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4/04 20:27:59
Name KKGGP
Subject [질문] 병설유치원 교사에 대한 질문입니다.
동생이 대기업을 다니다가 일이 힘들어서 병설유치원 임용고시 이야기를 하던데 상황을 잘 몰라 질문드립니다.

1. 병설유치원 임용고시 난이도는 많이 어려운 정도인가요?
   동생은 KY를 나와서 공부는 자신이 있는 편인데, 대기업을 다니면서 준비하는건 불가능한가요?

2. 병설유치원 교원과 초등교원의 연봉 및 대우는 완전히 같나요?

3. 병설유치원 교원의 워라밸은 초등교원의 워라밸과 유사한가요?



검색해도 잘 안나오네요.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Biemann Integral
16/04/04 21:19
수정 아이콘
병설유치원 교사는 국공립 교사와 같습니다.
국공립 교사는 초등, 중등, 유아 상관 없이 모두 대우는 같습니다.
난이도는 모르겠고, 경쟁률이 높습니다.
마성의우시오
16/04/04 22:01
수정 아이콘
1. 애초에 유아교육 교원자격증이 없으면 시험 응시 자체가 불가능합니다.(유아교육, 초등교육, 중등교육 교원자격증은 전부 별개입니다.)
1-1. 만약 있다 해도 1차시험이 완전 서술형이라 난이도 자체가 절대 낮은 편이 아닙니다. 거기다 경쟁률도 낮지 않습니다. 당연히 대기업 다니면서 준비하기도 힘듭니다. 물론 모든 시험이 그렇지만 그 이상으로 힘든 상황에서도 붙을 사람은 붙습니다. 될놈될..
2. 대우는 같지만 급여에서 차이가 납니다. 기본급은 같지만 수당에서 차이가 있을 겁니다. 하지만 큰 차이는 아닐 겁니다.
3. 케바케라 뭐라 하기가 어렵네요. 다만 대기업보다 확실히 업무강도나 시간은 그리 빡세지 않을 겁니다. 하지만 그만큼 페이도 적다는 걸 감안하셔야겠죠.
아스날
16/04/05 00:01
수정 아이콘
예비신부가 유치원 임용합격해서 일하고 있는데요.
임용고시는 시험에만 집중해서 해야된다고하더라구요.
일과 병행해서 공부하면 합격하기 힘들겠죠.

근무강도는 바쁜시즌 제외하고 칼퇴하는편이고 방학도 있으니 여행도 충분히 다니더군요. 급여는 생각보다 많이 받는것같더라구요.

여담인데 유치원 교사라고 직업을 얘기하면 임용합격한 교사인줄 모릅니다. 유치원 임용이 있는지도 모르는 사람들도 많구요 그냥 보통 유치원 교사라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아스날
16/04/05 00:03
수정 아이콘
그리고 대기업 다니다가 힘들어서 유치원 교사한다면 말리고 싶습니다. 근무시간 짧고 방학있다고해서 안 힘든거 아니에요. 직업의식있고 적성에 맞아야합니다.
구르는너구리
16/04/05 15:43
수정 아이콘
제가 대기업을 다니고 있고, 아내는 유아임용 합격해서 병설유치원 교사로 재직중입니다.

1. 대기업 다니면서 준비하는건 정말 어려울겁니다. (사실 불가능이란 말을 사용하고 싶지만, 어디서나 예외는 있기 때문에...)
2. 네. 연봉 및 대우는 완전히 같습니다.
3. 케바케입니다. 업무 강도가 약한 유치원도 있고, 강한곳도 있습니다. 반대로 초등교사도 수월한 곳도 있고 빡센 곳도 있습니다.
(제 아내가 근무하는 학교는 유치원이 좀 더 힘든 것 같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보다는 백배 편하다고 인정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0891 [질문] 메시같은 선수가 탈세는 왜 하는걸까요? [27] 커피는레쓰비3967 16/04/04 3967
80890 [질문] [스타1] 홍진호가 수백수천수억 게임 이야기는 왜 한거에요? [7] 임시닉네임5470 16/04/04 5470
80889 [질문] 피지알 레이아웃이 이상한거 같습니다. [2] BlazePsyki1810 16/04/04 1810
80888 [질문] 이어셋? 헤드셋과 같은 기능을 하면서 콩나물인 것 있나요? [6] 디자인1447 16/04/04 1447
80887 [질문] 마땅한 단어가 도저히 생각이 안나서 질게에 올립니다.. [19] 스웨트2435 16/04/04 2435
80886 [질문] 양방이냐 한방이냐.... 어떤게 나을까요? [10] 아수라발발타1984 16/04/04 1984
80885 [질문] 병설유치원 교사에 대한 질문입니다. [5] KKGGP12039 16/04/04 12039
80884 [질문] 여행용 캐리어 질문 [7] deadbody2167 16/04/04 2167
80883 [질문] 2인용 텐트 추천 부탁드립니다. 아이언맨2243 16/04/04 2243
80882 [질문] [내용수정/누나] 누나있는 남동생님들 질문드려요 [30] 냠냠이3378 16/04/04 3378
80881 [질문] 중국어 관련 질문입니다. [5] 캡틴백호랑이1365 16/04/04 1365
80880 [질문] 코드 비밀의 방은 재미없었나요? [15] 솔마3148 16/04/04 3148
80879 [질문] 제주도 공연 클럽 갈만한 곳 있나요? [3] TheLonelyBiscuit1289 16/04/04 1289
80878 [질문] 서울 남서쪽 지역, 벚꽃 어디로 보러갈까요?? [13] 박보영1790 16/04/04 1790
80877 [질문] (클래시로얄) 정재소의 쓰임새? 필요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9] 양념반자르반3333 16/04/04 3333
80876 [질문] 선거운동 소음신고나 민원 가능한가요? [4] 세이밥누님2477 16/04/04 2477
80875 [질문] 천재들의 탄생을 생물학적으로 표현?하는게 있나요? [1] 그렇구만1348 16/04/04 1348
80874 [질문] 트위치 동영상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2] 인간사료1430 16/04/04 1430
80873 [질문] 결혼식 세부절차 궁금합니다. [10] 아스날4482 16/04/04 4482
80872 [질문] 노트5 차량용 거치대 추천부탁드려요 아재1342 16/04/04 1342
80871 [질문] TV를 게임용 모니터처럼 쓸수있나요? [8] papaGom1901 16/04/04 1901
80870 [질문] 전자 담배 액상에 대해 질문합니다. (무니코틴 액상) [11] 삭제됨4419 16/04/04 4419
80869 [질문] 게스트 하우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 [3] 곰비1305 16/04/04 130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