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10/08/16 22:54:54
Name 멍하니하늘만
Subject 플토 vs 테란에서 플토는 뭘 해야 되요?
이제 막 스타2를 시작했어요

아직까지 감이 안 잡히는게 테란 전인데요 특히 4인용 언덕맵에서요

일찍 입구를 막아서 정찰을 실패하면 저는 거의 3배럭 찌르기 생각하고 광전사, 추격자(아직 다 못 외워서), 고위기사

를 모읍니다

아직은 본진에서 쥐어짜는 형태라 광전사가 좀 많고...추격자 4-5마리, 고위기사 2-3마리 있을 때

느닷없이 벤시가 찌르러 들어옵니다

근데...추격자가 못 버텨요

게다가 다른 문제는...미사일 터렛 때문에 감시자로 제대로 정찰을 하기도 힘들다는 거에요...

이럴 경우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언덕에 시즈를 박아놔서 뚫고 가자니 피해가 만만치 않고요...

추격자로 블링크해볼까...하고 추격자를 모으자니 사실 불곰을 모으고 있는건 아닌지 ...

무엇보다 본진 쥐어짜기에서는 감시자를 여러 마리 모으기도 가스가 너무 부담스러워요

아 이걸 어찌해야 합니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허느님맙소사
10/08/16 23:33
수정 아이콘
요즘 플토 고수분들 운영은...

정찰하면서 광전사 1기 생산합니다. 초반 증폭은 모조리 일꾼에 몰아주고요.

상대가 사신이면 추적자 뽑아주고(빠른 사신이면 증폭) 해병이나 불곰이면 파수기->광전사->파수기

이후 로보틱스+2차관 가더군요. 빠른 관측선으로 상대 테크 확인하고 앞마당을 먹거나 방어를 합니다.

해불조합이 강하긴 한데 그 강함이 컨트롤에 있는지라 의외로 광전사 중규모+역장+추적자 2~3기에 잘 잡힙니다.

이후부터는 거신뽑아주면서 운영하더군요. 상대가 방어하고 있으면 관측선으로 보고 멀티 한개 더 먹으면 그만입니다.
빼꼼후다닥
10/08/17 00:04
수정 아이콘
가스가 많이 들긴 해도, 관측선 숫자가 일정 숫자를 유지해서 전 곳을 밝혀두는게 좋습니다. 너무 상대 병력을 보지 않고 뽑으시는 경향이 있으신 것 같습니다. 가장 중요한건 정찰 후 파악이죠.
밀가리
10/08/17 00:08
수정 아이콘
playxp에 마카(요츠바랑)님이 올린 테프전 경기가 2개 있습니다. 프로토스로 정말 많은 도움이 되더군요.
10/08/17 00:08
수정 아이콘
래더를 계속 하다보니까 테란분들이 초반에 배를 째는 경우가 좀 많더군요.
전 초반에 자원 약간 아껴서 1광전사 찍고 코어 올립니다. 프로브로 입구 견제하면 보통 제대로는 잘 안 막으시더라구요.
일단 1질럿 1프로브로 scv 1,2기 찍어 잡다가 첫 불곰 나오면 어택 찍어둡니다.(무빙샷하려고 하면 불곰 잡을 수 있음, 사신이면 못 때리니 때리니 시간만 벌구요)

이후엔 여러가지로 패턴이 나뉘는데 되도록이면 후반을 안가도록 하는 주의라 멀티 잘 안하고 그냥 밀어버립니다.
많이 쓴 전략은 공허 2기 + 추적자 or 1불멸자 + 추적자 + 파수기 or 4게잇 점멸 업 추적자로 입구 돌파 정도네요.

