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4/21 19:59:18
Name bemanner
Subject [질문] [야구] OPS가 장타율을 지나치게 고평가 하는 지표가 아닌가요?
예전 야구가 타율을 타자의 지표로 고평가한데 반해서, 최근 야구에서는 OPS를 타격 생산성의 지표로 자주 쓰는데요.
OPS가 타자의 생산성을 유사하게 나타내는 게 맞다면, OPS 1.0을 넘기는 타자는 전부 볼넷으로 거르는 게 맞지 않나요?
그런데 실제 야구에서는 OPS가 1.2까지 간 심정수 이승엽 호세 백인천 테임즈도 볼넷이 남보다 많긴 하지만 대놓고 거르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았고, 1.4를 찍은 본즈 정도만 거의 매 타석마다 걸렀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OPS가 실제 야구에서보다 장타율을 많이 반영하고 있는게 아닌가 싶은데, 여러분의 의견은 어떠신가요?

아니면 OPS가 맞고 실제 야구에서 흥행이나 기세 때문에 피해가지 않는 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지나가다...
16/04/21 20:03
수정 아이콘
예전에 그와 관련해서 출루율에 1.2 정도의 가중치를 부여한다든가 하는 움직임이 있었는데, 요즘은 그냥 신경 안 씁니다.
애초에 OPS의 미덕은 상당히 정확하면서도 계산하기 편하다는 것인데 그렇게 계산하면 괜히 번거로워지거든요. 정확성에 좀 더 중점을 둔다면 다른 스탯도 있고요.

그리고 약 빤 본즈는 신이었니까 넘어가고, 예전에 본 것이라 분명하지는 않지만 매번 걸리는 것이 나은가 승부하는 것이 나은가를 따졌을 때 OPS 1000포인트라면 승부하는 편이 나은 것으로 계산되었을 겁니다.
소신있는팔랑귀
16/04/21 20:05
수정 아이콘
장타율을 고평가하는 지표가 맞고요. 그래서 공격력은 wOBA나 WRC+같은 스탯으로 평가하곤 합니다. 그런데 의외로 득점과의 상관성이 ops와 유의미한 정도로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아서 ops만 봐도 충분하다고 하더라고요. 그리고 볼넷으로 거르면 ops는 어떤 경우에도 증가하기 때문에 볼넷이 이득일 것 같지는 않고요. ops가 1.4가 넘었던 본즈는 만루 상황에서 고의사구를 준 케이스도 있긴 있습니다.
한글날아닌데닉바꿈
16/04/22 09:25
수정 아이콘
본즈 만루고의사구는 00년 벌크업 이전입니다

물론 그전에도 40-40정도 하시는 갓급이긴 했지만
10년째학부생
16/04/21 20:05
수정 아이콘
타율: .6502
출루율: .8006
장타율: .8041
OPS: .8917
wOBA: .8929
GPA: .8984

