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10/06/04 18:51:33
Name nameless..
Subject 게임을 하는 의미
게임을 하는 의미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해보았습니다.
게임은 단순한 유흥에 지나지 않는 것일까요?
그게 아니라면 구체적으로 어떤 면이 가치가 있는 것인지 의문이 듭니다.
게임을 통해 어떤 강력함을 추구하며 부단히 초월을 거듭해간다는 것에 의미를 두어야할까요?
스포츠를 통해서도 종교와 예술을 느낄 수 있다고 보는데 구체적인 의미를 찾기가 힘드네요.
프로게이머가 추구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p.s : xp사이트를 보면 스2에서는 gg를 안쳐도 된다는 것이 대세가 되가는 것 같습니다. 그곳에서 gg를 치는 것이 매너라고 한소리 했다가 악플을 스토킹 수준으로 당했던 후로는 상대가 gg를 굳이 칠필요 없다는 주장들에 대해 그러려니 하고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nameless..
10/07/17 22:14
수정 아이콘
이 문제가 화두가 되어서 다시 와보았습니다.
과연 게임이 유흥에 지나지 않는 것인지..
그리고 GG에 대한 것은 품격에 대한 것이라고 봅니다.
루로우니
10/06/04 18:57
수정 아이콘
스타1, 스타2
gg 솔직히 자유죠...
안쳤다고 노매너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단지 방송 게임에서는 gg안치고 나가면 당황하죠 캐스터랑 해설자들이..
결론 : 배넷은 하던지 말던지 자유 , 방송은 시청자를 위해서 하는게 좋을뜻
10/06/04 19:07
수정 아이콘
욕이나 안하면 다행이지 gg를 기대하는건 스1이나 스2나 둘다 무리라고 생각되네요.

뭐 꼭 gg를 쳐야만 예의있는 사람이 되는것도 아니고요.
10/06/04 19:16
수정 아이콘
스타크래프트 게임은 단순한 유흥이 맞는듯

gg 치는건 프로게이머 아닌이상 개인 자유가 맞고요.
nameless..
10/06/04 19:20
수정 아이콘
프로게이머가 추구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후후맨
10/06/04 19:21
수정 아이콘
정말 예엣~~날에 처음 스타배울때 지면 GG를 쳐야된다고 GG는 패배선언의 의미이자 좋은게임했다 라고 마무리인사의 의미로
배웠고 나중엔 습관처럼 GG를 치게되었는데 최근 스타1할때도 끝나면 꼭 gg를 습관처럼 쓰고 나왔는데 이상하게 스타2할때는 GG치는게 습관처럼 안나오더라구요.. 스타2에선 채팅자체를 잘안해서그런지.. 요즘은 gg를 치고나오는걸 습관화하려고 노력하긴하지만요..

하지만 그건 상징적인의미이고 현실적으로 대다수의 많은사람들은 게임에서 패배를하면 아쉬움과 패배에대한 짜증이 밀려오면서
약간의 흥분을하기 마련이고 그과정에서 광속 F10+s를 통해 나가는경우가많죠 하지만 그랬다고 비매너까지는 아니라고생각됩니다.
그리고 현재 방송에서 gg를 치는것도 그런상징적인 의미떄문에 해준다기보다는 해설자들과 시청자로하여금 내가 패배했다 라는것을
알려주기위한 정도의 수준이아닌가 하구요..

그리고 다른것도 다 한글화되었는데.. GG는 한글화안되나요 크크.. 그냥 즐겜했습니다. 뭐.. 한수배웠습니다라든지..말이죠..
실전에서 쓰면 뭔가 진지해진 자신에게 약간 손발이 오그라들긴 할듯..요
후후맨
10/06/04 19:35
수정 아이콘
그리고... 프로게이머가 추구하는것이라.. 그들이 추구하는것이나 운동선수들이 추구하는것이나 비슷하지않을까요
1차적으로 프로건 아마추어이건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게임,축구,야구 등..)를 즐기며 최고 혹은 타인에게 실력을 인정받고싶어하는 심리가 가장크지않을까요 mmorpg이건 아케이드게임이건 이 1차적인 것이 가장클거라고생각합니다.
그러므로써 자기만족을느낄테구요..

그리고 굳이 의미를 부여해야되나요? 의미란건 사람마다 각각 다르다고 생각됩니다. 그냥 게임을즐기면서 단순유흥으로 즐기는사람도있을것이고 게임을하면서 사람과 사람이만나는 유대관계에대한것에 의미를 두는사람도있을것이구요.. 프로게이머라면 생계유지의 의미까지도 부가될것이구요 그냥 즐기는 사람들이 생각하는것에따라 의미는 달라진다고 생각되네요
nameless..
10/06/04 20:05
수정 아이콘
후후님 성의있으신 답변 감사합니다. (_ _)
10/06/05 03:12
수정 아이콘
원사운드 님의 명언이 생각나네요.
This-Plus
10/06/06 15:05
수정 아이콘
좀 다른 예지만

게임센터에서 철권을 하다가 상대에게 졌다.

질 때마다 맞은 편으로 가서 '제가 졌습니다' 라고 하지 않아도

아무도 노매너라 하지 않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04 Blizzard, Battle.net 가입시 무조건 스타2 베타키 증정 [9] kimbilly4610 10/06/11 4610
1003 스타2가 고쳐야 할점... [16] 마빠이4340 10/06/11 4340
1002 의문이 드는 유닛들 [14] 김연우4830 10/06/11 4830
1001 저그분들. 테란전 힘드시나요? [16] 0ct0pu54472 10/06/09 4472
1000 다들 주종 정하셨나요? [31] 라이크4211 10/06/09 4211
999 대 저그전에서 유령, 바이킹 조합 써보신 적 있으신가요? [5] 물의 정령 운디2775 10/06/09 2775
998 베타 1차가 끝났습니다. [7] nameless..4043 10/06/08 4043
997 유령더블 [5] 하나3529 10/06/08 3529
996 까먹기 전 2병영 더블 빌드 [5] 김연우3527 10/06/07 3527
995 프라임 클랜 웹 페이지가 오픈했습니다.~ [2] 배두나2994 10/06/07 2994
994 은근히 역전 잘 나오네요 [5] 김연우3579 10/06/07 3579
993 스타크래프트2 계정 드립니다. 하루 잘 즐기셨기를. [9] 화이트데이4001 10/06/07 4001
991 S2 / Werra / Zenith 세 클랜에서 팀배틀 경기가 있습니다 [13] 복수는나의것2916 10/06/06 2916
990 사자티비에서 하는 스타2 박경락vs김성제 제 2경기를 보았는데요.. [12] 하나4913 10/06/06 4913
988 스타2 이벤트 클랜 팀배틀 oGs vs Prime 6월 5일 오후7시 방송 :D [7] 기사도2906 10/06/05 2906
987 으익! 스타2 인게임 컷신 퀄리티가 장난 아니군요. [4] homm34347 10/06/05 4347
986 사신/불곰 연구해볼만 하네요. [12] 김연우3992 10/06/04 3992
985 스타2에 대한 비판 [23] 루루4235 10/06/04 4235
983 게임을 하는 의미 [12] nameless..3000 10/06/04 3000
981 패치노트 15. [20] 엔뚜루4421 10/06/04 4421
980 현 시점에서의 사기 유닛 [19] 김연우6134 10/06/03 6134
978 공성전차 사기설이 대세네요;; [11] 엉클구5256 10/06/02 5256
977 패치노트 14. [10] 엔뚜루4634 10/06/02 463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