테란을 초반에 너무 놔주지 마시고 계속 귀찮게 해보세요.
의외로 잘 먹힌답니다.
린카상
10/08/17 00:16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로보틱스서 원옵져버 원불멸자 생산후 멀티 운영을 즐겨합니다. 테란전 후반 가면 템플러로 버틴 생각하면사 합니다..
지니쏠
10/08/17 00:18
수정 아이콘
저같은경우는 초반증폭은 두번만 넥서스에 주고 일단 모읍니다. 관문-가스-인공제어소 이후 정찰결과 상대가 마린을먼저뽑았으면 투가스가면서 관문에 증폭주며 2추적자로 한번찔러봅니다. 이후 상대의 대략병력구성이 다수마린이거나 벙커가있거나하면 옵저버와 점멸테크를 한꺼번에 가면서 삼관문 추적자를 모아 옵저버로 시야를밝히며 상대본진으로 점멸해들어가버립니다. 근처에 수정탑을 지어놓고 계속추적자를 추가하면 밴시거나 밤까먼저뽑는 1/1/1일경우 끝낼수 있습니다.
병영이나 기술실타이밍이 많이 빠르거나 아예없거나 하면 증폭모으며 인공제어소 이후 질럿하나추가, 완성후 증폭주며 추적자를 뽑으면 사신을 막을 수 있습니다. 이같은경우에도 삼관문 옵저버 점멸 타이밍이 어느정도 나오는듯 싶습니다.
상대가 무난한타이밍에 병영을 짓고 이후 불곰이나온다면 초반 찌르기를 조심하기위해 관문에 증폭을주며 추적자-파수기-추적자를 찍으며 빠르게 투가스와 로보틱스를 올립니다. 이후 증폭을주며 옵을 생산해서 정찰해보고 삼배럭이상이면 거신테크를 타며 3차관을 올려 질럿위주로 뽑습니다. 거신이 나오기전에 상대가 공격을 온다면 언덕에서 역장으로 상대허리를가름과 동시에 퇴로를 막아 질럿과 소수 추적자 파수기로 잡아먹습니다. 거신은 사업이 매우매우 중요하며, 사업거신이 두마리정도 쌓이면 삼차관병력과 함께 테란앞마당을 위협할수있습니다.
옵생산이후 상대가 투배럭이하 운영이라면 불멸자를 다수 확보하며 멀티를 먹고, 고위기사를 빠르게 확보하는것이 좋습니다.
사실 저도 잘하는건 아니라 도움이 될지모르겠네요. 크크.
10/08/17 01:55
수정 아이콘
전 초반에 테란이 입구에 벙커짓고 테크올리는 것 같으면 3~4관문 점멸러쉬로 벙커무시하고 안으로 들어가 버립니다.
델타사분면이나 전쟁초원같은 러쉬거리가 가까운곳은 일꾼으로 입구 막는거 방해하고 초반2관문 광전사러쉬도 쓸만한듯 싶네요..
위로 갈수록 초반에 테란분들이 째는 플레이를 많이해서 초반을 공략하는 것도 괜찮은 듯 싶네요..
이상..브론즈에서 시작해 오늘 다이아로 진급한 허접토스였습니다..-_-
써니티파니
10/08/17 02:49
수정 아이콘
빠르게 불멸자 올려서 입구 돌파해버리는 경우도 있는데요. 기지가 넓은 경우 옵저버 밀어넣으면서 점멸로 올라가버려도 좋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77 제가 지금 미국에 있는데요. [2] 카프카2782 10/08/18 2782
1376 스타2 클랜 목록 4.0 [6] Fix_me2817 10/08/18 2817
1375 8월 17일자 한국 ELL랭킹 [22] 한울4984 10/08/17 4984
1373 *PGRer ID 8월17일자 + 스타2 패치 징징글...* [25] RENTON4166 10/08/17 4166
1372 다이아 700점의 벽은 높네요...ㅠㅠ [4] 포포탄3181 10/08/17 3181
1371 오늘 배치게임 완료했네요.. [2] 백소2451 10/08/17 2451
1370 캐릭터 명을 바꿀 수 있게 해준다고 합니다. [6] 밀가리3337 10/08/17 3337
1369 3:3 팀플시 사신의 문제점. [4] 바롱탱이3095 10/08/17 3095
1368 플토 vs 테란에서 플토는 뭘 해야 되요? [9] 멍하니하늘만3191 10/08/16 3191
1367 테란 참 강하긴 강하네요. [4] 네오크로우3336 10/08/16 3336
1366 배치게임 무섭네요. [15] 공중정원3091 10/08/16 3091
1364 테란 유저인데 테테전에 불곰 정말 좋네요 [11] 밍밍밍3657 10/08/16 3657
1363 다이아로 승급했습니다. [15] alphaline2879 10/08/16 2879
1362 테테전에서 패스트 밴시에 대한 대처법?? [10] 안티세라3695 10/08/16 3695
1360 스타2 잡담 [9] 빼꼼후다닥2865 10/08/16 2865
1359 과연 스타2에서 누가 가장 성공할지 궁금해집니다. [20] 28살 2학년4618 10/08/15 4618
1358 스타2 저그 체험기(2) [8] 충달3566 10/08/15 3566
1357 진정 초보를 위한 간략한 조언 [14] 말다했죠4423 10/08/15 4423
1356 저플전 벨런스는 어떻습니까? [35] 김연우5108 10/08/14 5108
1355 스타2 저그 체험기 [11] 포도사과3841 10/08/14 3841
1354 저그 운영방법에 대해서 거창하지 않은 간단한 몇가지 [2] YounHa~★3836 10/08/14 3836
1353 드디어 조 1위를 했습니다. [6] 베일3190 10/08/14 3190
1352 우려했던 스타2 맵핵이 퍼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13] homm36206 10/08/14 620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