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4/09 22:58:11
Name 마른남자
Subject [질문] UHD55인치 vs 풀HD60인치
둘다 삼성 제품이구요 가격차이는 20만원정도 UHD가 비쌉니다.

이번에 이사갈집에 벽걸이 티비를 하나 장만하려고 하는데 이것 때문에 하루종일 고민이네요..

경제적 여유가 있다면 물론 UHD60인치가 답이겠지만 돈이......

티비는 크면 클수록 좋다고하고 어디선 UHD의 참맛은
60인치 이상은 되어야한다고해서 정말 고민입니다.

피쟐러분들의 도움 부탁 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무무무무무무
16/04/09 23:00
수정 아이콘
저도 이걸로 고민 꽤나 해봤는데 지금 시점에 UHD 사려면 어설픈 보급형 사면 안되고 진짜 고번호대로 가셔야 됩니다. 그래서 제가 FHD로 갔습니다.
몽키매직
16/04/09 23:09
수정 아이콘
TV 용도라면 FHD 로 일단 가세요.
TV 컨텐츠 UHD 보급은 아직 몇 년은 더 걸려요.
현재 UHD 표준으로 정해진 bt 2020 10-bit HDR 제대로 지원하는 패널도 없고요.
여자친구
16/04/09 23:22
수정 아이콘
fhd갔다가... 요즘 led tv 수명이 10년 내외인걸 감안하면 죽으면 다음번에 uhd로 가시면 될듯합니당~
16/04/09 23:52
수정 아이콘
무조건 큰거요
16/04/10 00:24
수정 아이콘
아직은 저를 택하십시오!
16/04/10 00:53
수정 아이콘
uhd는 아직 콘텐츠가 없습니다. 그냥 싸고 큰 사이즈가 좋을 거에요
16/04/10 06:35
수정 아이콘
매장에서 봐도 60인치이상(개인적으로는 70인치) 아니면 UHD도 FHD랑 큰 차이 없는거 같더군요. 직접 보시고 결정하셔도 될거 같네요.
아니면 아래카페에서 글 읽어보시고 결정하세요. 여기서도 아직은 UHD를 권장하지는 않더군요. 더 기다려야 한다고.
http://cafe.daum.net/HDTV
16/04/10 06:46
수정 아이콘
UHDTV, 지금 구입해도 될까?

부제1>무용지물이 되어버린 삼성-LG 프리미엄 4K UHDTV
부제2>난처해진 2016년 4K UHDTV구입

2015년에 카페를 통해, 4K UHDTV는 가능한 2016년에 구입을 하라고 말씀을 드렸는데, 2015년 하반기에 지상파방송사들이 지상파 4K UHD방송 방식을 ATSC 3.0으로 1~2회씩 Test를 해보더니, ATSC 3.0이 MMS방송 가능성이 보이자, 2년간 삼성-LG하고 협작하여 만들어 판매해온 DVB-T2방식의 4K UHDTV가 무용지물이 되게 생겼음에도, 그에 대한 책임과 대안도 없이, ATSC 3.0으로 변경을 추진하고 있어, 2016년 4K UHDTV 구입을 해도 된다고 말씀드리기가 어려워진 상황입니다.

물론, 지상파 4K UHD방송 수신기를 4K UHDTV에 내장하는 문제만 아니라면, 2016년 삼성-LG의 4K UHDTV는, 이제 4K UHDTV로의 기능과 화질은 어느 정도 갖추어 가고 있기에, 구입을 해도 특별한 문제는 없지만, 아쉬운 것이 있다면. 국내에선 삼성-LG의 프리미엄 4K UHDTV의 화질을 느낄만한 콘텐츠가 없다보니, 사실상 프리미엄 4K UHDTV는 큰 의미가 없다는 것입니다.

