 선수를 찍었죠. 조지명식 현장이 헐...재 왜 저래..하는 분위기로 웅성웅성 거릴 정도였으니까요. 임요환 선수가 네가 감히 나를 찍어? 네가 우승 한번 하더니 이제 눈에 뵈는게 없구나? 하는 식으로 다 같이 엿한번 먹어보자 하고 이재훈 선수를 지목했고, 이재훈 선수는 니네들이 이윤열이건 임요환이건 어차피 테란이니까 나한테는 안돼 하는 포스를 풍기고 있던 데다가 ( 그 당시 이재훈 선수의 테란전을 아는 사람들은 이윤열 임요환을 걱정할 정도였습니다) 힘들게 간다고 말했으니까 이 정도는 돼야 힘든 조지 하는 식으로 박경락 선수를 지목했었고..그야말로 혼돈의 카오스였고 우려의 어프레이드를 할 수 밖에 없던 조였습니다.

명실상부 투톱의 테란과 테란 잡는 걸 정말 잘한, 아니 제일 잘하는 각 종족 대표 선수가 있었던 게 이 조입니다.(3)

지금 택뱅리쌍이 한조에 다 들어가도 이 조에는 못 미칠 겁니다. 그 정도의 무게감이 느껴지는 조였죠.
헤나투
11/04/08 00:15
수정 아이콘
제가 볼때는 실력 측면에선 오늘 나온조와 마이큐브가 가장 최강의 죽음조 같네요.

물론 끝난뒤에 가장 화제가 된건 올림푸스!
11/04/08 00:19
수정 아이콘
통합 13회 우승에 프로리그의 사나이 염보성이 옵션이 된 오늘조요
LegNa.schwaRz
11/04/08 00:22
수정 아이콘
올림푸스가 16강이 끝나는 기간 내내 엄청난 긴장감을 줬었기에! 올림푸스에 한표 던집니다!
11/04/08 00:25
수정 아이콘
저도 '일부는 퉁퉁퉁퉁'이 나왔던 올림푸스가 제일 기억에 남네요.
11/04/08 00:25
수정 아이콘
오늘 나온 조가 역대 최고의 죽음의 조라고 생각해요.
PGR끊고싶다
11/04/08 00:37
수정 아이콘
어제나온 조가 역대 최고라고봅니다.
택뱅리쌍의 택리쌍세명들어간것자체가 말 다한거죠. 거기에 꾸준한 a급테란인 염보성선수까지.

비교를 해보자면 2002~3년에 임요환 박정석 홍진호 선수가 한조에 몰린거랑 비슷한거라고 봅니다.
11/04/08 01:08
수정 아이콘
2003 마이큐브배 : 홍진호, 강민, 이윤열, 조용호


저는 이게 지금 봐도 제일...
11/04/08 01:15
수정 아이콘
의미상으로는 파나소닉배 16강 A조요.

전대회 3개방송사 우승자인 박정석, 이윤열, 강도경에 외국인대표같은 느낌의 베르트랑 선수였죠.
결과적으로는 이윤열선수의 온게임넷 도전기가 더 강한 느낌이었고(실제로 로열로드가 됐고),
직전대회 양대리그 결승진출자란 타이틀이 무색하게 박정석선수는 최악의 시즌을 보내면서 뭔가 어설펐지만요.
02스카이배에서도 조정현선수가 3패하면서 재경기 돌입, 3명의 각축전이었는데, 같은상황이 다시벌어졌죠.
강도경선수는 2연속 죽음의조라 할 수 있었는데, 강도경선수가 이 두번의 조편성이 잘 되었다면, 좀 더 오래 선수생활을 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홍진호-강도경-장진남으로 이어지던 저그라인이, 조용호-홍진호-박경락으로 개편되는 시점이었거든요.(올림푸스에서 한번 더 올라가지만요.)
Aisiteita
11/04/08 01:28
수정 아이콘
2003마이큐브가 1위 올림푸스가 2위네요. 지금 생각해보면 그때는 참 스타 보는게 너무너무 재밌고 행복했던 한해였던것 같아요.
낭만토스
11/04/08 02:00
수정 아이콘
프로브까지 동원합니다 프로브까지 동원합니다
탱크 일부는 시즈모드됐고 일부는 퉁퉁퉁퉁퉁퉁

아 회상만 했는데 소름돋네요.

