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5/24 11:09
보고 궁금해서 검색해봤더니 이전 받침에 므느으르가 올 경우에만 치가 붙고 나머지는 지가 붙는거라고 하네요. 맞춤법 참 어려워요. 크
16/05/24 11:20
간단히 말해 '-하-'와 결합하는 앞말이 유성음으로 끝나면 치, 그 외의 경우는 지라고 보시면 됩니다.
유성음 = 모음, 므느으르
16/05/24 11:21
'하'에서 ㅏ 가 줄고 히읗이 뒷 자음과 어울려 거센소리가 되지만 받침이 기억 시옷 비읍일 땐 하읗도 날립니다.
생각건데 섭섭지 깨끗지 같은 거 공무원 국어 단골이죠.
16/05/24 11:23
<적합지>가 맞습니다. -하 앞 단어 받침에 울림소리(느므으르+모음)가 오면 거센소리로 바뀌고 나머지는 그냥 준말이 됩니다. 예를 들면 섭섭하지ㅡ섭섭지, 간편하게ㅡ간편케, 연구하도록ㅡ연구토록 등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