특히, 삼성-LG 프리미엄 4K UHDTV의 가치가 서두에서도 언급을 드렸듯이, 2016년 여름을 전후로 지상파 4K UHD방송 표준 제정을 확정하면서, ATSC 3.0으로 변경을 한다면, 그 가치는 더 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2016년까지 구입한 모든 4K UHDTV(약 300만대 이상 예상)는, 말 그대로 무용지물(지상파 UHD방송을 직접 수신하지 못함)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거기에다 삼성-LG 프리미엄 4K UHDTV가 2%부족한 부분도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먼저 삼성의 주력 프리미엄 모델인 LCD(QD)형 4K UHDTV(일명 SUHDTV)는, 대다수가 시야각이 있는 LCD(QD)패널을 곡면TV로 만들면서, 프리미엄 TV로서의 화질 가치를 더욱 떨어트리고 있습니다.

LG의 주력 프리미엄 모델인 4K OLED TV는, LCD(LED)에 비해 1.5~3배 비싼 가격과 수명(일정시간 경과 시 화면 밝기 저하)과 번인(동일화면 장시간 지속 시, 화면에 얼룩 남는)현상, LCD(LED)에 비해 높은 소비전력 문제가 아직 해소되지 않아, 화질의 우수함에도 삼성보다 더한 아쉬움을 주고 있습니다.

결국 2016년 출시 삼성-LG 4K UHDTV는, 프리미엄TV라 해도 2%부족한 점이 있고, 지상파 4K UHD방송 표준 제정의 미비(변경)로, 선택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전문가라 해도 2016년 4K UHDTV 구입에 따른 추천이 쉽지 않은 상황인데, 어쩔 수 없이 현 시점에서 4K UHDTV를 구입하는 것이라면, HDR만 지원이 되는 LG전자 일반 평면 LCD(LED)형 4K UHDTV를 권하고 싶은 정도입니다. 이쉬운 것은, 저렴한 중소업체 제품을 추천하고 싶지만, 중소업체는 관련 제품이 없고, 화질-기능이 부족하여 비추.

어짜피 2017년, 2018년이 되어도, UHDTV의 선택은, 또 고민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지상파 4K UHD방송 표준이 2016년 여름을 전후로 변경이 되어, 2017년 2월 지상파 4K UHD본방송(ATSC 3.0)이 시작이 된다 해도, 수도권 지역에서만 지상파 4K UHD본방송이 실시되고, 안테나로만 지상파를 4K UHD본방송을 시청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 지상파 4K UHD방송을 시청할 시청자는 그리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지상파 4K UHD방송의 확산은, 아무래도 유료방송사들의 재전송 여부에 달려 있다고 보여 지는데, 문제는 유료방송사들이 지상파 4K UHD방송을 언제 재전송 해줄지 언급도 안 되고 있어, 통상적 상황을 고려해봐도, 빨라야 2018년이나 되어야 하지 않을까 여겨집니다.

허나, 2018년에도 지상파 4K UHD방송을 재전송해준다 해도, 원활하게 시청할지는 의문입니다. 아니, 어쩌면 2018년엔 더 큰 혼란에 빠질 수도 있다고 보여 집니다. 지상파 8K UHD시험방송이 2018년 2월 평창 동계올림픽부터 실시가 예상되기 때문인데, 만일 2018년 2월에 지상파 8K UHD시험방송이 실시된다면, 4K UHD방송에 대한 회의론은 물론, 4K UHD 'TV+방송' 자체가 혼란에 빠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결국 4K UHDTV는 2016년에 어느 정도 안정화는 되었지만, 지상파 4K-8K UHD방송 문제로 또다시 혼란에 빠질 것으로 보인다는 것입니다. 특히 HDTV로 바꾼지 3~4년도 안된 상당수의시청자들이, 3~4년 단위로 4K-8K UHDTV로 바꾸어야 하는 현실은, UHDTV의 생명력이 앞으로 1~2년 내지, 3~4년 밖에 안 될 것으로 보여, 쉽지 않은 UHD시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관련 대안글 좀 더 자세히 보러가기
(클릭)지상파 'HD→4K→8K' UHD방송 전환의 문제점 및 대안

