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3/16 14:30
970으로 4k 쓰고 있는데 게임하실거면 980도 버거운게 맞습니다만, 주로 하시는게 인터넷이나 동영상 감상이시면 960으로도 충분할겁니다..만,
주로 하시는게 인터넷/동영상 감상이면 굳이 4k 쓰실 이유가 없을..거 같습니다.
16/03/16 14:31
제가 4K모니터 들어가면서 960까지 올리긴 했는데, 인터넷 / 동영상 감상이면 여기까지가 무난합니다.
950은 가성비가 오묘하기 때문에 일단 960은 생각하셔야 하고 970/980은 주머니 사정 고려해야죠.. ㅠㅠ
16/03/16 17:31
제가 모니터 여러 대, 여러 구성으로 사용 중인데 (하드웨어 커뮤니티에서도 기절초풍할 정도로 -_-;)
가능하다면 모니터 갯수 줄이고 메인 모니터 해상도 높이는게 다중 작업 늘어놓기에 훨씬 편합니다. 최근데 집 시스템 메인 모니터를 QHD (2560 x 1440) 으로 잠깐 바꾼 적이 있는데 답답해서 바로 다시 3440 x 1440 으로 갔습니다. 직장에선 4k 쓰고요.
16/03/16 15:05
음 영상이면 960이 더 높은 애들보다 낫구요.
제가 27인치급으로 듀얼 쓰다가 40인치 4K 단일로 쓰는데 화면이 커서 딱히 듀얼 생각 안하고 있습니다. 일단 책상 거리에서 이정도 사이즈면 화면이 한 눈에 들어오지 않아서 화면 전체를 꼼꼼히 봐야하는 그런 게임은 일단 별로 안맞는다고 느꼈는데요. 그정도 광활하다보니 그냥 써도 불편함이 없네요. 여기저기 듀얼로 구성해서 컴퓨터 하는게 일상인데 전혀 불편하지 않습니다. 처음 27인치 모니터를 보조 모니터로 같이 두기도 했었는데 책상이 좁아서 내리기도 했지만 메인 모니터가 충분히 크니 보조 모니터를 쓸 일이 없더라구요.
16/03/16 17:37
960 이 나은 건 4K HEVC 에서 뿐이고, 나머지에서는 전부 높은 애들이 낫습니다.
심지어 4K HEVC 디코딩도 CPU 파워가 충분하면 그냥 CPU 파워로 하는게 더 낫습니다. 4K 소스 중에 HEVC 이면서 비트레이트 높아 i5 정도 급으로 소화 안되는 소스는 1% 도 안됩니다. 아직 대부분 H.264 이고 이건 아무 그래픽카드, 아무 CPU 로도 무리 없이 디코딩 됩니다. 그리고 스카이레이크 i7 이면 4K HEVC 풀 비트레이트 소스도 CPU 파워만으로 무리 없이 디코딩 됩니다. 동영상 감상 목적이라면 비슷한 가격 상정시 펜티엄 + 960 보다 i7 단독이 여러가지 면에서 훨씬 낫습니다. (참고로 스카이레이크 다음 세대는 내장그래픽으로 HEVC 하드웨어 디코딩 지원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AMD 차세대 CPU 는 지원 확정이고요) 저라면 4K 영상을 보고 싶은 분들께 i7 CPU 에 라데온 GCN 제일 싼거 (7770 이나 250 정도?) 구성해서 카탈리스트 Fluid motion 켜고 보시라고 추천해드립니다. Fluid motion 정말 강려크합니다.
|