테란의 황제 임요환
천재테란 토네이도테란 이윤열
당대최강의 테란킬러 이재훈
삼지안 저그 공공의적 경락마사지 박경락
라이크
11/04/08 02:10
수정 아이콘
대결 구도나 스토리 자체는 올림푸스 a조가 압권이지만, 선수구성만으로 살펴보면 이재훈, 박경락 선수는 당시 테란전을 굉장히 잘하는 선수였긴 했으나 이윤열, 임요환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실질적인 커리어만 따졌을 때, 이번 msl 택뱅리염 조가 가장 최악의 조가 아닌가 싶네요.
발업구글링
11/04/08 03:28
수정 아이콘
언제나 이걸 얘기할때 빠지지 않고 나오는 2개의 조가 마이큐브(이윤열, 홍진호, 강민, 조용호)와 올림푸스(박경락, 이재훈, 임요환, 이윤열)인거 같은데요....어제만들어진 조가 역대최강에 올라가기에 손색이 없는거 같습니다....염보성선수의 개인리그 커리어 부재가 조금 아쉽긴 하지만 염보성선수도 엄연히 한 구단의 에이스인만큼 충분히 역대최강의 조로 꼽을수 있을거 같습니다
11/04/08 04:03
수정 아이콘
저중엔 저도 03올림푸스 같네요..
03마이큐브때는 챌린지,듀얼부터 파라독스때문에 홍진호 조용호 였다하더라도 프로토스 강민에게 무조건 한번씩 질거라 예상했고
조용호 천적 이윤열이 있어서 강민 이윤열 두명 진출로 분위기가 기울었었죠..(실제론 강민 홍진호 진출)

반면 올림푸스는 조편성 직후와 4명의 선수들의 피튀기는 과정이 너무 흥미로웠죠..
초장부터 우승자 징크스 겪을줄 알았던 이윤열이 개막전에 임요환을 이겼지만(후에 탈락으로 결국 징크스 못벗어남)이재훈 박경락한테
내리지면서 탈락 파나소닉부터 공공의 적 답게 프로토스 이재훈 손쉽게 요리한 박경락은 저그전 스페셜리스트 임요환에게 지고
마지막에 이윤열 잡으며 2승 1패 진출
박경락에게 지고 1패한 이재훈이 당대 최강자 이윤열에게 천적 인증하며 1승1패 그리고 임요환도 1승1패인 상황
그리고 마지막 기요틴에서 한방의 러쉬..영화네요 완전..
11/04/08 08:15
수정 아이콘
어제 나왔다고 생각합니다 역대최강의 종족마스터셋에 프로리그의 베스트테란.... [m]
SiveRiuS
11/04/08 12:50
수정 아이콘
염보성 선수를 무시하는건 아니지만 진짜 저기에 뱅이 들어갔으면 역대 최강이었을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2514 여자친구 생일선물 질문입니다. [1] deadbody2597 11/04/08 2597
102513 중국 근현대사 관련 괜찮은 책 없을까요? [4] 다이달로스1741 11/04/08 1741
102512 던파 복귀 전 몇가지 질문 드립니다. [4] 凡人2235 11/04/08 2235
102511 집에서 사용하는 무선인터넷이 갑자기 느려졌어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4] 분홍돌고래2499 11/04/08 2499
102510 지금 캐나다에 있는데요. 이번 위너스 리그 결승을 꼭 보고 싶은데.. [2] 바카스2108 11/04/08 2108
102509 전원코드..질문좀 할게요 정전된이후로 이상합니다 가치파괴자1516 11/04/08 1516
102508 프야매 듀얼덱중 팀컬러 질문입니다. [5] 에반스2093 11/04/08 2093
102507 노트북 무선인터넷에서 대해 질문드립니다.ㅠ [2] 달콤씁쓸한1524 11/04/08 1524
102505 위너스 리그 결승전 장소인 한양대학교 노천극장 관련 질문입니다. [3] 상상.2110 11/04/08 2110
102504 음악 질문입니다 Meditation1798 11/04/08 1798
102502 아이폰5의 국내출시일은????????? [9] V22080 11/04/08 2080
102500 안드로이드 마켓 유료어플 체크카드로 구매 가능한가요? [2] 벤카슬러2057 11/04/08 2057
102497 나 얼마만큼 좋아해? [28] 유안3939 11/04/08 3939
102496 그렇다면 아이폰4를 가장 싸게 사는 법은 무엇인가요? [2] Cvember2348 11/04/08 2348
102495 아이폰4 공짜로 파는 곳 있나요? [3] Neo2371 11/04/08 2371
102492 일밤 신입사원 정다희씨와 광주 MBC 정다희 아나운서는 동일인물인가요? [3] 순유묘8493 11/04/08 8493
102490 갤탭을 pmp와 비교하면 어떤가요? [7] 캐리건을사랑2364 11/04/07 2364
102489 이번 위너스 리그 결승전 장소인 한양대학교 노천극장 관련 질문입니다. [5] J2N2078 11/04/07 2078
102487 제가 스쿼트를 집에서 하려고 하는데요 [8] 에휴존슨이무슨죄2198 11/04/07 2198
102486 앱 개발의 중요성이나 시장 상황 같은 자료 정리된 사이트 아시는 분 계신가요? Blue_아리수1540 11/04/07 1540
102485 여러분이 생각하는 개인리그 최고의 죽음의 조는 어디였나요? [30] mangyg2315 11/04/07 2315
102484 수분크림과 달팽이 크림에 대한 질문입니다. [2] 정상을위해1783 11/04/07 1783
102483 근육이 빠지는 행동에 대해 [9] 클레멘타인2767 11/04/07 276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