<UHDTV의 변화와 향후 변화 예상>
*2014년 : 2013년 출시 4K UHDTV가 케이블 4K UHD방송을 수신(HEVC 디코딩)하지 못하는 문제 발생
*2015년 : 2014년 출시 4K UHDTV, HDMI 2.0성능부족
*2016년 : 2015년 출시 4K UHDTV가 HDR에 미 대응
*2017년 : (예상)2016년까지 출시되었던 모든 4K UHDTV(300만대 예상)가 지상파 4K UHD방송을 직접 수신하지 못함→지상파 4K UHD방송 표준을 ATSC 3.0으로 변경 시.
*2018년 : (예상)2017년 이전 출시 모든 4K UHDTV가 8K UHD방송을 수신하지 못하고, 4K UHDTV 단종 론 대두.
※일련의 모든 것들이 1~2년 단위로 변화가 되면서, 4K UHDTV는 구입해서 1~2년만 사용하면, 완전 구형이 되어 신기능을 사용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4K와 8K간 간격이 3~4년도 되지 않아, 4K UHD 'TV+방송' 자체가 조기 단종 될 것으로 보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1141 [질문] 공무원 공부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5] RickBarry3121 16/04/09 3121
81140 [질문] UHD55인치 vs 풀HD60인치 [8] 마른남자2467 16/04/09 2467
81139 [질문] 영어 표현에 대한 질문입니다. [3] TheLasid1829 16/04/09 1829
81137 [질문] 복수극(?) 추천해주세요. [16] 블루데이2376 16/04/09 2376
81136 [질문] 일본인이 좋아할 치킨 추천 받습니다. [11] 오하이오2528 16/04/09 2528
81135 [질문] 핸드폰에 이 표시 뭔지 알수있을까요? [10] 골드똥2513 16/04/09 2513
81134 [질문] 문재인의 호남홀대론을 반박할 수 있는 기사나 팩트 없을까요? [5] 할러퀸1812 16/04/09 1812
81133 [질문] 신발 1번 vs 2번 [17] 삭제됨1909 16/04/09 1909
81132 [질문] lol]초반 라인스왑 없는 상황에서 이득볼수 있는 움직임있을까요? [1] EnzZ1588 16/04/09 1588
81131 [질문] [lol] 롤 클라이언트가 어느순간 무겁지 않나요? [5] arq.Gstar3858 16/04/09 3858
81130 [질문] [워크3] 신플랫폼 같이하실분 [1] 동네스키1178 16/04/09 1178
81129 [질문] 편도 절제 수술을 해보신분 계신가요?? [4] 우리집개1499 16/04/09 1499
81128 [질문] [피온3] 선수 가치 총 5억이면... [12] 비싼치킨1737 16/04/09 1737
81127 [질문] 프린트 색깔이 이상하게 나오는건 무슨 이유인가요? [3] 레너블3917 16/04/09 3917
81126 [질문] 오유 사태보다 든 궁금증인데, 자주 가시는 커뮤니티의 정치 관련 글에 대한 허용과 분위기가 어떤가요? [2] 솔지2152 16/04/09 2152
81125 [질문] 차사고 렉카질문입니다.. [2] 세종대왕1489 16/04/09 1489
81124 [질문] 결혼식장 부조금받을때 복장질문이요 [4] 삭제됨2546 16/04/09 2546
81123 [질문] 넷플렉스 화질 질문입니다. 성기사2738 16/04/09 2738
81122 [질문] 안경 바꿨습니다 45만원 언저리 나왔는데 오바인가요? [36] 뻥치시네6291 16/04/09 6291
81121 [질문] 영어 폰트를 찾습니다 [2] 오후에야1645 16/04/09 1645
81120 [질문] 설리는 껴안고 있는 물건의 정체는? [6] 2856 16/04/09 2856
81119 [질문] 안경테 부러졌는데 테만 바꾸어도 되겠죠? [5] will2218 16/04/09 2218
81118 [질문] 영화 어디서 보나요/어떤걸 볼까요 [4] lenakim1301 16/04/09 130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