지표별 득점상관정도인데 복잡한 계산식이 들어가는 타방법에 비해 매우간단하게 산출할 수있음에도 별 차이가 없습니다
tempo stop
16/04/21 20:08
수정 아이콘
프로그래밍에서도 베이직에서부터 어셈블리까지 있듯이
세이버에서도 원자료에 가까운 수치부터 완전 재구성된 수치까지 다양하죠
그걸 평가하는 두가지 요소는 그 수치를 얼마나 직관적으로 받아들일수 있냐 와 얼마나 가치를 정확하게 비교평가할수 있느냐 인데
OPS에서 출루율 1.2배 정도 해주는게 가치는 더 정확하게 반영하지만 직관성이 떨어지고 심플하지가 못해서 그렇게 하지 않죠
더 정확하게 가치를 비교평가할수 있는 수치를 원하면 더 복잡한 수치를 보면 되는거구요. 근데 그런 복잡한 수치들과 별로 차이가 안난다는게 ops의 장점이죠
독수리의습격
16/04/21 20:08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내용이 맞고요. 간단히 생각해서 출루율은 만점이 1, 장타율은 4니까 둘의 수치를 같은 가중치로 놓으면 장타율이 훨씬 고평가 되죠.
(장타율 1인 타자로 9명을 깔아놔도 점수야 많이 나겠지만 어쨌든 유한인데, 출루율 1인 타자 9명을 깔아놓으면 이론적으로 점수가 무한대로 나죠)
그래서 세이버매트리스에서는 출루율에 좀 더 가중치를 주는 GPA나 wOBA같은 스탯이 훨씬 중시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OPS를 쓰는 이유는 일단 직관적이니까 다루기가 쉽고, 세이버매트리스의 스탯보다는 덜하지만 그래도 실제 득점 생산력과 상당한 상관관계가 있어서 그냥 OPS순으로 타자들을 나열해도 타자들의 공헌도를 쉽게 알 수 있다는 점이 크죠.
타마노코시
16/04/21 20:09
수정 아이콘
정밀하게 들어가면 더 좋은 지표도 많지만 단순히 출루율+장타율이라는 매우 1차적인 스탯을 단지 합치는 것만으로도 매우 유용한 타격 생산성 지표를 나타내기 때문에 타격으로 세울 때 OPS를 쓴다고 봐야되겠죠. 실제로 wOBA나 wRC 등의 계산에서는 출루율에 가중치를 더 줍니다.
물론 과거의 자료에 기반한 회귀식이라 시대적인 타고투저, 투고타저 사이클을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OPS 1.0 이상이라고 반드시 고의사구가 이득이라고 볼 수도 없습니다.
헤나투
16/04/21 20:10
수정 아이콘
윗분말씀대로 가장 편하고 쉽기때문에 널리 쓰이죠.
좀더 정확한 스탯도 많습니다. wrc+가 정확하다고 하죠.
bemanner
16/04/21 20:12
수정 아이콘
1. OPS가 생산성을 표현하는데 근본적인 한계는 있다.
2. 그러나 구하기 쉬우면서도 꽤 정확하다.
3. 좀 더 정확한건 OPS구할 때 출류율을 1.2배 가중치를 두거나, wOBA나 wRC 등을 보면 된다

