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5/19 20:25
과학철학의 부분에서 시작됐습니다만 인간 인식의 확실성과 진리의 인식가능성에 대한 철학적 풀이기에 어느 학문분야든 적용가능은 합니다. 물론 쿤의 이론이 100%맞다고는 못하겠지만 어느정도 인간이 하는 모든 인식과 학문분야에는 적용할 수 있죠.
16/05/19 20:30
감사합니다. 석사 논문 계획서를 써야하는데 이것저것 건드리다가 생각난 질문이었습니다. 과학혁명의 구조를 한번 완독하고 다시보는 중인데도 문과라 그런지 여러 사례들이나 그의 주장이 쉽게 와닿지가 않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16/05/19 22:29
흠 만약에 쿤을 이해하시려면.. 흄>>칼포퍼>>쿤으로 이어지는 인간 인식의 회의극복과정을 살펴보시면 이해하시기는 완전 편리할겁니다.
학부때배운 책으로 과학철학특강이었나 하는 책이 나름 이런저런 설명이 있었습니다.
16/05/19 20:55
오지랖 같지만 석사 논문을 쓰신다니...이런 주장을 한 기존의 학자가 있다면 모를까, 그게 아니라면 좀 위험할 것 같네요. 그리고 사회과학의 많은 부분은 패러다임 쉬프트로는 설명하기 어려울 것 같아요. 위에 언급하신 정치행정이원론, 정치행정일원론, 행정행태론, 발전행정론, 신행정학 등의 발전사에서, 기존이 이론이 새로운 이론의 생성과 함께 폐기되었나요? 보통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그런일이 잘 없는데...행정학은 다를련지 모르겠네요...
16/05/19 21:02
네 안그래도 찾아봐도 없더라구요.
이론 경우도, 사실상 폐기된 경우도 있지만 기존의 이론이 폐기되지 않고 서로 상호 보완이 되는 이론도 있다는 점이 걸리네요 좀더 생각을 해봐야겠네요
16/05/19 21:13
사회 과학은 자연 과학과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사회과학은 사람을 연구하는 학문이자나요? 사람은 다면적이기 때문에 이렇다 저렇다라고 그 속성을 정의내리기가 힘들어요. 그러니 자연과학 분야처럼 특정 현상을 더 잘 설명하는 이론이 생겨서 기존 이론을 폐기하는 일이 발생할 수가 없죠.
100번중 99번이 틀리더라도 특정 1번에 100%적용되는 이론이 있다면 적어도 사회과학에서는 폐기되지 않습니다. 당장 경제학만 봐도 중상주의와 같은 정말 오래된 이론이 아직까지 살아남아있죠.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이 중상주의의 무용함을 주장하지만 주로 행정적, 정치적인 이유로 남아있습니다. 말씀하신 '사실상 폐기'라는 용어가 사회과학의 특성을 한마디로 보여주는 것 같아요.
16/05/19 21:21
네, 만약 이거랑 엮어서 준비한다면 한계점도 명확히 구분 해놓아야겠네요.
가만 생각해보면 17세기의 관방학의 국민의 권리, 의무, 주권 같은 개념이 현재에도 유효하니까요. 어떻게 해야할지 감이 안잡히긴 하는데 과학혁명이론을 사회과학에 대입한다기보단 비교를 하면서 유사성과 차이점을 설명하면서 향후 새로운 normal public administration이 무엇일지 예측하는 정도와 기대효과를 연구하는 방향으로 가야할지... 아님 그냥 폐기해버리고 기존에 좀 준비했던 쓰레기자동집하시설에 관련된걸 써야할지 고민좀 해야겠네요.. 정성스런 답변 감사합니다
16/05/19 20:57
행정학은 급격한 전환보다는 진자운동처럼 중간지점으로 점점 수렴하는 느낌이라,
적용하려면 가능은 하겠지만 좀 팍팍할 것 같습니다.
16/05/19 22:39
엄밀히 말하자면 쿤 자신이 말한 패러다임 쉬프트는 오로지 과학과 기술에만 적용되는 개념입니다. 오히려 개념적 확장은 그 이후 많은 사람들이 쿤을 연구하면서 이루어진 것이고, 과학철학 혹은 과학기술 사회학자들의 경우 패러다임 쉬프트를 일반 사회과학 이론에 적용하는 것에 있어 매우 보수적입니다.(좀 안일하게 표현하긴 했습니다만, 좀 극단적으로 말하자면 몇몇 학자는 이를 쿤 이론의 곡해내지 오해로 봅니다.)
석사 논문을 쓰신다고 하는 분께 조언드리긴 참 부끄럽습니다만, 적용하는 게 쉽진 않아보입니다.
16/05/19 22:58
행정학은 실제 공공행정의 현실을 모형을 세워 이론화한것에 가깝다고 봐서 페러다임 이론이 적용되기 어려울듯 합니다. 현재도 행정 현실은 거의 모든 이론이 조금씩 다 섞여있다고 봐야할듯 하니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