로 정리하면 되겠죠? 많은 분들 답변 감사합니다.
구밀복검
16/04/21 20:15
수정 아이콘
뭐 애초에 복잡한 계산할 거면 OPS를 보면 안 되니까요.
Jace Beleren
16/04/21 20:18
수정 아이콘
답은 [wOBA]이다.
마이어소티스
16/04/21 20:20
수정 아이콘
ops가 정확도가 굉장해서 많이 쓰인다기보다는 계산하기 엄청 쉬운거에 비해 신뢰도의 가성비가 높아서 쓰이는거라...
붉은벽돌
16/04/21 20:40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장타율이 과대평가되는 지표고 그래서 출루율과 장타율에 가중치 부여해서 계산하는 다른 지표들도 있어요. 다만 ops가 계산이 엄청 쉬운데다가 신뢰도도 일정 수준 이상이니까 유용하게 쓰이죠.
어둠의노사모
16/04/21 20:51
수정 아이콘
OPS는 간단해서 쓰이는거지. 실제 그 수치의 논리적 정합성과는 거리가 멀죠... 사실 출루율+장타율을 더하는 게 무슨 수리통계적인 근거나 의미가 있는 게 아니라 애초에...
솔로11년차
16/04/21 20:53
수정 아이콘
전 그래서 개인적으로 자료를 찾을 때는 장타율과 출루율을 더하지 않고 곱해서 쓰기도 하는데(출루율이 좀 더 반영됩니다.), 그럼 일단 익숙하지 않다보니 직관적이지 않고, 결과적으로 별 차이가 없어요.
유애나
16/04/21 21:19
수정 아이콘
wrc+는 국내 스탯사이트는 솔직히 그렇게 신뢰가 높진않은것같아서 개인적으로는 그냥 거르는편이고 (war도 마찬가지..)
타자 스탯은 woba를 보는편입니다. 대충 스탯 기준치만 알면 직관적으로 다가오기도하구요.
16/04/21 21:30
수정 아이콘
팬 입장에선 상관 없는데 구단 입장에선 또 다르다고 하네요. Ops 아웃라이너 선수가 라인업에 하나 껴있으면 저 상관계수가 더 낮아져요
16/04/22 08:07
수정 아이콘
즉 ops가 떨어지는 선수가 라인업에 한명 껴있으면 ops가 생산성과 안맞아버린다는 말인가요?
16/04/21 23:28
수정 아이콘
타율보다 낫고 다른 세이버보단 쉬워서겠죠 ''~'
Scatterbrain
16/04/22 02:16
수정 아이콘
그렇게 간단한 OPS가 훨씬 더 정교한 wOBA나 wRC+ 같은 스탯에 비해 그다지 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 강점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1751 [질문] 검도 관련 질문입니다. [11] OrBef2082 16/04/22 2082
81749 [질문] 학교 폭력 고소건에 관한 질문입니다. [41] 맛있는봉지4046 16/04/22 4046
81748 [질문] 컴퓨터 WoL(Wake on Lan)기능 및 공유기를 여쭙고 싶습니다. [1] 삭제됨2429 16/04/22 2429
81747 [질문] [워크3] WCA예선풀리그 다시보기 할 수 있는 곳 있나요?? [4] 답이없음1583 16/04/22 1583
81746 [질문] TIN 넘버. 에 대해서 거북왕1635 16/04/22 1635
81745 [질문] Avast 유료 결제 서비스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커피스푼3189 16/04/21 3189
81744 [질문] 택배가 어디간건지 파악이 안되네요.. [5] Little희석2115 16/04/21 2115
81743 [질문] P모사이트 영업글에 영업당해 3DS 포켓몬 구매했습니다. [5] 후천적파오후2706 16/04/21 2706
81741 [질문] 다크소울2 질문좀요. [3] 북두가슴곰2340 16/04/21 2340
81739 [질문] [야구] KIA 팬 분들 거포 갈증 심하지 않으신가요? [21] alphamale2604 16/04/21 2604
81738 [질문] [LOL] 적보다 '무조건' 잘하는데 '계속' 지면 어떻게 하죠? [61] 삭제됨4520 16/04/21 4520
81737 [질문] 노트북 구매질문입니다. 리치나다옐로1504 16/04/21 1504
81736 [질문] 아이들 육아에 관해서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2] 리니시아1175 16/04/21 1175
81735 [질문] [스타1] 홍진호 선수의 이 짤방 출처 아시는 분 계신가요? [6] 어바웃타임2788 16/04/21 2788
81734 [질문] 내일 태어나서 처음으로 잠실 야구장 갈껀데요. [10] 물리쟁이2219 16/04/21 2219
81733 [질문] 삼성전자 SDXC 메모리카드 중국유통모델 [1] 곡사포1632 16/04/21 1632
81732 [질문] 충치 때우는데 비용 얼마나 드나요? [2] 냉면과열무2615 16/04/21 2615
81731 [질문] 기가인터넷용 공유기. 추천 부탁드려요.(ps. 샤오미 라우터) [4] 칸나바롱2462 16/04/21 2462
81730 [질문] 노트북 멈춤현상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12] 아드리안2396 16/04/21 2396
81729 [질문] 난방 검침계 배터리 교체비용도 집주인이 내는 건가요? [2] slo starer1923 16/04/21 1923
81728 [질문] [야구] OPS가 장타율을 지나치게 고평가 하는 지표가 아닌가요? [20] bemanner3624 16/04/21 3624
81727 [질문] 유튜브 재생이 잘 안 됩니다. [5] 미카엘2093 16/04/21 2093
81726 [질문] 본체 전원에 이상있는것 같은데.. 간단히 시도해볼 방법 없을까요? [8] 삭제됨1932 16/04/21 193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